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⒈ 인간은 주어진 자연환경에 지배를 받는가
Ⅱ. 본론
⒈ 자연환경에 지배를 받는 예
ⅰ 한국의 자연환경 차이에 따른 전통적인 생활
ⅱ 자연재해 (태풍, 지진, 홍수, 가뭄)
⒉ 환경오염에 의한 피해
ⅰ 농업에 의한 환경오염
ⅱ 산업에 의한 환경오염
⒊ 환경에너지 이용
Ⅲ. 결론
참고문헌
⒈ 인간은 주어진 자연환경에 지배를 받는가
Ⅱ. 본론
⒈ 자연환경에 지배를 받는 예
ⅰ 한국의 자연환경 차이에 따른 전통적인 생활
ⅱ 자연재해 (태풍, 지진, 홍수, 가뭄)
⒉ 환경오염에 의한 피해
ⅰ 농업에 의한 환경오염
ⅱ 산업에 의한 환경오염
⒊ 환경에너지 이용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냉기류가 형성된다. 이 냉기류는 사면을 따라 하강하여 분지의 바닥에 모이게 되는데, 이 분자의 바닥이나 골짜기 밑 부분의 기온은 높은 지역보다 더 낮아진다. 일반적으로 해발 고도가 낮을수록 기온이 높은 것이 정상인데 분지 내에서는 반대 현상이 나타난다. 이를 기온역전 현상 이라한다.
기온역전 현상이 잘 나타나는 지역에서의 토지 이용은 기온이 가장 높은 부분은 산록완사면이 농업에 가장 유리하며, 공장의 굴뚝은 기온이 가장 높은 지점. 즉 역전층의 해발 고도보다 높이 설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따뜻한 매연이 찬 공기를 뚫지 못하고 정체되면서 스모그 현상을 유발한다.
환경에너지 이용
인간이 살아가면서 가장 획기적인 발견은 불이다. 이러한 인간발전의 시작은 열에너지원인 목재였다. 이것을 시작으로 농업 식량 가공에 있어서 수력이용, 농업이나 교통에서의 풍력이용, 또는 인력이나 우마 등 축력의 이용으로 진행해 왔다.
농업이나 교통에서의 풍력이용 또는 석탄이용 등의 발견이 있었고, 시대가 발전하면서 석유를 이용하였다. 이것이 환경오염의 주원인이 되면서 인간은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지열, 태양에너지, 풍력, 파랑, 해양 온도차 이용, 핵융합, 바이오매스 등을 찾게 되었다 .이렇듯 우리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 발전시키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체계를 위한 미래에너지원을 그 특성으로 한다. 신재생에너지는 유가의 불안정과 기후변화협약의 규제 대응 등으로 그 중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8개 분야의 재생에너지(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와 3개 분야의 신에너지(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 총11개 분야를 신재생에너지로 지정하고 있다.
최근 헨리 왁스먼 하원 에너지통상위원회 위원장(민주 · 캘리포니아주)과 에드워드 마키 에너지환경소위원장(민주 · 매사추세츠주)이 공동 발의한 기후변화대책 법안은 2020년까지 미국의 온실가스 배출을 2005년보다 20% 감축하고 재생에너지 사용률을 높인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을 2030년까지 42%,2050년까지는 83%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2020년까지 전력과 천연가스 수요를 각각 15%와 10% 줄이고,2025년까지 전력의 25%를 풍력과 태양열 등 대체에너지에서 얻도록 규정하고 있어, 재생 에너지 활용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용 예
ⓐ태양 전자판으로 낮에 저장한 에너지를 가로등으로
ⓑ매립가스를 보일러 연료로 난방공사에 판매하고 전기를 생산
ⓒ신안 동태양광 발전소 준공
ⓓ공기 중의 산소와 도시가스를 연료로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을 동시에 발생하는 발전기
Ⅲ. 결론
본론에서 인간이 주어진 자연환경에 대하여 어떻게 대처하여 살아왔는지 알아보았다. 결론은 인간은 자연환경에 포함되어있다. 그러나 인간은 자연환경에 대하여 지배를 받는 것이 아니라, 떼려야 뗄 수 없는 공존 관계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이 태어나기 전부터 자연환경은 이미 정해져서 자리를 잡고 있었다. 그런 곳에 인간이 적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에스키모, 고샤족, 인디언, 가우초 등 대륙 환경에 있는 그대로 적응하는 것과, 고랭지 농업이라든지, 관광 사업을 하는 등 그 지역의 특성을 부각시켜서 자리를 잡아왔다. 그에 만족하지 못하고 더욱 편안한 삶을 살기위해 개발을 해왔고, 그 과정에서 사람은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생명체가 되었다. 지나친 개발의 결과 자외선의 증가, 식수감소, 열섬현상, 지구온난화 등 환경오염이라는 피해가 돌아왔다. 그러한 피해는 홍수, 가뭄, 태풍, 황사 등의 자연재해를 더욱 발전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사람은 환경 그대로를 변화가 아닌 발전시켜 이용하는 방법을 찾기 시작한다. 환경에너지 이용으로 태양에너지, 풍력, 파랑, 해양온도차 이용, 핵융합, 바이오매스 등을 찾고 발전시키게 되었다. 결국은 자연위주에서 인간 위주로 가고 싶어도 다시 자연에서 우리의 생활을 찾게 되는 것이다.
