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업적평가제(교수업적평가제도)의 유형, 교수업적평가제(교수업적평가제도) 미국 사례와 중국 사례, 교수업적평가제(교수업적평가제도) 활용, 교수업적평가제(교수업적평가제도) 효과와 문제점 및 제고 방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수업적평가제(교수업적평가제도)의 유형, 교수업적평가제(교수업적평가제도) 미국 사례와 중국 사례, 교수업적평가제(교수업적평가제도) 활용, 교수업적평가제(교수업적평가제도) 효과와 문제점 및 제고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교수업적평가제(교수업적평가제도)의 유형

Ⅲ. 교수업적평가제(교수업적평가제도)의 미국 사례
1. 교육업적평가의 목적(Purposes and Objectives)
1) 교원의 교육업적을 평가하는 목적은 국가별ㆍ대학별로 큰 편차를 보이지 않고, 대동소이함
2) 교원업적평가(performance review/evaluation/appraisal)의 목적
3) 교육업적평가의 목적
4) 강의평가의 목적
2. 교육업적평가의 방향과 원칙(Policy Directives and Principles)
3. 교육업적평가의 윤리/행동강령(Code of Ethics/Conduct)

Ⅳ. 교수업적평가제(교수업적평가제도)의 중국 사례
1. 평가지표
1) 투입지표 3항
2) 산출지표 25항
3) 참고지표 3항
4) 최종 평가지표 9항
2. 교수연구업적평가에의 활용
1) 현 직위 승진이래 다음 각 항목의 하나를 만족시켜야 한다
2) 다음 두 가지 조건은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3) 다음 조건 중 하나를 만족시켜야 한다
4) 위 6항의 조건에 미흡할 때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3. 시사점

Ⅴ. 교수업적평가제(교수업적평가제도)의 활용
1. 급여 연계 방안
2. 승진 요건의 강화
1) 기본 연구 업적 요건
2) 승진 시 연구․교육․사회봉사 종합 평가
3. 교수경쟁체제 도입
4. 신규 임용

