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전통예절
Ⅱ. 전화예절
1. 전화 걸때의 예절
2. 전화를 받을 때의 예의
3. 공중전화를 이용할 때의 예절
Ⅲ. 식사예절
Ⅳ. 언어예절
1. 남의 이야기를 듣는 태도
2. 남에게 이야기하는 태도
3. 대화 때의 예절
Ⅴ. 대화예절
Ⅵ. 방문예절
1. 손님이 오셨을 때
2. 방문 예절
3. 손님 접대 할 때
참고문헌
Ⅱ. 전화예절
1. 전화 걸때의 예절
2. 전화를 받을 때의 예의
3. 공중전화를 이용할 때의 예절
Ⅲ. 식사예절
Ⅳ. 언어예절
1. 남의 이야기를 듣는 태도
2. 남에게 이야기하는 태도
3. 대화 때의 예절
Ⅴ. 대화예절
Ⅵ. 방문예절
1. 손님이 오셨을 때
2. 방문 예절
3. 손님 접대 할 때
참고문헌
본문내용
8) 화제가 이어지도록 간결하게 요점을 말해 중언부언하지 않는다.
(9) 평소의 대화는 자기주장을 지나치게 고집해서 분위기가 상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10) 말은 귀로만 듣는 것이 아니라 표정, 눈빛, 몸으로도 듣는다는 자세를 갖고 상대가 알아차리도록 은근하면서도 확실한 반응을 보인다.
(11) 대화 중에 자리를 뜰 때에는 양해를 구하고, 다른 사람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12) 대화를 마치고 난 뒤에는 상대에게 감사를 표한다.
Ⅵ. 방문예절
1. 손님이 오셨을 때
① 집안 청소를 깨끗이 하고 손님을 맞이한다.
② 손님이 오시면 “어서 오십시오.”하고 친절하게 맞아 안으로 모신다.
③ 방으로 모신 손님께 알맞은 인사를 한다.
④ 방안에 손님을 모셨을 때에는 방석을 내다 드린다.
⑤ 손님의 신발은 신기에 편하도록 신발 앞쪽이 현관 밖을 향하도록 정리한다.
⑥ 어른들과 이야기할 때는 끼어들지 않는다.
⑦ 손님의 외투나 모자 등은 받아서 걸어 둔다.
⑧ 손님이 가실 때에는 현관이나 대문까지 나가서 안사한다.
⑨ 노인이나 어린이는 차를 타는 곳이나 편한 길까지 안내한다.
2. 방문 예절
① 남의 집을 방문할 때는 사전에 연락한다.
② 이른 아침, 밤 늦은 시간, 식사 시간은 피하여 방문 한다.
③ 약속 시간을 꼭 지킨다.
④ 음식이 나오면 주인이 권할 때 “감사합니다.”, “잘 먹겠습니다.”하고 천천히 먹는다.
⑤ 방문 목적을 마치면 꼭 인사를 드리고 돌아온다.
3. 손님 접대 할 때
① 차류를 대접할 때에는 손님의 기호에 맞는 것을 여쭈어 보고 기호에 맞게 타다 드린다.
② 찻숟가락은 손님의 오른쪽 방향의 찻잔에 놓는다.
③ 유리컵에 주스나 음료수를 대접할 때에는 컵받침 접시를 사용한다.
④ 과일을 대접할 때는 껍질을 잘 깎아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서 접시에 담아낸다.
⑤ 과일 포크나 과일 꽂이는 넉넉하게 담아낸다.
⑥ 음식을 내갈 때에는 쟁반에 받쳐서 내간다.
⑦ 손님이 여러분 오셨을 때에는 개인용 접시를 준비한다.
참고문헌
경상북도교육청(1996) - 부모가 가르쳐야 할 생활 예절, 대구 : 영남사
김정신 외 9명(2003) - 생활예절, 신정
우문호 외 - 세계의 음식과 문화, 학문사
전라남도교육연구원(1993) - 전통예절 지도자료, 광신인쇄출판
조선일보, 국립국어연구원 편(1992) - 우리말의 예절 : 화법의 실제와 표준
한국도덕윤리과학회(1995) - 바른예절생활, 서울 : 삼안출판사
(9) 평소의 대화는 자기주장을 지나치게 고집해서 분위기가 상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10) 말은 귀로만 듣는 것이 아니라 표정, 눈빛, 몸으로도 듣는다는 자세를 갖고 상대가 알아차리도록 은근하면서도 확실한 반응을 보인다.