과거에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 뿐 만 아니라 세계 여느 나라사람들 역시 자연에 순응을 하고 조화를 이루면서 살아왔다. 그렇기 때문에 환경오염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았으나, 세계가 점점 발전함에 따라 우리는 순리를 무시하고 마음대로 변경을 했다. 그에 따라서 환경에 의한 피해가 늘었으며, 그에 대한 대처방안을 계속해서 찾아내는 것이다. 언젠간 지구의 종말이 다가왔을 때 우린 다른 행성으로 옮겨가기 위해 지구와 비슷한 환경의 행성을 찾고 있다. 화성을 지목 했을 때 처음에 물 한 방울 흐르지 않는 곳이기 때문에 살수 없다고 하였다. 인간은 생태계가 순환할 수 있는 자연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자연은 인간이 없어도 다른 생명체만으로도 스스로 순환하여 오래 살 수 있는 존재인 것이다. 그런데 그러한 존재를 파괴할 수 있는 것이 인간이기 때문에 그 둘은 서로 공존해 간다고 생각한다.
이렇듯 자연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인간이고, 그러한 인간 생활에 있어서 자연환경은 너무나도 큰 존재기 때문에 서로의 오랜 평화와 유지를 위해선 인간의 편의를 위한 무차별적인 개발을 생각하기에 앞서 생태계 유자와 환경보존을 같이 생각해야 한다.
참고문헌
-위키 백과사전
-naver 용어사전
-임장순 외, 에너지 변환공학, 원창출판사, 1998년
-인간과 환경 강의 내용 중
-아시아 경제(인터넷신문)
-한겨레(인터넷 신문)
-한국경제(인터넷 신문)
-http://primary.edupia.com/schoolbook/society/sub.asp?p_nYear=5&p_subcode=so&p_nTerm=1&p_nCategoryID=940&nConID=1761
-http://blog.naver.com/pbh1982?Redirect=Log&logNo=130036911735
-http://www.pr.korean,net/kor/index.htm
그림자료
-네이버뉴스
-구글 이미지
기온역전 현상이 잘 나타나는 지역에서의 토지 이용은 기온이 가장 높은 부분은 산록완사면이 농업에 가장 유리하며, 공장의 굴뚝은 기온이 가장 높은 지점. 즉 역전층의 해발 고도보다 높이 설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따뜻한 매연이 찬 공기를 뚫지 못하고 정체되면서 스모그 현상을 유발한다.
환경에너지 이용
인간이 살아가면서 가장 획기적인 발견은 불이다. 이러한 인간발전의 시작은 열에너지원인 목재였다. 이것을 시작으로 농업 식량 가공에 있어서 수력이용, 농업이나 교통에서의 풍력이용, 또는 인력이나 우마 등 축력의 이용으로 진행해 왔다.
농업이나 교통에서의 풍력이용 또는 석탄이용 등의 발견이 있었고, 시대가 발전하면서 석유를 이용하였다. 이것이 환경오염의 주원인이 되면서 인간은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지열, 태양에너지, 풍력, 파랑, 해양 온도차 이용, 핵융합, 바이오매스 등을 찾게 되었다 .이렇듯 우리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 발전시키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체계를 위한 미래에너지원을 그 특성으로 한다. 신재생에너지는 유가의 불안정과 기후변화협약의 규제 대응 등으로 그 중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8개 분야의 재생에너지(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와 3개 분야의 신에너지(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 총11개 분야를 신재생에너지로 지정하고 있다.
