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인사예절의 목적
Ⅲ. 인사예절의 변천
1. 옛날의 인사 예절
2. 개화기 시대의 인사 예절(1890년대부터)
3. 일제강점기 때
4. 광복 이후 우리 사회의 인사예절
5. 오늘날의 인사
Ⅳ. 인사예절의 중요성
Ⅴ. 인사예절의 생활화
Ⅵ. 인사예절의 동양과 서양 비교
1. 동양의 절 인사는 경(敬)을 기본으로 한다
2. 서양의 인사는 bow가 아닌 greeting이다
Ⅶ. 인사예절의 유의사항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Ⅱ. 인사예절의 목적
Ⅲ. 인사예절의 변천
1. 옛날의 인사 예절
2. 개화기 시대의 인사 예절(1890년대부터)
3. 일제강점기 때
4. 광복 이후 우리 사회의 인사예절
5. 오늘날의 인사
Ⅳ. 인사예절의 중요성
Ⅴ. 인사예절의 생활화
Ⅵ. 인사예절의 동양과 서양 비교
1. 동양의 절 인사는 경(敬)을 기본으로 한다
2. 서양의 인사는 bow가 아닌 greeting이다
Ⅶ. 인사예절의 유의사항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에 해당되는 것에 bow가 있으나 우리와 같이 허리를 구부리는 인사가 아니라 ‘머리를 숙이는’ 정도의 절을 하거나, 특히 여성이 왕에게 하는 커티시(courtesy)는 왼발을 뒤로 빼고 가볍게 무릎을 굽혔다 펴는 인사를 하고 왕이 청한 손을 잡고 악수를 하는 인사가 있을 뿐이다. 웹스터 사전에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greet : to speak or write to with expressions of friendliness, respect, pleasure, etc, as in meeting or by letter; hail; welcome
이와 같은 의미에서 인사는 사람을 만나거나 편지에서 남에게 인사를 할 때를 뜻하는 것으로 이 때의 핵심은 우정(friendliness), 존경(respect), 기쁨(pleasure)의 표정을 담고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동양식 절인사 문화는 경(敬)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 공손성에 가치를 두고 있는 데 반하여 서양의 인사 문화는 친(親)에 역점을 두어 반가움을 강조함이 다른 점이다.
동양→敬(bow)→공손→절→상하 구별
동서양의 인사
서양→親(greet)→친근→악수→평등 의식
Ⅶ. 인사예절의 유의사항
① 인사는 누구에게나 한다.
② 인사는 먼저 보는 사람이 먼저 한다.
③ 윗사람은 반드시 답례를 한다.
④ 시선을 상대의 눈에 맞춘 다음 고개를 숙여 인사한다.
⑤ 인사말은 바르고 정확한 발음으로 끝까지 해야 한다. 얼버무리는 인사는 상대에게 성의가 없다는 인상을 준다.
⑥ 윗사람이 계단을 올라올 때는 벽 쪽에 붙어서 멈춘 다음 고개를 숙여 인사한다.
⑦ 머리만 까닥거리는 인사는 상대에게 도리어 거부감을 준다.
⑧ 턱만 올리는 인사는 상대로 하여금 자신이 무시당했다는 생각을 들게 한다.
⑨ 목덜미가 보일 정도로 지나치게 허리를 굽혀 인사하는 것은 도리어 무례하다는 인상을 상대에게 준다.
⑩ 여성의 경우 발뒤꿈치와 무릎이 많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⑪ 고개를 옆으로 돌리는 인사도 금물이다.
Ⅷ. 결론 및 제언
사람과 사람과의 만남에서 가장 아름다운 표현이 인사가 아닐까? 예로부터 우리나라를 동방예의지국이라 부를 만큼 예를 잘 지켜 왔다. 그래서 우리 아이들의 인사태도 및 경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담임선생님 전에 담임을 맡으셨던 선생님에게는 인사를 잘 하였으나 더 큰 문제점은 반가워하는 마음이 우러나지 않은 형식적인 인사를 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웃어른 친구, 부모님등 상황과 상대에 맞는 인사말 훈련안을 만들어 우리 학생들에게 인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시켜 바른 습관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가치판단력과 실천의지를 갖도록 하여 생활습관을 정착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지도에 임하였다.
