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력요소에 따른 측정방법 사진포함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스텝 테스트(Side Step Test) = 옆으로 반복 뛰기
마룻바닥에 120cm간격으로 3줄의 평행선을 그어 놓고 양발을 좌우 양측으로 교대하여 사이드 스텝을 정해진 시간 안에 빠른 동작으로 행한 횟수를 재는 것이다.
옆으로 반복(연속)뛰기라고 한다.

준 비
① 마룻바닥에 120cm간격의 줄 평행선을 긋는다.
② 계측원
③ 기록원

측정방법
① 피검자는 중앙의 선을 밟지 않은 상태에 두발을 딛고 선다.
② [시작]하는 신호와 함께 오른발이 오른쪽 선을 넘어 서도록 오른편으로 사이드 스텝을 한다. 이때 횟수를 1개로 한다.
③ 오른쪽 선을 넘어 섰으면 다시 빠른 동작으로 처음 자세로 돌아온다.
이때 횟수를 2개로 한다.
④ 돌아온 다음 다시 왼쪽으로 왼발이 넘어서도록 사이드 스텝을 행한다.
이때 횟수를 3개로 한다.
⑤ 이 동작을 좌우로 교대하여 될 수 있는 대로 빠른 동작으로 정해진 시간 안에
실시한다. 2회 실시하여 좋은 기록을 인정한다.

측정 시 주의할 점
① 선을 밟고 서서는 안 된다.
② [시작]구령과 함께 오른쪽으로 갔을 때 오른발이 선을 완전히 넘어야 된다.
③ 손을 바닥에 짚거나 두발을 동시에 들어서 움직이는 것은 파울 또는
실격처리된다.

(3) 10m, 20m 왕복 달리기(10m, 20m shuttle run)
10m 왕복 달리기 또는 20m 왕복 달리기는 민첩성 및 순발력을 테스트하는 종목으로 무엇보다도 빠른 시간 내의 대근의 수축이완을 빨리 반복함은 물론 목표물을 짚거나, 회전할 때 순간적인 몸의 균형감각과 발목의 유연성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좋은 기록을 낼 수 있다.

준 비
① 직경 5cm 정도의 사각형 나무 또는 원뿔형 고무
② 계측원
③ 기록원
측정방법
① 출발선에서 출발신호와 함께 목표물을 향해서 달려간다.
② 사각형 나무가 반원 안에 2개 있는데 우측에 있는(왼손잡이 반대로) 나무부터 순서대로 가져오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가져온 나무는 반원에 가지런히
놓을 수 있도록 한다.
③ 출발하여 사각형 나무는 1개씩 가져오며 가져온 사각형 나무는 2개가 반원 안에놓여 있어야 하며 원 밖으로 나갔을 때는 파울 처리된다.
④ 출발선 쪽 반원 안에 사각형 나무 2개가 놓였을 때의 그 시간을 계측시간으로 측정한다.
측정 시 주의할 점
① 사각형 나무를 반원으로 던져 원 밖으로 나왔을 때는 파울로 처리하며
2번 파울하면 실격처리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2개의 사각형 나무를 가져오는 순서는 정할 필요가 없다.
③ 사각형 나무를 반원 안에 놓고서 몸이 출발선 밖으로 나가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시간을 측정한다. 대부분 정해진 원 안에 사각형 나무가 2개 놓여지는
순간계측은 끝낸다).

(4) 지그재그 달리기(zigzag run)
지그재그 달리기(zigzag run)는 부메랑 달리기(boomerang run)와 비슷한 것 같으나 그렇지 않다. 마룻바닥에 깃대 또는 콘을 설치해 놓고(5개) 직사각형 형태의 검사장을 만든다.
이 종목 또한 순발력, 민첩성, 지적능력(두뇌회전) 등이 함께 어우러진 측정 종목이다.
일반적으로 민첩성(agility)테스트 종목으로 많이 선택하고 있으나 시각과 각 근육의 협응 관계는 물론 순간적인 판단력도 요구되는 종목이기도 하다.

준 비
① 깃대
② 계측원
③ 기록원

측정방법
① 출발신호와 함께 1번 깃대 우측을 통과하여 0번 깃대를 시계방향으로 돌아 2번깃대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돌아 3번 깃대를 향해 뛴다.
② 3번 깃대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돌아 0번 깃대를 시계방향으로 통과 하여 4번 깃대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돌아 골인한다.
③ 장애물과의 거리(간격)는 그림과 같다(거리(간격)는 대학마다 달리 정할 수 있으니 유의하기 바란다).
④ 출발신호와 함께 전체코스를 돌아 오늘 시간은 계측한다. 2번 실시하여 빠른 측정치를 인정한다.
⑤ 시행도중에 깃대를 붙잡거나, 넘어뜨리면 파울로 인정된다.
측정 시 주의할 점
① 2번 파울하면 실격 처리 된다.
② 깃대가 몸에 닿는 것은 유효하나 회전 시 손으로 붙잡거나, 넘어뜨리면 파울.
③ 깃대를 회전할 때 정해진 코스(좌, 우)로 달린다.
④ 시간(초)을 측정하는 만큼 신속한 동작이 요구되는 민첩성 운동측정 종목이다.
⑤ 계시는 1/10초 까지 기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협응력 >
정의 : 신체의 움직임을 얼마나 매끄럽고 정확하게 하는가에 대한
신체 각 분절의 조화.
몸 전체를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조정 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
협응성은 두 개 이상의 신체 부위의 조화를 목표로 하며 주로 도구를 많이 사용하여 활동하기 때문에 특히 유아의 동기나 흥미의 측면에서 볼 때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활동들이 포함 된다
< 조정력 >
정의 :근의 활동을 지배하는 신경의 작용 능력
조정력의 요소
밸런스 - 정지 중 또는 운동 중에 신체의 안정을 보유하는 능력.
리듬과 타이밍 - 일정한 조율로 동작을 하는 능력.
릴랙세이션 - 불필요한 긴장을 푸는 상태.
정확성 - 정확히 동작을 하는 능력.
측정항목 : 평균대, 평형판, 트램펄린, 기계체조, 훌라후프 등.
< 교치성 >
정의 : 우리의 몸을 정확하게 이동시켜 주는 능력
근육과 신경의 원활한 작용에 의하여 동작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능력
측정방법 : 시간 내에 몇 개의 구슬을 꿰는가를 측정하는 방법
< 신체조성 >
정의 : 신체를 구성하고 있는 뼈, 근육, 지방, 그리고 그 밖의 조직들의 비율
측정항목
- 수중체중법 (Hydrostatic Weighing = Underwater weighing) :
수중체중을 이용하여 체밀도를 추정하여 일정공식에 대입, 체지방율을 산출
- 생체전기저항분석법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몸에 전류를 흘려 지방과 제지방을 가려내는 방법
- 피하지방 측정법 (Skin fold Thickness) :
피부의 두께를 잰 다음 일정공식에 대입하여 체지방율을 산출
- 허리-엉덩이 둘레비 :
신장, 체중, 요위, 둔위 등을 재어 일정공식에 대입하고 비만도를 산출 BMI,
허리와 엉덩이의 비율로 나타내는 방법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6.03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29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