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동의 성격발달을 돕는 요인
2. 성격발달의 유전과 환경
3. 우성요인에 대해 나의 생각
2. 성격발달의 유전과 환경
3. 우성요인에 대해 나의 생각
본문내용
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많은 성격 이론들은 어릴 적 경험이 다른 시기의 경험보다 성격 형성에 더 중요하거나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3. 우성요인에 대해 나의 생각
모든 경험은 궁극적으로는 개인적이겠지만 객관적 상황이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정도가 높다는 점에서 공통 경험과 개인(혹은 사적) 경험을 구분해 성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접근할 수 있다. 특정 문화권에서 함께 성장하는 아이들은 그 문화권에 공통된 특정한 신념과 관습 및 가치관 등으로 대표되는 문화의 옷을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입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같은 시기를 사는 사람들은 공통 경험(예, 보릿고개나 625 혹은 군부독재 등)을 함께 하게 된다. 문화나 사회적 격변이 개인 개인에게 지각되고 작용하는 과정들은 다양하겠지만, 이런 공통 경험들을 함께 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서로 더 유사한 성격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419 세대니 386 세대 혹은 N 세대 등의 이야기에는 세대별 고정관념도 작용하겠지만, 유사한 경험을 공유한 사람들 사이의 실제적 유사성도 반영되어 있을 것이다. 아울러, 미국이나 일본 혹은 중국 사람들과 한국 사람들 사이의 국민성 차이에도 서로 다른 환경과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끼리의 유사성과 차이가 반영되어 있다. 지리 생태적 환경의 차이 역시 사람들의 성격을 결정하는 근본적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동남아시아처럼 농경 문화가 발달하기 좋은 지리적 환경과 몽고나 시베리아 등지의 유목 문화가 발달하기 좋은 조건의 사람들 사이의 행동을 비교해 보면 이를 잘 알 수 있다. 물론 생태적 환경은 그 위에 축적되어 온 문화적 영향과 역사적 사건 등에 의해 다르게 조절되어 그 영향의 방향이나 강도가 달라질 것이다. 유사한 생태적 환경에서 비슷한 시기를 함께 사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남자와 여자들은 서로 다른 문화적 환경에 노출되어 서로간에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이런 차이는 흔히 ‘성 역할’ 기대에서의 차이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환경이나 공통적 사건 경험과 문화가 유사한 성격을 형성하는 데 일조를 하지만 유사한 환경에서 자란 사람들도 모두가 서로 다른 개성을 보인다. 이런 차이는 기질에서의 개인차와 개별 경험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참고문헌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2000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02
정역숭, 김영희, 박범혁공저, 아동발달과 부모교육, 2005
3. 우성요인에 대해 나의 생각
모든 경험은 궁극적으로는 개인적이겠지만 객관적 상황이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정도가 높다는 점에서 공통 경험과 개인(혹은 사적) 경험을 구분해 성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접근할 수 있다. 특정 문화권에서 함께 성장하는 아이들은 그 문화권에 공통된 특정한 신념과 관습 및 가치관 등으로 대표되는 문화의 옷을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입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같은 시기를 사는 사람들은 공통 경험(예, 보릿고개나 625 혹은 군부독재 등)을 함께 하게 된다. 문화나 사회적 격변이 개인 개인에게 지각되고 작용하는 과정들은 다양하겠지만, 이런 공통 경험들을 함께 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서로 더 유사한 성격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419 세대니 386 세대 혹은 N 세대 등의 이야기에는 세대별 고정관념도 작용하겠지만, 유사한 경험을 공유한 사람들 사이의 실제적 유사성도 반영되어 있을 것이다. 아울러, 미국이나 일본 혹은 중국 사람들과 한국 사람들 사이의 국민성 차이에도 서로 다른 환경과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끼리의 유사성과 차이가 반영되어 있다. 지리 생태적 환경의 차이 역시 사람들의 성격을 결정하는 근본적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동남아시아처럼 농경 문화가 발달하기 좋은 지리적 환경과 몽고나 시베리아 등지의 유목 문화가 발달하기 좋은 조건의 사람들 사이의 행동을 비교해 보면 이를 잘 알 수 있다. 물론 생태적 환경은 그 위에 축적되어 온 문화적 영향과 역사적 사건 등에 의해 다르게 조절되어 그 영향의 방향이나 강도가 달라질 것이다. 유사한 생태적 환경에서 비슷한 시기를 함께 사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남자와 여자들은 서로 다른 문화적 환경에 노출되어 서로간에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이런 차이는 흔히 ‘성 역할’ 기대에서의 차이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환경이나 공통적 사건 경험과 문화가 유사한 성격을 형성하는 데 일조를 하지만 유사한 환경에서 자란 사람들도 모두가 서로 다른 개성을 보인다. 이런 차이는 기질에서의 개인차와 개별 경험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참고문헌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2000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02
정역숭, 김영희, 박범혁공저, 아동발달과 부모교육,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