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너무 가혹하거나 그것이 우리에게 많은 유혹을 주어서 청소년들이 탈선을 하고 어른들이 부정을 저지를 수도 있지만 그래도 인간에게는 그러한 현실에 관계없이 오직 자신이 주재할 수 있는 의지에 따라서 도덕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일말의 희망이 있기 때문에 말이다.
-끝-
<참고서적: 한국철학 스케치,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풀빛출판사, 2007>
-끝-
<참고서적: 한국철학 스케치,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풀빛출판사, 2007>
추천자료
조선시대 교육의 특징과 조선시대 교육의 문제점 및 고찰 및 현대교육에의 시사점
[유학사상][탈주자학적 유학사상][신라시대 유학사상][고려시대 유학사상][조선시대 유학사상...
정신건강개론 및 자기발견과 적응 분석과 성리학적 접근(퇴계이황, 율곡이이 사상) 조사분석
<한국사과 교수, 학습 지도안(4/8)> 조선 시대 통합 단원 구성 - 사극으로 보는 조선
2009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 교육과정 이론으로서의 성리학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농민항쟁, 조선사림정치
[A+] 조선후기의 서민문화 - 조선시대 서민문화, 발달배경, 조선후기의 문학, 예술, 조선후기...
[유교관][유교관 성격][유교관과 효사상][유교관과 인권][정산종사 유교관][유교관과 조선시...
[근기 남인학파, 남인학파, 역사인식, 중국관, 조선후기실학, 성호 이익]근기 남인학파의 역...
[신라, 조선, 왕권, 신라 왕권(신문왕), 신라 왕권강화, 조선 왕권(태조), 조선 왕권약화, 신...
간재전우 (艮齋 田愚, 이기심성론, 간재전우성리학, 심본성설, 성존심비, 송시열, 도학)
[한국문학사] 조선 전기문학의 특징 - 『조선 전기의 특징』, 『조선 전기의 시조』, 『조선 ...
사단칠정논변의 핵심은 도덕 심성과 도덕 실천이다 - 퇴계 이황(退溪 李滉) (퇴계 이황의 사...
권근과 정도전의 신분적 차이,권근의 사상(철학사상 성리학,교육사상,입학도설), 정도전의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