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오장
1. 간
2. 심
3. 비(지라)
4. 폐(허파)
5. 신(콩팥)
6. 심포
육부
1. 담(쓸개)
2. 소장(작은창자)
3. 위(밥통)
4. 대장(큰창자)
5. 방광(오줌통)
[출처]
2. 본론
3. 결론
오장
1. 간
2. 심
3. 비(지라)
4. 폐(허파)
5. 신(콩팥)
6. 심포
육부
1. 담(쓸개)
2. 소장(작은창자)
3. 위(밥통)
4. 대장(큰창자)
5. 방광(오줌통)
[출처]
본문내용
하는데 이곳에서는 소화에 꼭 있어야 하는 위액을 만들어 낸다. 위액은 하루에 1.5리터 가량 나온다. 위액의 성분의 수분, 염산(위산이라고 함), 레닌, 리파제 등이다.
기능
위는 일정한 사이를 두고 율동적으로 되풀이 되는 운동을 한다. 이 운동에 의하면 음식물을 위액과 섞으며 묽은 죽과 같이 부수어 놓는 일을 한다. 이것을 위의 소화 작용 이라 하며 죽과 같이 된 음식물을 소장으로 내려 보내는 일도 한다. 위가 정상인 경우는 3-5시간에 소화되어 소장으로 내려 보낸다. 위에서는 영양분을 거의 흡수하지 않고 알코올과 약간의 당분을 흡수할 뿐이다.
한의학에서 보는 위
위를 태창 또는 두라고도 한다. 위는 육부 중에서 가장 으뜸 되는 것으로 사람이 사는 사회에서 시장 같은 것이라 하였으며 수곡(음식물)을 받아 들여 여기서 정기를 얻어 온 몸에 공급한다고 믿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위는 오장육부에 영양을 공급하는 극히 중요한 장기라고 설명되고 있다. 만약 위에 병이 생기면 위기가 약해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지만 다른 장부에 영향을 주고 혹은 질병으로 몰고 간다고 봤다.
4. 대장(큰창자)
대장의 위치
대장은 소화관의 맨 끝부분인데 하복부의 오른쪽 밑에서 소장과 이어서 뱃속을 한 바퀴 돌아 항문 즉, 똥구멍에서 그치는데 배꼽 밑을 가로 질러 놓여 있다.
대장의 형상과 구조
대장은 길이가 약 1.5m이며, 직경이 약 8Cm되는 굵은 소화관이다. 대장은 위치에 따라 맹장, 결장, 직장으로 구분한다. 맹장은 소장과 이어지는 부분이며 맹장 끝에 충수돌기가 달려있다. 충수돌기는 길이가 약 8-10Cm 굵기가 0.5-1Cm정도로 끝이 막혀 있으며, 이것이 세균 등으로 감염되면 염증을 일으키는데 이것을 속칭 맹장염이라 한다.
결장은 대장의 가운데 부분인데 또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결장과 같이 넷으로 구분한다. 직장은 S상 결장에 이어져 둘째 허리뼈 높이에서 천골(응치뼈)정중앙을 따라 밑으로 내려가 꼬리뼈 끝에서 급히 뒤쪽으로 굽어져 항문으로 열리는 15Cm정도의 대장 끝부분이다. 대장 속에서 소장속의 점막과는 달리 영양분을 빨아들이는 융모가 없고 매끈하다. 항문이 오므라져 있는 것은 항문부의 근육을 닫고 여는 내괄약근과 외괄약근이 있기 때문이며 배변을 할 때면 이 근육이 늘어나 항문이 열린다.
