목차
2. 피부 및 정상반사
3. 수유
4. 목욕시키기
6. 제대 간호
6. 둔부와 회음부 간호
7. 보육기 간호
8. 광선요법
3. 수유
4. 목욕시키기
6. 제대 간호
6. 둔부와 회음부 간호
7. 보육기 간호
8. 광선요법
본문내용
2. 피부 및 정상반사
피부 및 정상반사
① 솜털(Lanugo): 임신 16주부터 생겨 32주때부터 없어짐.
등, 어깨, 사지에 많다. 미숙아일수록 솜털이 많다.
-prematurity: 37주 이내에 태어난 아이
-postmaturity: 예정일보다 2~3주 늦게 태어난 아이-솜털이 없고 매끈하다
② 태지(Vernix caseosa): 끈적끈적하고 노랗고 하얀 지방덩어리이며 눈썹, 이마 ,팔목, 서혜부 등 겹쳐진 부위에 특히 많다.
③ 매립종(Milia): 콧등이나 턱에 좁쌀만하게 나타난다.
④ 화염성 모반(Nevus flameus):
⑤ 몽고인 반점(Mongolian spot): 동양인, 흑인, 지중해연안 사람에게서 볼 수 있다.
학령전기에 없어진다.
⑥ 대천문(Anterior fontanel): 시상, 관상(두정), 이마뼈(전두골)의 봉합에 의해 형성된 것.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제일 넓은 부분의 길이는 4~5cm이다.
기침을 하거나 울거나 아래로 누워있을 때는 일시적으로 천문이 불룩해지고 더욱 팽팽하다.
⑦ 소천문(Posterior fontanel): 시상봉합과 인자봉합으로 형성된 것.
시상봉합에서 후두골 쪽으로 따라가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소천문은 삼각형으로 넓은 부분의 길이는 보통 0.5~1cm로 측정된다.
⑧ 산류(Caput succedaneum): 두피와 두개골사이에 혈장이 고여있음. suture line 넘어서 광범위하게 존재함.
※ 두혈종(Cephalohematoma)과 구별!!
두혈종은 두개골과 골막사이에 혈액이 고여있는 것으로 suture line 넘지 않고 명확한 경계에 있음.
⑨ 유방울혈(Breast engorgement): 분만 후 수유중에 발생하는 유방의 통증이나 전신적 발열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유방의 울혈은 아기가 충분히 젖을 빨지 않았기 때문이며 유방울혈을 완화하는 방법
분만 후 24시간 내에 유방대나 브래지어로 잘 지지해 주면 유방울혈을 예방할 수 있다.
자주 젖을 먹이며 하루에 8~12회 먹이다.
만일 젖을 주지 못했을 경우 젖을 짜낸다.
젖을 뗄 때에는 점진적으로 젖을 뗀다.
울혈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따뜻한 물수건을 5~10분간 대주거나 젖을 먹이기 전에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한다.
젖을 먹이기 전에 유륜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약간의 젖을 짜낸다.
젖을 먹이기 전과 먹이는 동안 유방을 마사지 해준다.
젖을 먹인 후 얼음주머니를 대준다.
⑩ 생리적 황달(Physiologic jaundice): 생후 2~3일에 발생함. 7~10일 내에 사라짐.
RBC가 파괴되면 Heme , Globin으로 나뉘어짐.
↓ ↓
iron(다시사용) Indirect bilirubin → Direct bilirubin 전환시키는 Glucuronyl transferase부족. 간의효소인 Glucuronyl transferase에 의해 직접 빌리루빈으로 변환된 후 담도를 통하여 장으로 배설된다.
⑪ 태변(Meconium): 태변은 생후 1시간 이내에 나올 수도 있으나 보통은 생후 10시간쯤에 나오고 3~4일까지 지속되는 암록색, 암갈색의 끈적끈적한 변이이며 냄새는 나지 않는다. 만일 생후 24~48시간이 지나도 태변이 나오지 않을 때에는 장폐쇄를 의심해야 한다. 태변에는 태아의 솜털,
피부 및 정상반사
① 솜털(Lanugo): 임신 16주부터 생겨 32주때부터 없어짐.
등, 어깨, 사지에 많다. 미숙아일수록 솜털이 많다.
-prematurity: 37주 이내에 태어난 아이
-postmaturity: 예정일보다 2~3주 늦게 태어난 아이-솜털이 없고 매끈하다
② 태지(Vernix caseosa): 끈적끈적하고 노랗고 하얀 지방덩어리이며 눈썹, 이마 ,팔목, 서혜부 등 겹쳐진 부위에 특히 많다.
③ 매립종(Milia): 콧등이나 턱에 좁쌀만하게 나타난다.
④ 화염성 모반(Nevus flameus):
⑤ 몽고인 반점(Mongolian spot): 동양인, 흑인, 지중해연안 사람에게서 볼 수 있다.
학령전기에 없어진다.
⑥ 대천문(Anterior fontanel): 시상, 관상(두정), 이마뼈(전두골)의 봉합에 의해 형성된 것.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제일 넓은 부분의 길이는 4~5cm이다.
기침을 하거나 울거나 아래로 누워있을 때는 일시적으로 천문이 불룩해지고 더욱 팽팽하다.
⑦ 소천문(Posterior fontanel): 시상봉합과 인자봉합으로 형성된 것.
시상봉합에서 후두골 쪽으로 따라가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소천문은 삼각형으로 넓은 부분의 길이는 보통 0.5~1cm로 측정된다.
⑧ 산류(Caput succedaneum): 두피와 두개골사이에 혈장이 고여있음. suture line 넘어서 광범위하게 존재함.
※ 두혈종(Cephalohematoma)과 구별!!
두혈종은 두개골과 골막사이에 혈액이 고여있는 것으로 suture line 넘지 않고 명확한 경계에 있음.
⑨ 유방울혈(Breast engorgement): 분만 후 수유중에 발생하는 유방의 통증이나 전신적 발열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유방의 울혈은 아기가 충분히 젖을 빨지 않았기 때문이며 유방울혈을 완화하는 방법
분만 후 24시간 내에 유방대나 브래지어로 잘 지지해 주면 유방울혈을 예방할 수 있다.
자주 젖을 먹이며 하루에 8~12회 먹이다.
만일 젖을 주지 못했을 경우 젖을 짜낸다.
젖을 뗄 때에는 점진적으로 젖을 뗀다.
울혈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따뜻한 물수건을 5~10분간 대주거나 젖을 먹이기 전에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한다.
젖을 먹이기 전에 유륜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약간의 젖을 짜낸다.
젖을 먹이기 전과 먹이는 동안 유방을 마사지 해준다.
젖을 먹인 후 얼음주머니를 대준다.
⑩ 생리적 황달(Physiologic jaundice): 생후 2~3일에 발생함. 7~10일 내에 사라짐.
RBC가 파괴되면 Heme , Globin으로 나뉘어짐.
↓ ↓
iron(다시사용) Indirect bilirubin → Direct bilirubin 전환시키는 Glucuronyl transferase부족. 간의효소인 Glucuronyl transferase에 의해 직접 빌리루빈으로 변환된 후 담도를 통하여 장으로 배설된다.
⑪ 태변(Meconium): 태변은 생후 1시간 이내에 나올 수도 있으나 보통은 생후 10시간쯤에 나오고 3~4일까지 지속되는 암록색, 암갈색의 끈적끈적한 변이이며 냄새는 나지 않는다. 만일 생후 24~48시간이 지나도 태변이 나오지 않을 때에는 장폐쇄를 의심해야 한다. 태변에는 태아의 솜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