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열국지 18회 19회 20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주열국지 18회 19회 20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8회, 19회, 20회

본문내용

저 투씨에게 시행하도록 하니 여러 사람이 따르지 않을 수 없었다.
又以 (땅 이름 영; -총10획; yng)
城南極湘 湘(강 이름 상; -총12획; xiang)潭: 후난성(湖南省)의 중동부 샹쟝(湘江) 중하류
潭,北據漢江,形勝之地 형승지지: 경치(景致)가 매우 아름다운 땅
,自丹陽 丹陽 : ①장쑤(江蘇) 성에 있는 현. ②단양(丹陽) 현의 현청 소재지
徙 徙(옮길 사; -총11획; x)
都之,號曰都楚紀南城 (초기남성), Chu ji nan cheng:후베이성[湖北省] 징먼[] 초기에는 잉두[都]라고 불렀다. 위치가 초(楚)나라의 남쪽에 위치하여 난잉[南]으로 개칭하였는데, 지산[紀山]의 남쪽이기도 하여 지잉[紀]이라고도 불렀다.

우이령성남극상담 북거한강 형승지지 자단양사도지 호왈령도.
또한 영성 남쪽 끝이 상담이며 북쪽에 한강에 근거하여 형세가 빼어난 곳은 단양에서부터 도읍을 옮기며 ‘영도’라고 호칭하였다.
治兵訓武,進賢任能。
치병훈무 진현임능.
투누오도는 병사를 다스리며 무사를 훈련시켜 현인을 등용하며 능력자를 임명하였다.
以公族屈完爲賢,使爲大夫,族人鬪章才而有智,使與諸鬪同治軍旅 군려:①군대(軍隊)의 수 ②또는 군세(軍勢)