최근 헨리 왁스먼 하원 에너지통상위원회 위원장(민주 · 캘리포니아주)과 에드워드 마키 에너지환경소위원장(민주 · 매사추세츠주)이 공동 발의한 기후변화대책 법안은 2020년까지 미국의 온실가스 배출을 2005년보다 20% 감축하고 재생에너지 사용률을 높인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을 2030년까지 42%,2050년까지는 83%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2020년까지 전력과 천연가스 수요를 각각 15%와 10% 줄이고,2025년까지 전력의 25%를 풍력과 태양열 등 대체에너지에서 얻도록 규정하고 있어, 재생 에너지 활용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용 예
ⓐ태양 전자판으로 낮에 저장한 에너지를 가로등으로
ⓑ매립가스를 보일러 연료로 난방공사에 판매하고 전기를 생산
ⓒ신안 동태양광 발전소 준공
ⓓ공기 중의 산소와 도시가스를 연료로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을 동시에 발생하는 발전기
Ⅲ. 결론
본론에서 인간이 주어진 자연환경에 대하여 어떻게 대처하여 살아왔는지 알아보았다. 결론은 인간은 자연환경에 포함되어있다. 그러나 인간은 자연환경에 대하여 지배를 받는 것이 아니라, 떼려야 뗄 수 없는 공존 관계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이 태어나기 전부터 자연환경은 이미 정해져서 자리를 잡고 있었다. 그런 곳에 인간이 적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에스키모, 고샤족, 인디언, 가우초 등 대륙 환경에 있는 그대로 적응하는 것과, 고랭지 농업이라든지, 관광 사업을 하는 등 그 지역의 특성을 부각시켜서 자리를 잡아왔다. 그에 만족하지 못하고 더욱 편안한 삶을 살기위해 개발을 해왔고, 그 과정에서 사람은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생명체가 되었다. 지나친 개발의 결과 자외선의 증가, 식수감소, 열섬현상, 지구온난화 등 환경오염이라는 피해가 돌아왔다. 그러한 피해는 홍수, 가뭄, 태풍, 황사 등의 자연재해를 더욱 발전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사람은 환경 그대로를 변화가 아닌 발전시켜 이용하는 방법을 찾기 시작한다. 환경에너지 이용으로 태양에너지, 풍력, 파랑, 해양온도차 이용, 핵융합, 바이오매스 등을 찾고 발전시키게 되었다. 결국은 자연위주에서 인간 위주로 가고 싶어도 다시 자연에서 우리의 생활을 찾게 되는 것이다.
과거에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 뿐 만 아니라 세계 여느 나라사람들 역시 자연에 순응을 하고 조화를 이루면서 살아왔다. 그렇기 때문에 환경오염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았으나, 세계가 점점 발전함에 따라 우리는 순리를 무시하고 마음대로 변경을 했다. 그에 따라서 환경에 의한 피해가 늘었으며, 그에 대한 대처방안을 계속해서 찾아내는 것이다. 언젠간 지구의 종말이 다가왔을 때 우린 다른 행성으로 옮겨가기 위해 지구와 비슷한 환경의 행성을 찾고 있다. 화성을 지목 했을 때 처음에 물 한 방울 흐르지 않는 곳이기 때문에 살수 없다고 하였다. 인간은 생태계가 순환할 수 있는 자연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자연은 인간이 없어도 다른 생명체만으로도 스스로 순환하여 오래 살 수 있는 존재인 것이다. 그런데 그러한 존재를 파괴할 수 있는 것이 인간이기 때문에 그 둘은 서로 공존해 간다고 생각한다.
이렇듯 자연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인간이고, 그러한 인간 생활에 있어서 자연환경은 너무나도 큰 존재기 때문에 서로의 오랜 평화와 유지를 위해선 인간의 편의를 위한 무차별적인 개발을 생각하기에 앞서 생태계 유자와 환경보존을 같이 생각해야 한다.
참고문헌
-위키 백과사전
-naver 용어사전
-임장순 외, 에너지 변환공학, 원창출판사, 1998년
-인간과 환경 강의 내용 중
-아시아 경제(인터넷신문)
-한겨레(인터넷 신문)
-한국경제(인터넷 신문)
-http://primary.edupia.com/schoolbook/society/sub.asp?p_nYear=5&p_subcode=so&p_nTerm=1&p_nCategoryID=940&nConID=1761
-http://blog.naver.com/pbh1982?Redirect=Log&logNo=130036911735
-http://www.pr.korean,net/kor/index.htm
그림자료
-네이버뉴스
-구글 이미지
추천자료
중1 사회과 지도안 - 단원 : 동부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역사 문화적 배경
아이슬란드(아이슬랜드)의 역사와 자연환경, 아이슬란드(아이슬랜드)의 인구와 민족, 아이슬...
전라북도(전북)의 도시와 자연환경, 전라북도(전북)의 라디오방송, 전라북도(전북)의 동각, ...
[라틴아메리카][콜롬비아][중남미]라틴아메리카 콜롬비아의 자연환경, 라틴아메리카 콜롬비아...
[중남미]니카라과(중앙아메리카, 니까라과)의 자연환경, 니카라과(중앙아메리카, 니까라과)의...
[청소년활동의 교육적 효과] 청소년성장과 자연환경의 영향, 학습적 가치
2학년) <(한국지리)학습 지도안> Ⅱ. 국토의 자연환경 2. 지형과 생활 (1) 한반도의 지형 형성...
일본의 식문화[식사예절.지역별 대표음식.먹는법등]일본의 자연환경 과 종교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러시아에 대한 이해(자연환경, 정치, 경제, ...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몽골에 대한 이해(자연환경, 정치, 경제, 사...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필리핀에 대한 이해(자연환경, 경제, 민족 및...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우주베키스탄에 대한 이해(자연환경, 정치, ...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말레이시아에 대한 이해(자연환경, 정치, 경...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일본에 대한 이해(자연환경, 정치, 경제,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