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상황일 때
- 문제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해결해가자
- 분노는 내가 자제가 필요함을 알려주는 신호라고 받아들이자.
- 상대의 눈으로 다시 보고 공감해보자.
- 자동적인 생각을 침착한 생각으로 바꾸자.
- 몸이 긴장되면, 침착하도록 긴장을 풀자.
4. 계속적인 강화가 필요할 때
- 나는 침착함을 유지했다. 해냈다.
- 지나간 일로 생각하고 잊어버리자.
- 한결 마음이 편안해 졌다.
- 처신을 잘했던 일에 초점을 두자.
- 다음의 성공적인 조절을 위해서 기록해두자.
● 수동-공격적 분노표현
1. 읽는척하기
- 신문이나 책을 읽으면서 본래의 의도를 숨기는 것
2. 농담하기
- 농담이나 웃기는 행동으로 상처받은 상태를 의도적으로 숨기는 것
3. 피곤한 척 하기
- 이야기를 회피하기 위해서 피곤할 척하는 것
4. 침묵으로 대응하기
- 자신의 상대가 상처받도록 침묵으로 복수하는 것
5. 혼돈된 반응 보이기
- 무언가 이해할 수 없고, 혼란스럽다는 표정으로 가장하는 것
6. 상습적으로 늦기
- 상대의 욕구나 스케줄에 무관심을 나타내는 것
7. 관심의 방향을 다른 데로 돌리기
- 상대가 이야기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는 태도로 반응하는 것
8. 지연시키기 - 의도적으로 시간끌기
9. 과장하기
- 주위의 다른 사람들이 부적절한 느낌을 갖도록 필요이상으로 과장하는 것
10. 실수하기
- 의도적이지만 마치 우연히 일어난 것처럼 행동하는 것
11. 능률없애기
- 고의적으로 주어진 과제를 회피하는 것
12. 과식 또는 소식하기
- 복수심이나 분노의 표현으로 너무 먹거나 먹지 않는 것
13. 아픈척하기
- 동정을 이끌어내고, 자신의 비통함과 좌절, 상처, 무기력, 분노를 잊으려는 것
14. 서툰 척 하기
- 고의적으로 무엇을 깨거나 떨어뜨리는 것
15. 산책한다고 집을 벗어나기
- 고의적으로 그 상황에서 위축되는 것
16. 근거 없는 소문내기
- 다른 사람에 대해서 고의적으로 근거 없는 소문을 퍼뜨리는 것
17. 거짓말하기
- 진실되지 않는 것을 말하거나 사실을 숨기는 것
18. 지나치게 관여하기
- 상대가 관여하지 못하도록, 또는 상대의 요구에 대응할 시간이 없도록 무언가에 너무 지나치게 관여하는 것
19. 고의적으로 방치하기
-상대가 상처받도록 고의적으로 방치하는 것
20. 상대의 나쁜 습관을 과장하거나 악화시키기
21. 스스로 낮추기
- 한 단계 자세를 낮추고 동정을 이끌어내어 이기고자 하는 것
22. 겸손한 척 생색내기
23. 빈둥(꾸물)거리기
- 의도적으로 불필요하게 꾸물거리면서 반응하는 것
24. 모든 것에 동의하기
- “무엇이든지”, “확실하다” 등의 소극적인 표현과 함께 동의하는 것
25. 소극적인 저항하기
- 자신의 방법을 내보내지 않고 고집스런 주장을 하는 것
26. 울기 - 원하는 것을 얻거나 동정을 유발하기 위해서 우는 것
27. 다른 사람이 이루어 놓은 것(성취)을 깍아 내리기
28. 못들은 척 하기
29. 말싸움하기
- 참여나 타협, 양보하지 않기 위해서 주장하는 것
30. 무력화하기
- 상대의 생각을 무시하거나 스스로 무기력하고 냉소적인 사람으로 보이려는 것
31. 지나치게 웃기
- “웃긴다”는 반응을 보여 상대의 감정을 깍아 내리는 것
32. 토라지기
- 상대의 동정이나 죄책감을 유도하는 것
33. 잊어버리기
- 자신이 동의했던 내용을 “자신에게만 편리하게”잊었다고 변명하는 것
34. 의문시하기
- 말싸움이나 상반된 것을 내세우면서 경멸감/멸시감을 은근히 나타내는 것
35. 분노를 인정하지 않기
- “나는 화나지 않았다”고 말하면서 분노를 부인하는 것
36. 이중적 의미 전달하기
- 한가지를 동의하면서 또 다른 반대의 것을 함께 이야기하는 것
- 문제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해결해가자
- 분노는 내가 자제가 필요함을 알려주는 신호라고 받아들이자.
- 상대의 눈으로 다시 보고 공감해보자.
- 자동적인 생각을 침착한 생각으로 바꾸자.
- 몸이 긴장되면, 침착하도록 긴장을 풀자.
4. 계속적인 강화가 필요할 때
- 나는 침착함을 유지했다. 해냈다.
- 지나간 일로 생각하고 잊어버리자.
- 한결 마음이 편안해 졌다.
- 처신을 잘했던 일에 초점을 두자.
- 다음의 성공적인 조절을 위해서 기록해두자.