이공족굴완위현 사위대부 족인투장재이유지 사여제투동치군려.
투누오도는 공족인 굴완이 현명하여 대부를 시키고 씨족인 투장이 재주와 지혜가 있어서 여러 투씨와 함께 군사를 다스리게 했다.
以其子鬪班爲申公。
이기자투반위신공.
아들 투반도 신공이 되었다.
楚國大治。
초국대치.
초나라는 크게 다스려졌다.  
齊桓公聞楚王任賢圖治,恐其爭勝中原,欲起諸侯之兵伐楚。
제환공문초왕임현도치 공기쟁승중원 욕기제후지병벌초.
제환공이 초나라 왕이 현인을 임명하며 정치를 도모함을 들으니 다툼이 중국보다 이길까 두려워서 제후의 병사를 일으켜 초나라를 정벌하려고 했다.
問管仲,管仲對曰:「楚稱王南海,地大兵强,周天子不能制。今又任子文爲政,四境安堵 안도 :①사는 곳에서 평안(平安)히 지냄 ②마음을 놓음
,非可以兵威得志也。且君新得諸侯,非有存亡興滅之德,深入人心,恐諸侯之兵,不爲我用。今當益廣 益廣 : 더욱 넓힘
威德,待時而動,方保萬全。」
문관중 관중대왈 초칭왕남해 지대병강 주천자불능제. 금우임자문위정 사경안도 비가이병위득지야. 차군신득제후 비유존망흥멸지덕 심입인심 공제후지병 불위아용. 금당익광위덕 대시이동 방보만전.
관중에게 물으니 관중이 대답했다. “초나라는 남해[중국남쪽]에서 왕이라고 칭하며 땅이 넓고 병사가 강하며 주나라 천자도 제어할 수 없습니다. 지금 또한 자문에게 정치를 맡겨서 사방 국경이 편안하며 병사와 위협으로 뜻을 얻을 수 없습니다. 또한 군주가 새로 제후의 마음을 얻으니 망함을 보존하며 멸함을 흥기하는 덕이 있어 깊이 사람 마음에 들어가지 못하니 제후의 병사가 우리가 쓰지 못할까 두렵습니다. 지금 응당 위엄의 덕을 더욱 넓히고 시기를 기다려서 움직이면 바로 만전을 보전할 수 있습니다.”
桓公曰:「自我先君報九世之仇,剪滅 剪(자를 전; -총11획; jian)滅:1. 쳐부수어 멸망시킴. 2. 쳐서 평정함
紀國,奄 奄(가릴 엄; -총8획; yan,yan)유:남기지 아니하고 전부 차지함. 또는 마침내 다스리게 됨
有其地。 (나라 이름 장; -총14획; zhang):周代의 나라 이름으로 지금의 산둥성(山東省) 둥핑(東平)의 동쪽
爲紀附庸,至今未服,寡人欲幷滅之,何如?」
환공왈 자아선군보구세지구 전멸기국 엄유기지. 장위기부용 지금미복 과인욕병멸지 하여?
제환공이 말하길 “내가 선군으로부터 9세대의 원수가 있어서 기나라를 잘라 없애고 그 땅을 덮어버렸다. 장이란 기나라의 부용국으로 지금도 아직 불복하니 과인이 병합해 없애려고 하는데 어떠한가?”
管仲曰:「雖小國,其先乃太公之支孫 지손 :①지파(支派)의 자손(子孫) ②지차(之次)의 자손(子孫)
,爲齊同姓。滅同姓,非義也。君可命王子成父率大軍巡視紀城,示以欲伐之狀。必畏而來降。是無滅親之名,而有得地之實矣。」
관중왈 장수소국 기선내태공지지손 위제동성. 멸동성 비의야. 군가명왕자성보솔대군순시기성 시이욕벌지상. 장필외이래항. 시무멸친지명 이유득지지실의.
관중이 말하길 “장나라가 비록 작은 나라이지만 선대로 태공의 자손이며, 제나라와 같은 성입니다. 동성을 멸망시킴은 의로움이 아닙니다. 군주께서 왕자성보에게 명령하여 대군을 인솔하여 기성을 순시하며 정벌의 형상을 보여주십시오. 장나라는 반드시 두려워서 항복하러 올 것입니다. 이는 친척의 이름을 없앰이 없고 땅을 얻는 실리입니다.”
桓公用其策,君果畏懼求降。
환공용기책 장군과외구구항.
제환공이 계책을 쓰려고 하니 장나라 군주가 과연 두려워 항복을 구했다.
桓公曰:「仲父之謀,百不失一!」
환공왈 중부지모 백불실일.
제환공이 말하길 “중부[관중]의 계책은 백에 하나도 실수가 없다!”
君臣正計議國事,忽近臣來報:「燕國被山戎山戎(산융), Shanrong: 중국 춘추(春秋)시대에 산시성[山西省] 타이위안[太原]에 살았던 고대 민족이다. 후에 허베이성[河北省] 위톈현[玉田縣] 북서부에 있는 우중산[無終山]으로 이주하였기 때문에 우중[無終]·베이융[北戎]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기원전 7세기 때는 정(鄭)·제(齊)·연(燕)나라를 침략하는 세력이 있었다. 661년(周惠王 13년)에 연나라를 침략하였으나 제나라의 도움을 받은 연나라에게 패하였다. 주영왕(周靈王) 때에는 진(晉)나라와 화친하여 짐승 가죽 등을 활발하게 거래하기도 하였다. 주경왕(周景王) 4년 이후 조(趙)나라에 의해 멸망하였다.
用兵侵伐,特遣人求救。」
군신정토의국사 홀근신래보. 연국피산융용병침벌 특견인구구.
군주와 신하가 바로 국사를 논의함에 갑자기 가까운 신하가 보고하러 왔다. “연나라가 산융에게 병사로 침입을 당하여 특별히 사람을 보내 구원을 청합니다.”
管仲曰:「君欲伐楚,必先定戎。戎患旣熄,乃可專事於南方矣。」
관중왈 군욕벌초 필선정융. 융환기식 내가전사어남방의.
관중이 말하길 “군주께서 초나라를 정벌하려면 반드시 먼저 산융의 오랑캐를 평정해야 합니다. 산융족의 근심이 이미 없어져야만 남방을 오로지 일삼을 수 있습니다.”
畢竟桓公如何服戎,且聽下回分解。
필경환공여하복융 차청하문분해.
필경 제환공이 어떻게 융을 정복함은 또한 다음 회의 분의 해석을 들어보자.

키워드

  • 가격12,000
  • 페이지수84페이지
  • 등록일2011.05.03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39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