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신체계측방법
1)몸무게
2)키
3)머리둘레
4)가슴둘레
5)배둘레
2.활력징후 측정법
1)체온
2)맥박
3)호흡
4)호흡유지
5)체온유지
3.신분확인
4.눈간호
5.목욕
6.제대간호
7.감염예방
8.수유
9.부모신생아애착증진방법
10.사회감각적 자극제공
11.퇴원간호
1)몸무게
2)키
3)머리둘레
4)가슴둘레
5)배둘레
2.활력징후 측정법
1)체온
2)맥박
3)호흡
4)호흡유지
5)체온유지
3.신분확인
4.눈간호
5.목욕
6.제대간호
7.감염예방
8.수유
9.부모신생아애착증진방법
10.사회감각적 자극제공
11.퇴원간호
본문내용
우로 앉히고 몸을 약간 앞으로 구부리게 하여 등이나 배를 부드 럽게 문지르거나 두드린다.
ㆍ아기를 어깨에 엎어 누인채 등을 부드럽게 문지르거나 두드린다.
ㆍ무릎에 엎어 누인채 등을 부드럽게 문지르거나 두드린다.
⑦ 주기적으로 젖꼭지를 입에서 빼어본다.
⑧ 수유량에 너무 구애되지 말고 아기가 젖꼭지를 혀로 밀어내면 그만 먹여도 된다. 보통 1회량은 2주까지 50-90㎖ 정도이고, 수유회수는 3-4시간 간격으로 6-7회가 적당하다.
⑨ 모유와 혼합해서 먹일 때는 모유를 먼저 먹이고 조제유를 먹인다.
⑩ 반자율적 스케쥴로 먹이는 것이 좋다.
(3) 마무리 단계
① 수유가 끝나면 오른쪽 측위나 복위로 눕힌다.
② 역류나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침대 상부를 30도정도 상승시킨다.
③몇 분 후에 아기를 관찰한다. 불안정하면 안고 트림을 시킨다. 역류가 없는지 관찰한다.
④ 수유량, 역류여부 및 량, 시간, 수유양상, 수유전, 중, 후의 행동을 기록한다.
⑤ 남은 우유는 버린다.
수유기구의 소독 및 관리방법
ㆍ젖병이나 젖꼭지는 비누와 솔로 깨끗이 씻어 모은다. 씻을 때 젖꼭지나 젖병의 상태를 살피고 손상된 것은 버리고 보충한다.
ㆍ10분 이상 자불소독을 한다. 자외선 소독기나 기타 소독기구를 사용 할 때는 기능이 정 상인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제조자의 지시사항을 정확히 따른다.
ㆍ소독 후 식을 때까지 뚜껑을 덮어 두었다가 소독된 겸자로 젖병, 젖꼭지를 하나씩 꺼내 끼우고 뚜껑을 덮은 후에 보관한다. 보관장소는 식기건조기나 냉장고가 좋다.
부모-신생아 애착증진(어머니,아버지, 조부모, 형제자매)
1) 부모에게 부모 및 아기의 성장발달에 대한 애착의 의의를 설명한다.
2) 가능한 분만 직후 아기를 직접 보고 안아보게 한다.
3) 부모로 하여금 신생아가 나타내는 행동들을 확인하게 한다.
4) 임신 중 상상했던 아기와 실제 아기에 대해 부모와 이야기한다.
5) 부모에게 진통, 분만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권장한다.
6) 애착과정의 행동단계를 확인하고,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을 평가한다.
. 부정적인 부모행동
ㆍ신생아실 방문이 적고, 오더라도 짧은 시간동안만 지체한다.
ㆍ만져보기를 거부한다.
ㆍ이름 부르기를 꺼린다.
ㆍ아기의 진단명이나 예후, 상태에 대해 묻지 않는다.
ㆍ아기의 신체적, 행동적 특성을 기술하지 못한다.
ㆍ적대적이나 불안정하다.
7) 신생아, 부모사이의 상호적인 암시를 관찰, 사정한다.
8) 관심-무관심 사이클을 인식하도록 돕고, 이의 의의를 이해시킨다.
9) 애착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사정한다.
ㆍ영아 : 크기, 성, 재태기간, 건강상태, 활동수준, 기질, 쌍둥이 등
ㆍ어머니 : 성격, 임신, 분만, 육아와 관련된 경험, 스트레스, 발달력, 돌보기, 능력감 등
ㆍ환경 : 사회 경제적 상태, 사회적 지지, 문화, 가족관계, 첫접촉 시기와 정도
10) 아기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게 한다.