Ⅵ. 교수업적평가제(교수업적평가제도)의 효과와 문제점
1. 효과
2. 문제점

Ⅶ. 향후 교수업적평가(교수업적평가제도)의 제고 방향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성이 반영되지 않음
질적 평가보다 양적 평가가 이루어짐
해당 대학의 실정에 맞는 평가지표 개발이 필요
연구영역이 지나치게 강조됨
교수간 갈등관계 표출
학술단체의 대학평가자료 미비
평가항목별 중요도 설정이 어려움
자율성이 무시된 채 업적을 평가기준에만 맞추려함
자발성보다는 교육부의 강제적 추진 성격이 강함
Ⅶ. 향후 교수업적평가(교수업적평가제도)의 제고 방향
연구업적 평가 기준안은 모든 교수들이 공감할 수 있는 연구업적 평가에 대한 목적이 분명하여야 한다. 즉 평가 목적은 모든 교수들이 가지고 있는 교수의 연구역량을 업적평가에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따라서 교수 개개인 고유의 훌륭한 연구업적을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고루 반영할 수 있는 기준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왜냐하면 교수들을 모든 평가항목에서 잘하도록 하는 평가목적은 교수를 수퍼맨으로 평가하는 우를 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가능하면 모든 평가항목에 최소 요구 점수(minimum requirement)는 두되, 최대 점수에 대한 제한(limit)은 없애는 것이 타당하다.
연구업적평가는 질적인 평가가 교수들의 학문의 창의성 개발이나 연구의욕 제고에도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연구업적의 질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영국이나 미국의 연구중심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대표논문(예: 2~3편)의 질을 평가하여야 하며, 이때 논문의 질적평가 주체는 외부인사 또는 외국의 전문가에 의한 평가가 객관성 및 공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이 방법이 교내외의 평가 여건상 실시가 어려운 경우 대신할 수 있는 차선의 질적평가 방법으로 논문의 등급에 따라 차등가중치를 이용한 점수제도 또한 많은 응답자들이 선호하는 연구업적의 질적평가를 어느 정도 반영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이라 하겠다. 하지만 이 방법이 설득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논문의 등급 부여를 위하여 각 분야별 국내외 전문가에 의한 국내 현실에 맞는 전문학술지의 등급 평가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보다 공정하고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국내 전문학술지의 등급 평가를 위해서는 국내 전문학술지 논문의 Impactor factor, Citation Index 등의 분석을 통한 질적평가를 위하여 미국의 ISI(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중국의 관리과학연구원 등과 같은 기구의 설립 또한 신중히 고려해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교수들은 전공서적 발간에 대한 높은 가중치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외국어 서적 발간의 경우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을 널리 알릴 수 있으므로 국제논문 보다 훨씬 많은 점수를 주어야 할 것이다.
국가 기술경쟁력의 기초가 되는 공대교수의 기술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외국(미국, 중국)의 사례에서와 같이 보다 실질적인 산학연구과제, 연구보고서, 특허, 그리고 외국 연구과제 수행 등에 대한 평가에 보다 많은 점수를 부여하여야 한다.
학술대회의 논문의 경우 국내 주요 학술대회는 물론이고, 특히 세계적으로 인정 받고 있는 학술대회(예: ISTP에 등재된 학술대회)의 논문의 경우 학문 분야에 따라 매우 중요한 연구업적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특히 발표 논문의 우수성 때문에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학술대회의 경우 세계 각국의 학문이나 과학 기술력의 경연장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나날이 발전하는 국내 기술경쟁력의 해외 홍보와 국가 기술경쟁력 제고 그리고 나아가 과학 문명의 인류 봉사 측면에서도 세계 유수 학술대회 논문 발표를 장려할 수 있도록 가중치를 부여하여야 할 것이다.
Ⅷ. 결론
연구평가분야에서 해외전문학술지인 인문계의 Arts & Humanities Citation Index, 사회계의 Social Sciences Citation Index 와 자연계의 Science Citation Index 만 강조하다 보면, 국내학술지의 도태와 질적 저하와 가속화가 이뤄질 것으로 이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이 문제는 반드시 대안을 찾아야 할 사안이라고 본다. 하나의 대안으로 한국의 주요 학회의 대표 학회지에 한해, 앞에서 언급한 분야별 국제 Citation Index에 등재되어 있지 않았더라도 해외전문학술지 수준의 점수를 부여하자고 건의한다. 국내 학술지에 좋은 논문의 게재를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그렇게 되면 점차적으로 국내전문학술지의 수준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 흩어져 발표되는 한국의 수준 높은 논문들이 우리 나라 저널에 함께 모아져 출판됨으로서 우리 나라의 결집된 학문적 성과를 보일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우리 나라의 학술지 수준을 높이는 효과와 더불어 우리 나라의 학문적 위상을 더 효과적으로 해외에 내보임으로서 보다 좋은 해외 논문의 투고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국내학술지에 투고하면서 해외전문학술지와 같은 점수를 받는다면 시간상 편리한 점에서도 우리 나라의 좋은 논문의 투고가 있게 될 것이고, 점진적으로 해외 citation index에 등재될 기회도 더욱 더 높아질 것으로 본다.
현재에는 좋은 논문들은 거의가 해외학술지로 빠져나가는 실정이고, 이러한 현상은 교수업적평가제 실시 이후 더욱 심화되었다. 우리 나라의 주요 전문학술지들이 해외 citation index에 등재되어 있지 않아 평가점수가 낮다는 이유 때문이다. 혹자는 우리 나라 저널이 빨리 citation index에 등재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하나, 쉬운 일이 아니고, 우리 나라의 학자들이 먼저 좋은 논문은 실으려고 하지 않는 현실적 악순환의 고리를 깨기는 힘들다. 우리의 것은 우리가 살리자는 분위기가 아쉽다. 우선 대표 학회의 대표 논문집에 한해 평가점수를 상향시키면 시간이 걸리겠지만 점차적으로 이런 악순환이 개선되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우수한 저널이 많이 탄생하리라 확신한다.
참고문헌
김병부 외 - 대학교수 업적평가 및 승진제도의 국제비교
대교협 - 대학교수 업적평가론
엄정인 - 교수평가제도의 실태와 개선방향, 대학교육, 2001
이성호 - 대학교육의 갈등, 느티나무, 1992
이현청 - 대학교수업적평가론, 학지사, 2001
조벽 - 새천년 교육개혁 시리즈(7) 대학이 변해야 나라가 산다, 한국대학신문
  • 가격6,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89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