(11) 대화 중에 자리를 뜰 때에는 양해를 구하고, 다른 사람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12) 대화를 마치고 난 뒤에는 상대에게 감사를 표한다.
Ⅵ. 방문예절
1. 손님이 오셨을 때
① 집안 청소를 깨끗이 하고 손님을 맞이한다.
② 손님이 오시면 “어서 오십시오.”하고 친절하게 맞아 안으로 모신다.
③ 방으로 모신 손님께 알맞은 인사를 한다.
④ 방안에 손님을 모셨을 때에는 방석을 내다 드린다.
⑤ 손님의 신발은 신기에 편하도록 신발 앞쪽이 현관 밖을 향하도록 정리한다.
⑥ 어른들과 이야기할 때는 끼어들지 않는다.
⑦ 손님의 외투나 모자 등은 받아서 걸어 둔다.
⑧ 손님이 가실 때에는 현관이나 대문까지 나가서 안사한다.
⑨ 노인이나 어린이는 차를 타는 곳이나 편한 길까지 안내한다.
2. 방문 예절
① 남의 집을 방문할 때는 사전에 연락한다.
② 이른 아침, 밤 늦은 시간, 식사 시간은 피하여 방문 한다.
③ 약속 시간을 꼭 지킨다.
④ 음식이 나오면 주인이 권할 때 “감사합니다.”, “잘 먹겠습니다.”하고 천천히 먹는다.
⑤ 방문 목적을 마치면 꼭 인사를 드리고 돌아온다.
3. 손님 접대 할 때
① 차류를 대접할 때에는 손님의 기호에 맞는 것을 여쭈어 보고 기호에 맞게 타다 드린다.
② 찻숟가락은 손님의 오른쪽 방향의 찻잔에 놓는다.
③ 유리컵에 주스나 음료수를 대접할 때에는 컵받침 접시를 사용한다.
④ 과일을 대접할 때는 껍질을 잘 깎아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서 접시에 담아낸다.
⑤ 과일 포크나 과일 꽂이는 넉넉하게 담아낸다.
⑥ 음식을 내갈 때에는 쟁반에 받쳐서 내간다.
⑦ 손님이 여러분 오셨을 때에는 개인용 접시를 준비한다.
참고문헌
경상북도교육청(1996) - 부모가 가르쳐야 할 생활 예절, 대구 : 영남사
김정신 외 9명(2003) - 생활예절, 신정
우문호 외 - 세계의 음식과 문화, 학문사
전라남도교육연구원(1993) - 전통예절 지도자료, 광신인쇄출판
조선일보, 국립국어연구원 편(1992) - 우리말의 예절 : 화법의 실제와 표준
한국도덕윤리과학회(1995) - 바른예절생활, 서울 : 삼안출판사
추천자료
상당예절
예절(禮節), 매너(Manner)에 관한 짧은 생각
일반예절
식사예절
[직장생활][직장 목표][직장 신뢰감 조성][직장 업무자세][직장 근무예절][직장 인간관계]직...
직장예절 Final
예절이란
전통한옥공간교육(한국전통한옥공간지도), 전통무늬교육(한국전통무늬지도), 전통예절교육(한...
예절과 색
[일본인, 일본사람, 식민지정신구조, 식사예절]일본인(일본사람)의 식민지정신구조, 일본인(...
[가치, 예절, 고인돌, 대각성운동]예절의 가치, 고인돌의 가치, 대각성운동의 가치, 거버넌스...
[바른생활태도][바른생활태도 지도][바른생활태도 학습지도][바른생활태도와 예절][바른생활...
[기업 개발][공동기술개발][예절교육프로그램개발][공동기술개발]기업 공동연구개발, 기업 직...
[기업교육][기업교육 인적자원개발][기업교육 개인역량개발][기업교육 예절교육프로그램개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