11) 이름을 빨리 짓고, 이름으로 부르게 한다.
12) 아기에 대한 행동의 문화적 차이를 인식하고 인정한다.
13) 신생아실을 자주 방문하게 하고 못 올 경우 아기의 상태를 전화나 서신으로 주기적으로 설명하여 아기에게 익숙하도록 한다.
14) 부모가 아기의 간호에 참여하게 한다.
15) 잠시동안 부모와 아기 둘만의 시간을 갖도록 배려한다.
16) 첫 방문시 불안해하는 부모를 준비시킨다.
ㆍ아기 상태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ㆍ부모의 불안을 표현하게 한다.
ㆍ신생아실 및 아기의 상태, 부착기구 등에 대해 미리 설명한다.
17) 애착증진방법을 교육한다.
ㆍ아기의 행동에 민감하며, 즉각적 반응을 보인다.
ㆍ아기의 행동에 적절한 반응을 보인다.
ㆍ적절한 애착 증진 행동유형 - 발성, 접촉, 마주 대하기, 눈접촉 등을 보인다.
ㆍ아기에게 사회적 감각적 자극을 적절히 제공한다.
ㆍ깊은 애정이 관계형성의 기본임을 안다.
18) 부모-신생아 애착이 위험하면 적절한 기관에 의뢰한다.
사회 감각적 자극제공
(1) 전반적 지침
ㆍ민감기(aierness)동안 자극을 제공한다.
ㆍ한 번에 1-2유형의 자극으로 제한한다.
ㆍ자극은 단 시간에 제공한다.
ㆍ영아가 견디는 정도에 따라 자극시간을 조절한다.
(2) 시각적 자극
ㆍ“마주보는(en face)”자세에서 시각범위 내(19-22cm)에 사진을 놓아둔다.
ㆍ침대 매트리스를 무늬의 재료로 싼다.
ㆍ눈접촉을 반복 시행한다.
ㆍ영아의 시야내에 흑백무늬 물체를 두되, 정지와 움직임이 교대되게 한다.
(3) 촉각 자극
ㆍ부모의 음성을 녹음하여 들려준다.
ㆍ고전음악을 들려준다(째즈나 록은 비효과적이다).
ㆍ다양한 억양으로 말한다 : 성인과 아기말을 교대.
ㆍ매 상호작용마다 영아의 이름으로 부른다.
(4) 평형감각 자극
ㆍ진동과 파동이 있는 물침대에 둔다 : 진동과 휴식을 번갈아 제공한다.
ㆍ의자에 두고 흔들어 준다.
ㆍ흔들그네에 둔다.
ㆍ무릎과 고관절에 수동적 전 범위 관절운동(ROM)을 해 준다.
ㆍ앉힌 자세에서 몸을 좌우로 돌리고 중앙선에서 멈추는 운동을 한다.
(5) 후각 자극
ㆍ모유나 우유통의 뚜껑을 열고 영아의 코밑을 지나게 한다.
ㆍ달콤한 냄새가 나는 여러가지 식품을 코밑으로 지나가게 한다.
(6) 미각 자극
ㆍ빠는운동이 있을 때나 위관영양을 하는 동안, 입에다 영아의 손이나 노리개 젖꼭지를 넣 는다.
ㆍ위관영양을 할 때 입에다 우유를 두 방울 정도 떨어 뜨린다.
퇴원간호
- 퇴원교육
1) 수유
모유영양 : 유방관리 방법 및 유방 열상시 간호법
모유수유 방법
모유금기 사항
인공영양 : 조유법
우유수유 방법
수유기구 소독 및 보관 방법
2) 목욕과 제대간호
3) 예방접종
4) 아기의 수면습관 등의 행동특성
5) 아기방 환경 및 아기용품
6) 병원방문이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한 경우
· 창백, 청색증 · 식욕부진, 구토, 설사
· 비정상적인 호흡 · 불안정, 기면
· 발열, 저체온
7) 신생아에 흔히 발생될 수 있는 건강문제에 대한 처치 방법
8) 응급시 필요한 기관, 신생아실 및 주치의사의 전화번호
9) 추후 관리를 위해 병원에 내원 할 일시
10) 신생아 선별검사 안내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갈락토스혈증
·단풍당뇨증 ·페닐케톤뇨증
ㆍ아기를 어깨에 엎어 누인채 등을 부드럽게 문지르거나 두드린다.
ㆍ무릎에 엎어 누인채 등을 부드럽게 문지르거나 두드린다.