기능
대장에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분포되어 있어 운동을 조절한다. 대장의 운동으로 변이 항문 쪽으로 이동된다. 대장은 소장에서 영양분을 흡수한 음식물의 찌꺼기를 썩히는 일을 하고 있다. 대장 속에는 많은 세균이 있어 이것이 가능하며 음식물이 썩을 때 가스가 생기며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 대장에서는 약간의 수분과 염류만을 흡수하고 대변 덩어리를 형성하고 배변을 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한의학에서 보는 대장
대장을 일명 회장 또는 광장이라고 하였다. 대장이 등에 붙어서 소장에서 찌꺼기를 받아 배꼽으로 돌아서 겹겹이 쌓이고 항문에서 하구를 열고 있다고 보아 왔으며, "전도지관으로 변화해서 배출한다."고 하였다. 이 뜻은 음식물의 찌꺼기를 시 즉, 대변으로 만들어 이것을 밖으로 내보내는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5. 방광(오줌통)
방광의 위치
방광은 하복부의 맨 아래쪽 가운데 치골의 뒤쪽에 있다. 남자는 직장 앞에 놓여 있고, 여자는 자궁과 질(생식기) 앞에 놓여 있다.
방광의 형상과 구조
방광은 근육으로 된 큰 주머니 같은 기관이다. 오줌 약 500CC가 들어 갈 수 있으며, 오줌이 다 흘러내리면 바람 빠진 고무풍선 같으나 오줌이 가득차면 둥글납작한 타원형이다. 방광의 끝에는 요도와 연결되고 위쪽에는 신장으로 이어져서 오줌이 흘러 들어오는 수뇨관과 연결되어 있다. 요도는 오줌을 눌 때 오줌이 흘러내리는 끝부분이다.
기능
방광은 신장에서 수뇨관을 통해 내려 보내진 오줌을 저장하였다가 주기적으로, 즉 하루네,다섯번 몸 밖으로 배설하는 일을 한다.
한의학에서 보는 방광
방광은 하복부 배꼽 밑의 4치(약 12Cm)되는 곳에 있다고 하였으며, 방광은 오줌을 저장하는 일을 주관한다고 하였다. 음식물 즉, 수곡은 비장과 위의 작용에 의하여 진액으로 변하여 전신에 옮겨지는데 인체에서 필요한 양만을 흡수하고 나머지는 모두 몸밖으로 배설한다고 믿어 왔으며, 이 나머지의 진액이 땀으로 되어 나오고, 나머지 대부분은 삼초의 수도를 거쳐서 방광으로 보내져 소변이 된다고 하였다
6. 삼초
삼초는 한의학에서만 쓰이고 있는 용어이다. 삼초는 상초, 중초, 하초 이렇게 셋으로 구분한다.
-상초 : 상초는 횡격막 즉, 명치 위쪽을 말하는데 폐와 심의 호흡작용을 주로 하고 있다.
-중초 : 중초는 횡격막 이하 배꼽까지의 몸 중앙부분을 말하는데 비장과 위의 소화 작용을 주로 하고 있다.
-하초 : 하초는 배꼽 밑의 하복부 부분을 말하는데 신장과 간장의 생식 및 배설작용을 주로 하고 있다.
근대의학에서 보는 삼초
삼초를 근대학에서는 임파의 작용으로 해석하고 있는 것이 지배적이다. 임파는 심장, 혈관, 혈액과 같이 순환기계에 속하는 것으로 제2의 생명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임파는 혈액에 섞여 조직으로 가고 또 조직에서 혈액과 갈라져 임파관을 따라 흐르는 심장 가까이에서 혈액과 합류하는데 이것이 생명의 원천이 되고 몸에 열을 내게 하는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는 것이다. 전신에 임파가 흐르는 임파관이 혈관과 비슷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임파계의 주 장기는 비장이다.
한방에서는 삼초를 이상과 같이 설명하고 있으며 다른 장부와 같이 뚜렷한 형태의 기관이 없기 때문에 무형의 장기라 일컫는다. 그런데 몸 안에 하는 일은 호흡을 주관하고, 소화를 주관하며, 생식 및 배설을 주관하기 때문에 매우 쓸모가 있는 장기라고 높이 생각되어 왔다.
