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탈산업도시론-검토와 재인식
Ⅰ. 탈산업화(혹은 탈산업사회)론의 전개
Ⅱ. 탈산업도시론 내용
Ⅲ. 탈산업도시의 재인식: 탈산업화의 정치경제(학)적 이해
*참고문헌
Ⅰ. 탈산업화(혹은 탈산업사회)론의 전개
Ⅱ. 탈산업도시론 내용
Ⅲ. 탈산업도시의 재인식: 탈산업화의 정치경제(학)적 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의 실현과정을 유기적으로 통합하
는 산업화의 방식으로서 궁극적으로 자본순환의 가속화를 담아내는 '고
도화된 축적의 한 양으로 규정된다. 네트워크 생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개별적인 활동단위간에 '조정과 등합을 도모하면서 자본순환과정
을 전체로서 순조롭게 계속해가는 데 있다. 개별 활동들이 개별 자본에
의해 소유되고 통제되고 있기 때문에 일상적인 생산소비 과정에서 '자
본간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진다. 경쟁자본주의단계에서 이러한 경쟁은
시장관계에 의해 조정되었지만 지구적 영역을 하나의 권역으로 하여 축
적을 추구하는 오늘날의 자본주의단계에서 그러한 역할은 '금융자본
(finance capital)'이 주로 담당한다(Harvey, 1989a). 금융자본은 상품의
순환과정을 구성하는 돈의 흐름을 장악하여 생산자본의 활동을 지배하
고 통제하는 자본의 선진적인 형태이다. 즉 가치의 창출과 실현이 복잡
하면서 긴 투입-산출 과정을 통해 전개되는 순환체제에서 생산자본의
활동영역은 기업내에서의 기술합리화나 기업간 생산공정 및 유통망의
통합에 의해 축소되는 반면, 그 순환의 많은 영역은 서비스 관련 활동
들로 채워지는데, 그러한 서비스 생산활동을 통제하는 새로운 자본의
형태가 바로 금융자본인 것이다. 이런 점에서 네트워크산업화는 금융자
본의 순환방식을 반영하는 새로운 산업화의 양상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Thrift, 1996).
탈산업도시의 주력산업, 즉 생산자 및 소비자 서비스업은 상품생산에
서 투입요소의 고도화, 생산척정의 순조로운 흐름, 유통소비 과정의
매끄러운 순환 등을 중심으로 조직화된 새로운 축적활동에 다름아니다.
이런 점에서 탈산업도시는 상품 가치요소가 투입되는 과정의 확대, 가
치생산괴생의 복잡화/체제화, 가치실현괴정의 심화 등과 관련된 활동과
기능이 공간적으로 집중되어 매듭화된 장소라 할 수 있다. 탈산업도시
로 집결되는 가치 생산-실현의 '흐름'은 지구적 네트워크를 구성하면
서 전개된다. 그것은 자본축적 활동이 국민국가적 영역을 이젠 본격적
으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흐름을 매개하고 통제하며 배분
하는 기능의 '중심성(centrality)'이 집중된 도시를 특히 '지구적 도시
(global cities)'라 부른다(Sassen, 1997). 오늘날 지구적 도시의 주된 산
업이 금융으로 대표되는 FIRE 산업인 것은 앞서 설명했던 자본순환을
돕고 촉진하며 영향을 주는 순환자본으로서 금음자본과 관련되는 기능
과 활동이 집중된 데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금음자본이 '순환자본
(circulation capital)' 중에서 상위의 자본유형이라면, 생산활동과 보다
가까이 있으면서 상품 생산-유통-소비의 과정을 직접적으로 관장하
는 구체적인 자본의 형태는 서비스업들이다. 연구개발, 유통, 기획, 정
보처리, 광고, 법률상담, 부동산 등은 지구적인 도시들이 보유하고 있는
구체적인 서비스업체들인데, 이런 산업들이 집적을 이룬 공간이 곧 '메
트로폴리탄 산업지구(Metropolkan industrial dsitncts)'이다. 탈산업도시
의 내부는 바로 이러한 축적활동은 자본의 활동이나 산업의 활동)을 중
심으로 형성된 도시의 생산관계, 노동시장, 직업구조, 소비활동, 계급
계층 관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강현수. 2000, ‘도시관리주의와 소비도시사회학’
-강대기. 1995, ‘현대도시론’, 민음사
-한국도시연구소. 1998, ‘한국도시론’, 박영사