● 수동-공격적 분노표현
1. 읽는척하기
- 신문이나 책을 읽으면서 본래의 의도를 숨기는 것
2. 농담하기
- 농담이나 웃기는 행동으로 상처받은 상태를 의도적으로 숨기는 것
3. 피곤한 척 하기
- 이야기를 회피하기 위해서 피곤할 척하는 것
4. 침묵으로 대응하기
- 자신의 상대가 상처받도록 침묵으로 복수하는 것
5. 혼돈된 반응 보이기
- 무언가 이해할 수 없고, 혼란스럽다는 표정으로 가장하는 것
6. 상습적으로 늦기
- 상대의 욕구나 스케줄에 무관심을 나타내는 것
7. 관심의 방향을 다른 데로 돌리기
- 상대가 이야기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는 태도로 반응하는 것
8. 지연시키기 - 의도적으로 시간끌기
9. 과장하기
- 주위의 다른 사람들이 부적절한 느낌을 갖도록 필요이상으로 과장하는 것
10. 실수하기
- 의도적이지만 마치 우연히 일어난 것처럼 행동하는 것
11. 능률없애기
- 고의적으로 주어진 과제를 회피하는 것
12. 과식 또는 소식하기
- 복수심이나 분노의 표현으로 너무 먹거나 먹지 않는 것
13. 아픈척하기
- 동정을 이끌어내고, 자신의 비통함과 좌절, 상처, 무기력, 분노를 잊으려는 것
14. 서툰 척 하기
- 고의적으로 무엇을 깨거나 떨어뜨리는 것
15. 산책한다고 집을 벗어나기
- 고의적으로 그 상황에서 위축되는 것
16. 근거 없는 소문내기
- 다른 사람에 대해서 고의적으로 근거 없는 소문을 퍼뜨리는 것
17. 거짓말하기
- 진실되지 않는 것을 말하거나 사실을 숨기는 것
18. 지나치게 관여하기
- 상대가 관여하지 못하도록, 또는 상대의 요구에 대응할 시간이 없도록 무언가에 너무 지나치게 관여하는 것
19. 고의적으로 방치하기
-상대가 상처받도록 고의적으로 방치하는 것
20. 상대의 나쁜 습관을 과장하거나 악화시키기
21. 스스로 낮추기
- 한 단계 자세를 낮추고 동정을 이끌어내어 이기고자 하는 것
22. 겸손한 척 생색내기
23. 빈둥(꾸물)거리기
- 의도적으로 불필요하게 꾸물거리면서 반응하는 것
24. 모든 것에 동의하기
- “무엇이든지”, “확실하다” 등의 소극적인 표현과 함께 동의하는 것
25. 소극적인 저항하기
- 자신의 방법을 내보내지 않고 고집스런 주장을 하는 것
26. 울기 - 원하는 것을 얻거나 동정을 유발하기 위해서 우는 것
27. 다른 사람이 이루어 놓은 것(성취)을 깍아 내리기
28. 못들은 척 하기
29. 말싸움하기
- 참여나 타협, 양보하지 않기 위해서 주장하는 것
30. 무력화하기
- 상대의 생각을 무시하거나 스스로 무기력하고 냉소적인 사람으로 보이려는 것
31. 지나치게 웃기
- “웃긴다”는 반응을 보여 상대의 감정을 깍아 내리는 것
32. 토라지기
- 상대의 동정이나 죄책감을 유도하는 것
33. 잊어버리기
- 자신이 동의했던 내용을 “자신에게만 편리하게”잊었다고 변명하는 것
34. 의문시하기
- 말싸움이나 상반된 것을 내세우면서 경멸감/멸시감을 은근히 나타내는 것
35. 분노를 인정하지 않기
- “나는 화나지 않았다”고 말하면서 분노를 부인하는 것
36. 이중적 의미 전달하기
- 한가지를 동의하면서 또 다른 반대의 것을 함께 이야기하는 것
키워드
추천자료
노인체조프로그램
보육시설 아동의 애착형성과 보육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욕구이론]욕구와 동기이론[머레이의 욕구이론,통제(선택)이론과 욕구,욕구위계이론,A형행동...
사회복지정책의 중요성에 관해 자신의 견해를 중심으로 A4 1매 분량으로 서술하세요
만 2세 대상 표준보육과정 프로그램
[아동발달]아동발달의결정적시기,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고, 유전과 환경...
[놀이치료]놀이치료의 의미, 놀이치료의 필요성, 놀이치료의 레크리에이션(레크레이션) 적용,...
공격성을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과 그 방법이 왜 공격성을 줄이...
보육프로그램의 내용과 계획안의 실제 -일과의 운영, 영유아를 위한 하루일과 구성, 하루일과...
여성의 사회 경제적 참여에 관해 보육교사 입장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보육과정에의 시사...
우리나라 사회복지시설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조사하고, 자신이 생각하는 문제점은...
[발달장애] 섭식장애, 정신분열증, 자폐와 아스퍼거 장애, 사회적 이야기 시행 기법, 사회적 ...
[영아기 정서발달] 영아의 정서적 발달(영아정서발달, 정서이해능력, 자의식적인 정서출현, ...
청소년육성제도론 공통) '청소년육성제도론‘에서 다루는 법률에 따라 설치·운영되는 청소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