참고문헌
강영숙, 누구나 알아야 할 샐활예절, 문학아카데미, 1990
김시황, 한국 인사예절, 중문출판사, 1996
김태광, 인사-사람의 마음을 얻는 유쾌한 에너지
김진익, 글로벌 매너 에티켓
충무교육원, 생활예절, 1997
한홍렬 외, 생활예절과 국제매너, 서울 : 인간사랑, 2001
greet : to speak or write to with expressions of friendliness, respect, pleasure, etc, as in meeting or by letter; hail; welcome
이와 같은 의미에서 인사는 사람을 만나거나 편지에서 남에게 인사를 할 때를 뜻하는 것으로 이 때의 핵심은 우정(friendliness), 존경(respect), 기쁨(pleasure)의 표정을 담고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동양식 절인사 문화는 경(敬)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 공손성에 가치를 두고 있는 데 반하여 서양의 인사 문화는 친(親)에 역점을 두어 반가움을 강조함이 다른 점이다.
동양→敬(bow)→공손→절→상하 구별
동서양의 인사
서양→親(greet)→친근→악수→평등 의식
Ⅶ. 인사예절의 유의사항
① 인사는 누구에게나 한다.
② 인사는 먼저 보는 사람이 먼저 한다.
③ 윗사람은 반드시 답례를 한다.
④ 시선을 상대의 눈에 맞춘 다음 고개를 숙여 인사한다.
⑤ 인사말은 바르고 정확한 발음으로 끝까지 해야 한다. 얼버무리는 인사는 상대에게 성의가 없다는 인상을 준다.
⑥ 윗사람이 계단을 올라올 때는 벽 쪽에 붙어서 멈춘 다음 고개를 숙여 인사한다.
⑦ 머리만 까닥거리는 인사는 상대에게 도리어 거부감을 준다.
⑧ 턱만 올리는 인사는 상대로 하여금 자신이 무시당했다는 생각을 들게 한다.
⑨ 목덜미가 보일 정도로 지나치게 허리를 굽혀 인사하는 것은 도리어 무례하다는 인상을 상대에게 준다.
⑩ 여성의 경우 발뒤꿈치와 무릎이 많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⑪ 고개를 옆으로 돌리는 인사도 금물이다.
Ⅷ. 결론 및 제언
사람과 사람과의 만남에서 가장 아름다운 표현이 인사가 아닐까? 예로부터 우리나라를 동방예의지국이라 부를 만큼 예를 잘 지켜 왔다. 그래서 우리 아이들의 인사태도 및 경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담임선생님 전에 담임을 맡으셨던 선생님에게는 인사를 잘 하였으나 더 큰 문제점은 반가워하는 마음이 우러나지 않은 형식적인 인사를 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웃어른 친구, 부모님등 상황과 상대에 맞는 인사말 훈련안을 만들어 우리 학생들에게 인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시켜 바른 습관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가치판단력과 실천의지를 갖도록 하여 생활습관을 정착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지도에 임하였다.
참고문헌
강영숙, 누구나 알아야 할 샐활예절, 문학아카데미, 1990
김시황, 한국 인사예절, 중문출판사, 1996
김태광, 인사-사람의 마음을 얻는 유쾌한 에너지
김진익, 글로벌 매너 에티켓
충무교육원, 생활예절, 1997
한홍렬 외, 생활예절과 국제매너, 서울 : 인간사랑, 2001
추천자료
국제예절
식사예절
우리 옷과 예절
[과외]중학 도덕 1-2학기 기말 01 친족간의 예절
직장인의 에티켓과 예절에 대해
유럽의 예절, 19세기의 유럽, 현재의 유럽, 유럽의 왕국, 유럽의 통화제도, 유럽과 유로화, ...
예절의 구사, 구용의 사례 , 나의 견해
학교생활지도의 학생이해, 학교생활지도의 지도요소와 유의점, 학교생활지도와 가정생활예절...
초등학교(초등교육)의 효경교육과 예절교육, 초등학교(초등교육)의 통일교육과 미디어교육, ...
음악과 단소연주, 미술과 서예 수업자료(교수학습자료), 체육과 줄넘기운동, 국어과 경필쓰기...
활쏘기의 예절
(A+자료) 댄스스포츠의 정의와 올바른 자세교정 및 종류와 가치 및 예절 조사분석
인사의 정의, 개념, 유형, 종류, 큰경례, 작은경례, 직장에서 인사의 기본자세, 목례, 인사예...
<주제 망 만들기> 주제 : 나와 유치원 / 소주제 : 인사예절을 배워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