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능에 대한 변화된 입장
2. 다중지능 이론의 정의 및 특징
3. 다중지능 이론의 여덟가지 영역
4. 프로젝트 스펙트럼
5. 다중지능 평가
2. 다중지능 이론의 정의 및 특징
3. 다중지능 이론의 여덟가지 영역
4. 프로젝트 스펙트럼
5. 다중지능 평가
본문내용
방법과 관련하여 전통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학생 지능의 지시자로서 수행 능력을 보여 줄 수 있는 적절한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실행해야 한다. 사지선다형이거나 단선적 질문이 아니라 보다 대안적인 학생 평가 방법을 고려한다.
셋째, 새로운 평가 프로파일을 개발해야 한다.
3) 다중지능 평가 방법
⑴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는 학생이 자신의 변화과정과 장단점, 성실성 여부, 잠재 가능성 등을 스스로 인식할 수 있고, 교사가 학생의 과거와 현재의 상태를 쉽게 파악하여,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한 조언을 하는데 유용한 하나의 평가 방법
-폴슨과 풀슨(Paulson & Paulson,1992)은 “주어진 영역에서 노력, 진보, 성취를 보여주는 학생 활동의 목적적인 수집” 이라고 정의
-포트폴리오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영역에서 학생의 진보, 노력, 성취를 보여 주기 위한 학생 활동의 가치 있는 수집으로, 수집품은 내용을 선정하는 것, 선정하기 위한 준거를 설정하는 것, 판단하기 위한 준거, 학생의 자기반성의 증거를 포함
-포트폴리오는 시간에 따른 성장을 보여 주는 학생의 활동-쓰기, 리포트, 수행물, 지도, 경험, 봉사활동 등-으로 구성
-포트폴리오에는 각 과제의 선정 이유를 제시하고, 어떻게 학생의 활동을 평가할 것인지, 어떤 기준으로 판단할 것인지에 관한 분명한 평가 준거를 제시한다. 또한 학생의 자기평가는 학생스스로 자신의 진보와 장점을 평가하고, 학습목적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게 한다는 점에서 포트폴리오에서 빠질 수 없는 요소다. 자기 평가는 서류화, 비교, 통합의 세가지로 나눔
⑵루브릭
-루브릭은 다중지능을 평가하기 위한 또 하나의 도구다. 수행평가에서는 학생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서술식 채점 척도
-루브릭과 전통적인 평가 방법이 구별되는 차이점
첫째, 평가 영역이 세부적으로 제시된다.
둘째, 학생의 학습 결과는 점수가 아니라 단계로 표현한다.
셋째, 각 단계에서는 학생들의 수행이 갖는 질적인 특징을 서술적으로 설명해 놓은 진술문이 제시된다.
-루브릭은 학생의 수행이 갖고 있는 특징과 문제점 그리고 수준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역할
-평가에 대한 기준으로서 학생이 학습의 결과로 제시한 자신의 작품이 어떻게 평가될 것인지를 이해하는 효과적인 도구가 된다. 학생은 평가 준거에 비추어 과제 또는 평가 상황을 스스로 준비하고 감독할 수 있어 책임감이 증대되는 등 자기 조절 학습 태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줌
셋째, 새로운 평가 프로파일을 개발해야 한다.
3) 다중지능 평가 방법
⑴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는 학생이 자신의 변화과정과 장단점, 성실성 여부, 잠재 가능성 등을 스스로 인식할 수 있고, 교사가 학생의 과거와 현재의 상태를 쉽게 파악하여,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한 조언을 하는데 유용한 하나의 평가 방법
-폴슨과 풀슨(Paulson & Paulson,1992)은 “주어진 영역에서 노력, 진보, 성취를 보여주는 학생 활동의 목적적인 수집” 이라고 정의
-포트폴리오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영역에서 학생의 진보, 노력, 성취를 보여 주기 위한 학생 활동의 가치 있는 수집으로, 수집품은 내용을 선정하는 것, 선정하기 위한 준거를 설정하는 것, 판단하기 위한 준거, 학생의 자기반성의 증거를 포함
-포트폴리오는 시간에 따른 성장을 보여 주는 학생의 활동-쓰기, 리포트, 수행물, 지도, 경험, 봉사활동 등-으로 구성
-포트폴리오에는 각 과제의 선정 이유를 제시하고, 어떻게 학생의 활동을 평가할 것인지, 어떤 기준으로 판단할 것인지에 관한 분명한 평가 준거를 제시한다. 또한 학생의 자기평가는 학생스스로 자신의 진보와 장점을 평가하고, 학습목적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게 한다는 점에서 포트폴리오에서 빠질 수 없는 요소다. 자기 평가는 서류화, 비교, 통합의 세가지로 나눔
⑵루브릭
-루브릭은 다중지능을 평가하기 위한 또 하나의 도구다. 수행평가에서는 학생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서술식 채점 척도
-루브릭과 전통적인 평가 방법이 구별되는 차이점
첫째, 평가 영역이 세부적으로 제시된다.
둘째, 학생의 학습 결과는 점수가 아니라 단계로 표현한다.
셋째, 각 단계에서는 학생들의 수행이 갖는 질적인 특징을 서술적으로 설명해 놓은 진술문이 제시된다.
-루브릭은 학생의 수행이 갖고 있는 특징과 문제점 그리고 수준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역할
-평가에 대한 기준으로서 학생이 학습의 결과로 제시한 자신의 작품이 어떻게 평가될 것인지를 이해하는 효과적인 도구가 된다. 학생은 평가 준거에 비추어 과제 또는 평가 상황을 스스로 준비하고 감독할 수 있어 책임감이 증대되는 등 자기 조절 학습 태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줌
추천자료
다중지능이론
다중지능이론에 관하여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다중지능이론의 관점 요약과 시사점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다중지능 이론 프로그램 - 다중지능이론의 배경, 지능의 8가지 ...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 에릭슨의 성격발달...
교육심리학 -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 다중지능이론의 시사점, 에릭슨(Erikson)의 ...
[비고스키 가드너] 비고스키(Vygotsky)의 사회문화이론과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다중지능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아동과학교육과 관련하여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인지적 구성주의, 표상이론, 사회문화적구성주의, 다중지능이론과 수학교육의 관련성과 각 ...
[지능이론] 초기의 지능이론 정보처리이론에 기초한 지능이론(스턴버그의 삼원이론 가드너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