[출처]
http://cafe.daum.net/sonpoet - 유익한 정보
http://yoonhani.co.kr/ 윤한의원
http://blog.naver.com/phr4610/110015398722 네이버 블로그
http://kr.blog.yahoo.com/hanlim_104/1530372.html?p=2&t=3 야후블로그
기능
위는 일정한 사이를 두고 율동적으로 되풀이 되는 운동을 한다. 이 운동에 의하면 음식물을 위액과 섞으며 묽은 죽과 같이 부수어 놓는 일을 한다. 이것을 위의 소화 작용 이라 하며 죽과 같이 된 음식물을 소장으로 내려 보내는 일도 한다. 위가 정상인 경우는 3-5시간에 소화되어 소장으로 내려 보낸다. 위에서는 영양분을 거의 흡수하지 않고 알코올과 약간의 당분을 흡수할 뿐이다.
한의학에서 보는 위
위를 태창 또는 두라고도 한다. 위는 육부 중에서 가장 으뜸 되는 것으로 사람이 사는 사회에서 시장 같은 것이라 하였으며 수곡(음식물)을 받아 들여 여기서 정기를 얻어 온 몸에 공급한다고 믿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위는 오장육부에 영양을 공급하는 극히 중요한 장기라고 설명되고 있다. 만약 위에 병이 생기면 위기가 약해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지만 다른 장부에 영향을 주고 혹은 질병으로 몰고 간다고 봤다.
4. 대장(큰창자)
대장의 위치
대장은 소화관의 맨 끝부분인데 하복부의 오른쪽 밑에서 소장과 이어서 뱃속을 한 바퀴 돌아 항문 즉, 똥구멍에서 그치는데 배꼽 밑을 가로 질러 놓여 있다.
대장의 형상과 구조
대장은 길이가 약 1.5m이며, 직경이 약 8Cm되는 굵은 소화관이다. 대장은 위치에 따라 맹장, 결장, 직장으로 구분한다. 맹장은 소장과 이어지는 부분이며 맹장 끝에 충수돌기가 달려있다. 충수돌기는 길이가 약 8-10Cm 굵기가 0.5-1Cm정도로 끝이 막혀 있으며, 이것이 세균 등으로 감염되면 염증을 일으키는데 이것을 속칭 맹장염이라 한다.
결장은 대장의 가운데 부분인데 또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결장과 같이 넷으로 구분한다. 직장은 S상 결장에 이어져 둘째 허리뼈 높이에서 천골(응치뼈)정중앙을 따라 밑으로 내려가 꼬리뼈 끝에서 급히 뒤쪽으로 굽어져 항문으로 열리는 15Cm정도의 대장 끝부분이다. 대장 속에서 소장속의 점막과는 달리 영양분을 빨아들이는 융모가 없고 매끈하다. 항문이 오므라져 있는 것은 항문부의 근육을 닫고 여는 내괄약근과 외괄약근이 있기 때문이며 배변을 할 때면 이 근육이 늘어나 항문이 열린다.
기능
대장에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분포되어 있어 운동을 조절한다. 대장의 운동으로 변이 항문 쪽으로 이동된다. 대장은 소장에서 영양분을 흡수한 음식물의 찌꺼기를 썩히는 일을 하고 있다. 대장 속에는 많은 세균이 있어 이것이 가능하며 음식물이 썩을 때 가스가 생기며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 대장에서는 약간의 수분과 염류만을 흡수하고 대변 덩어리를 형성하고 배변을 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한의학에서 보는 대장
대장을 일명 회장 또는 광장이라고 하였다. 대장이 등에 붙어서 소장에서 찌꺼기를 받아 배꼽으로 돌아서 겹겹이 쌓이고 항문에서 하구를 열고 있다고 보아 왔으며, "전도지관으로 변화해서 배출한다."고 하였다. 이 뜻은 음식물의 찌꺼기를 시 즉, 대변으로 만들어 이것을 밖으로 내보내는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5. 방광(오줌통)
방광의 위치
방광은 하복부의 맨 아래쪽 가운데 치골의 뒤쪽에 있다. 남자는 직장 앞에 놓여 있고, 여자는 자궁과 질(생식기) 앞에 놓여 있다.