⑦ 주기적으로 젖꼭지를 입에서 빼어본다.
⑧ 수유량에 너무 구애되지 말고 아기가 젖꼭지를 혀로 밀어내면 그만 먹여도 된다. 보통 1회량은 2주까지 50-90㎖ 정도이고, 수유회수는 3-4시간 간격으로 6-7회가 적당하다.
⑨ 모유와 혼합해서 먹일 때는 모유를 먼저 먹이고 조제유를 먹인다.
⑩ 반자율적 스케쥴로 먹이는 것이 좋다.
(3) 마무리 단계
① 수유가 끝나면 오른쪽 측위나 복위로 눕힌다.
② 역류나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침대 상부를 30도정도 상승시킨다.
③몇 분 후에 아기를 관찰한다. 불안정하면 안고 트림을 시킨다. 역류가 없는지 관찰한다.
④ 수유량, 역류여부 및 량, 시간, 수유양상, 수유전, 중, 후의 행동을 기록한다.
⑤ 남은 우유는 버린다.
수유기구의 소독 및 관리방법
ㆍ젖병이나 젖꼭지는 비누와 솔로 깨끗이 씻어 모은다. 씻을 때 젖꼭지나 젖병의 상태를 살피고 손상된 것은 버리고 보충한다.
ㆍ10분 이상 자불소독을 한다. 자외선 소독기나 기타 소독기구를 사용 할 때는 기능이 정 상인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제조자의 지시사항을 정확히 따른다.
ㆍ소독 후 식을 때까지 뚜껑을 덮어 두었다가 소독된 겸자로 젖병, 젖꼭지를 하나씩 꺼내 끼우고 뚜껑을 덮은 후에 보관한다. 보관장소는 식기건조기나 냉장고가 좋다.
부모-신생아 애착증진(어머니,아버지, 조부모, 형제자매)
1) 부모에게 부모 및 아기의 성장발달에 대한 애착의 의의를 설명한다.
2) 가능한 분만 직후 아기를 직접 보고 안아보게 한다.
3) 부모로 하여금 신생아가 나타내는 행동들을 확인하게 한다.
4) 임신 중 상상했던 아기와 실제 아기에 대해 부모와 이야기한다.
5) 부모에게 진통, 분만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권장한다.
6) 애착과정의 행동단계를 확인하고,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을 평가한다.
. 부정적인 부모행동
ㆍ신생아실 방문이 적고, 오더라도 짧은 시간동안만 지체한다.
ㆍ만져보기를 거부한다.
ㆍ이름 부르기를 꺼린다.
ㆍ아기의 진단명이나 예후, 상태에 대해 묻지 않는다.
ㆍ아기의 신체적, 행동적 특성을 기술하지 못한다.
ㆍ적대적이나 불안정하다.
7) 신생아, 부모사이의 상호적인 암시를 관찰, 사정한다.
8) 관심-무관심 사이클을 인식하도록 돕고, 이의 의의를 이해시킨다.
9) 애착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사정한다.
ㆍ영아 : 크기, 성, 재태기간, 건강상태, 활동수준, 기질, 쌍둥이 등
ㆍ어머니 : 성격, 임신, 분만, 육아와 관련된 경험, 스트레스, 발달력, 돌보기, 능력감 등
ㆍ환경 : 사회 경제적 상태, 사회적 지지, 문화, 가족관계, 첫접촉 시기와 정도
10) 아기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게 한다.
11) 이름을 빨리 짓고, 이름으로 부르게 한다.
12) 아기에 대한 행동의 문화적 차이를 인식하고 인정한다.
13) 신생아실을 자주 방문하게 하고 못 올 경우 아기의 상태를 전화나 서신으로 주기적으로 설명하여 아기에게 익숙하도록 한다.
14) 부모가 아기의 간호에 참여하게 한다.
15) 잠시동안 부모와 아기 둘만의 시간을 갖도록 배려한다.
16) 첫 방문시 불안해하는 부모를 준비시킨다.
ㆍ아기 상태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ㆍ부모의 불안을 표현하게 한다.
ㆍ신생아실 및 아기의 상태, 부착기구 등에 대해 미리 설명한다.
17) 애착증진방법을 교육한다.
ㆍ아기의 행동에 민감하며, 즉각적 반응을 보인다.
ㆍ아기의 행동에 적절한 반응을 보인다.
ㆍ적절한 애착 증진 행동유형 - 발성, 접촉, 마주 대하기, 눈접촉 등을 보인다.