-피터 손더스 지음, 김찬호외 옮김. 1998, ‘도시와 사회이론’, 한울
-권용우 외. 1998, ‘도시의 이해’, 박영사
-김한준 외, 1999. ‘현대도시무제의 이해’, 한길사
는 산업화의 방식으로서 궁극적으로 자본순환의 가속화를 담아내는 '고
도화된 축적의 한 양으로 규정된다. 네트워크 생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개별적인 활동단위간에 '조정과 등합을 도모하면서 자본순환과정
을 전체로서 순조롭게 계속해가는 데 있다. 개별 활동들이 개별 자본에
의해 소유되고 통제되고 있기 때문에 일상적인 생산소비 과정에서 '자
본간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진다. 경쟁자본주의단계에서 이러한 경쟁은
시장관계에 의해 조정되었지만 지구적 영역을 하나의 권역으로 하여 축
적을 추구하는 오늘날의 자본주의단계에서 그러한 역할은 '금융자본
(finance capital)'이 주로 담당한다(Harvey, 1989a). 금융자본은 상품의
순환과정을 구성하는 돈의 흐름을 장악하여 생산자본의 활동을 지배하
고 통제하는 자본의 선진적인 형태이다. 즉 가치의 창출과 실현이 복잡
하면서 긴 투입-산출 과정을 통해 전개되는 순환체제에서 생산자본의
활동영역은 기업내에서의 기술합리화나 기업간 생산공정 및 유통망의
통합에 의해 축소되는 반면, 그 순환의 많은 영역은 서비스 관련 활동
들로 채워지는데, 그러한 서비스 생산활동을 통제하는 새로운 자본의
형태가 바로 금융자본인 것이다. 이런 점에서 네트워크산업화는 금융자
본의 순환방식을 반영하는 새로운 산업화의 양상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Thrift, 1996).
탈산업도시의 주력산업, 즉 생산자 및 소비자 서비스업은 상품생산에
서 투입요소의 고도화, 생산척정의 순조로운 흐름, 유통소비 과정의
매끄러운 순환 등을 중심으로 조직화된 새로운 축적활동에 다름아니다.
이런 점에서 탈산업도시는 상품 가치요소가 투입되는 과정의 확대, 가
치생산괴생의 복잡화/체제화, 가치실현괴정의 심화 등과 관련된 활동과
기능이 공간적으로 집중되어 매듭화된 장소라 할 수 있다. 탈산업도시
로 집결되는 가치 생산-실현의 '흐름'은 지구적 네트워크를 구성하면
서 전개된다. 그것은 자본축적 활동이 국민국가적 영역을 이젠 본격적
으로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흐름을 매개하고 통제하며 배분
하는 기능의 '중심성(centrality)'이 집중된 도시를 특히 '지구적 도시
(global cities)'라 부른다(Sassen, 1997). 오늘날 지구적 도시의 주된 산
업이 금융으로 대표되는 FIRE 산업인 것은 앞서 설명했던 자본순환을
돕고 촉진하며 영향을 주는 순환자본으로서 금음자본과 관련되는 기능
과 활동이 집중된 데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금음자본이 '순환자본
(circulation capital)' 중에서 상위의 자본유형이라면, 생산활동과 보다
가까이 있으면서 상품 생산-유통-소비의 과정을 직접적으로 관장하
는 구체적인 자본의 형태는 서비스업들이다. 연구개발, 유통, 기획, 정
보처리, 광고, 법률상담, 부동산 등은 지구적인 도시들이 보유하고 있는
구체적인 서비스업체들인데, 이런 산업들이 집적을 이룬 공간이 곧 '메
트로폴리탄 산업지구(Metropolkan industrial dsitncts)'이다. 탈산업도시
의 내부는 바로 이러한 축적활동은 자본의 활동이나 산업의 활동)을 중
심으로 형성된 도시의 생산관계, 노동시장, 직업구조, 소비활동, 계급
계층 관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강현수. 2000, ‘도시관리주의와 소비도시사회학’
-강대기. 1995, ‘현대도시론’, 민음사
-한국도시연구소. 1998, ‘한국도시론’, 박영사
-피터 손더스 지음, 김찬호외 옮김. 1998, ‘도시와 사회이론’, 한울
-권용우 외. 1998, ‘도시의 이해’, 박영사
-김한준 외, 1999. ‘현대도시무제의 이해’, 한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