방광의 형상과 구조
방광은 근육으로 된 큰 주머니 같은 기관이다. 오줌 약 500CC가 들어 갈 수 있으며, 오줌이 다 흘러내리면 바람 빠진 고무풍선 같으나 오줌이 가득차면 둥글납작한 타원형이다. 방광의 끝에는 요도와 연결되고 위쪽에는 신장으로 이어져서 오줌이 흘러 들어오는 수뇨관과 연결되어 있다. 요도는 오줌을 눌 때 오줌이 흘러내리는 끝부분이다.
기능
방광은 신장에서 수뇨관을 통해 내려 보내진 오줌을 저장하였다가 주기적으로, 즉 하루네,다섯번 몸 밖으로 배설하는 일을 한다.
한의학에서 보는 방광
방광은 하복부 배꼽 밑의 4치(약 12Cm)되는 곳에 있다고 하였으며, 방광은 오줌을 저장하는 일을 주관한다고 하였다. 음식물 즉, 수곡은 비장과 위의 작용에 의하여 진액으로 변하여 전신에 옮겨지는데 인체에서 필요한 양만을 흡수하고 나머지는 모두 몸밖으로 배설한다고 믿어 왔으며, 이 나머지의 진액이 땀으로 되어 나오고, 나머지 대부분은 삼초의 수도를 거쳐서 방광으로 보내져 소변이 된다고 하였다
6. 삼초
삼초는 한의학에서만 쓰이고 있는 용어이다. 삼초는 상초, 중초, 하초 이렇게 셋으로 구분한다.
-상초 : 상초는 횡격막 즉, 명치 위쪽을 말하는데 폐와 심의 호흡작용을 주로 하고 있다.
-중초 : 중초는 횡격막 이하 배꼽까지의 몸 중앙부분을 말하는데 비장과 위의 소화 작용을 주로 하고 있다.
-하초 : 하초는 배꼽 밑의 하복부 부분을 말하는데 신장과 간장의 생식 및 배설작용을 주로 하고 있다.
근대의학에서 보는 삼초
삼초를 근대학에서는 임파의 작용으로 해석하고 있는 것이 지배적이다. 임파는 심장, 혈관, 혈액과 같이 순환기계에 속하는 것으로 제2의 생명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임파는 혈액에 섞여 조직으로 가고 또 조직에서 혈액과 갈라져 임파관을 따라 흐르는 심장 가까이에서 혈액과 합류하는데 이것이 생명의 원천이 되고 몸에 열을 내게 하는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는 것이다. 전신에 임파가 흐르는 임파관이 혈관과 비슷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임파계의 주 장기는 비장이다.
한방에서는 삼초를 이상과 같이 설명하고 있으며 다른 장부와 같이 뚜렷한 형태의 기관이 없기 때문에 무형의 장기라 일컫는다. 그런데 몸 안에 하는 일은 호흡을 주관하고, 소화를 주관하며, 생식 및 배설을 주관하기 때문에 매우 쓸모가 있는 장기라고 높이 생각되어 왔다.
[출처]
http://cafe.daum.net/sonpoet - 유익한 정보
http://yoonhani.co.kr/ 윤한의원
http://blog.naver.com/phr4610/110015398722 네이버 블로그
http://kr.blog.yahoo.com/hanlim_104/1530372.html?p=2&t=3 야후블로그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case study - Pneumonia(폐렴)
IUGR자궁내성장지연 아동간호학 CASE STUDY
[간호학 case study]정신과NP 정신지체
[간호학 case study]보건소 모자보건실 간호실습
[간호학 case study]외과GS 충수돌기염
[간호학 case study]중환자실ICU 상부위장관출혈(UGI bleeding)
[간호학 case study]부인과OBGY 난소의 양성종양(난소절제술)
아동간호학) 아동병동 폐렴 pneumonia case 케이스
아동간호학) 신생아중환자실 NICU 미숙아 case 케이스
<성인간호학>위암 case study
여성간호학 CASE STUDY 골반염증성질환(PID pelvic inflammatory disease)
정신간호학 CASE STUDY [조현병][정신분열]
정신간호학 case study-Schizophrenia(SPR) 정신분열병
지역사회간호학 Case Study (A+자료 / 간호계획 -진단 1개당 2~3P 분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