ㆍ아기에게 사회적 감각적 자극을 적절히 제공한다.
ㆍ깊은 애정이 관계형성의 기본임을 안다.
18) 부모-신생아 애착이 위험하면 적절한 기관에 의뢰한다.
사회 감각적 자극제공
(1) 전반적 지침
ㆍ민감기(aierness)동안 자극을 제공한다.
ㆍ한 번에 1-2유형의 자극으로 제한한다.
ㆍ자극은 단 시간에 제공한다.
ㆍ영아가 견디는 정도에 따라 자극시간을 조절한다.
(2) 시각적 자극
ㆍ“마주보는(en face)”자세에서 시각범위 내(19-22cm)에 사진을 놓아둔다.
ㆍ침대 매트리스를 무늬의 재료로 싼다.
ㆍ눈접촉을 반복 시행한다.
ㆍ영아의 시야내에 흑백무늬 물체를 두되, 정지와 움직임이 교대되게 한다.
(3) 촉각 자극
ㆍ부모의 음성을 녹음하여 들려준다.
ㆍ고전음악을 들려준다(째즈나 록은 비효과적이다).
ㆍ다양한 억양으로 말한다 : 성인과 아기말을 교대.
ㆍ매 상호작용마다 영아의 이름으로 부른다.
(4) 평형감각 자극
ㆍ진동과 파동이 있는 물침대에 둔다 : 진동과 휴식을 번갈아 제공한다.
ㆍ의자에 두고 흔들어 준다.
ㆍ흔들그네에 둔다.
ㆍ무릎과 고관절에 수동적 전 범위 관절운동(ROM)을 해 준다.
ㆍ앉힌 자세에서 몸을 좌우로 돌리고 중앙선에서 멈추는 운동을 한다.
(5) 후각 자극
ㆍ모유나 우유통의 뚜껑을 열고 영아의 코밑을 지나게 한다.
ㆍ달콤한 냄새가 나는 여러가지 식품을 코밑으로 지나가게 한다.
(6) 미각 자극
ㆍ빠는운동이 있을 때나 위관영양을 하는 동안, 입에다 영아의 손이나 노리개 젖꼭지를 넣 는다.
ㆍ위관영양을 할 때 입에다 우유를 두 방울 정도 떨어 뜨린다.
퇴원간호
- 퇴원교육
1) 수유
모유영양 : 유방관리 방법 및 유방 열상시 간호법
모유수유 방법
모유금기 사항
인공영양 : 조유법
우유수유 방법
수유기구 소독 및 보관 방법
2) 목욕과 제대간호
3) 예방접종
4) 아기의 수면습관 등의 행동특성
5) 아기방 환경 및 아기용품
6) 병원방문이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한 경우
· 창백, 청색증 · 식욕부진, 구토, 설사
· 비정상적인 호흡 · 불안정, 기면
· 발열, 저체온
7) 신생아에 흔히 발생될 수 있는 건강문제에 대한 처치 방법
8) 응급시 필요한 기관, 신생아실 및 주치의사의 전화번호
9) 추후 관리를 위해 병원에 내원 할 일시
10) 신생아 선별검사 안내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갈락토스혈증
·단풍당뇨증 ·페닐케톤뇨증
키워드
추천자료
신생아 ,미숙아 생리적 특성및 간호 , 예방접종표, 아기 트림시키는 법
체력요소에 따른 측정방법 사진포함
의학적 간병 & 간호 기술 이해
[유기화학실험] 온도계 보정법(THERMOMETERS)과 녹는점 측정 실험(MELTING POINT) 예비+결과...
평형성과 평형성 측정방법 그리고 트레이닝 방법
통증의 기본적 정의와 개념 및 측정, 척도방법과 해결방법
체력요인별 측정방법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에이즈)의 의미와 역사,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에이즈)의 전파경로...
관찰법의 종류인 일화기록과 기술평정척도의 특징 및 장단점을 조사하고, (신체, 언어, 정서,...
스트레스 점검표를 활용하여 현재 자신의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한 후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
big5 및 병원 간호사 면접 질문 및 이론 (딸기책 외 전공책 모두 동원하여 작성한것)
case study 태변흡인 증후군(MAS) 간호진단, 간호과정 ,병태생리, NICU
비만의 진단과 측정, 비만의 원인과 종류, 비만에 따른 질병과 위험성, 비만의 치료방법
[아동발달연구방법] 아동발달의 연구목적, 아동발달연구의 접근법, 아동발달연구유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