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영전략론]디즈니랜드 사업전략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디즈니랜드 소개
(1)탄생배경
(2)월트 디즈니
(3)로 고
Ⅱ.디즈니랜드의 비전
Ⅲ.디즈니랜드의 경영
1.도쿄디즈니의 성공사례
2.유로디즈니의 실패사례
Ⅳ.사업전략
1. 상품, 판매전략
2. 마케팅전략
Ⅴ. 캐릭터 비즈니스
(1). 캐릭터 소개
(2). 캐릭터 비즈니스
Ⅵ.결론

본문내용

릭터 개발의 어려움이 그것이다. 디즈니는 이와 같은 한계극복을 위해 중국, 그리스, 인디언, 이집트 등 이국적 소재 개발에 치중해왔다. 하지만 최근작이라 할 수 있는 뮬란의 여자주인공이 중국문화 이해의 부족으로 많은 부분 일본색을 띠게 되어 중국 등의 강한 비판을 받고 아시아 지역의 흥행에서 참패한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이국화 전술의 어려움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최근작들의 표절 시비도 역시 디즈니의 현실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역설적으로 지난 수십년간 미국과 일본의 애니메이션의 하청작업을 도맡아온 까닭에 그 어느 나라보다 풍부한 제작 경험을 갖고 있는 한국 애니메이션 및 캐릭터 디자인 업계가 이제는 자신감을 가지고 세계 시장이라는 넓은 무대로 눈길을 돌려야 할 때라고 생각된다.
캐릭터비즈니스 성공을 수치로 본다면
디즈니의 캐릭터들은 애니메이션에서 나오는데, 디즈니의 애니메이션은 소비행위와 영화팬들을 성공적으로 접목시키고‘문화시장’을 형성해 비디오, 영화음악, 아동의류, 가구, 봉제인형, 테마공원의 탈 것, 새로운 놀이 시설과 상품들을 시장에 출시하는 주춧돌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인어공주>와 <마녀와 야수> 비디오테이프는 3천4백만 개 이상 판매되었고,
<알라딘>은 영화 흥행 수입, 비디오 판매, 자스민 공주 드레스, 지니 쿠키병 등의 보조상품 판매로 1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으며, 비디오게임은 1993년 한 해에만도 3백만 개를 팔았다고 한다.
1994년 8월24일자로 2억 5천 3백 5십만 달러의 흥행수입을 올린 <라이온 킹>도 비디오나 관련 게임 판매를 통해 흥행 수입과 비슷한 판매고를 올릴 것으로 예측 됐다. 실제로 <라이온 킹> 비디오테이프가 출시된 첫 주에 2천만 개 이상의 매상을 올렸고 디즈니의 주기는 첫 주의 3억 5천만 달러의 수입을 바탕으로 주당 2.25달러 상승했다.
<노틀담의 곱추>를 출시하면서 디즈니 음반은 2백만 개의 “노래 따라 부르기” 음반을 함께 출시했고 영화음악 CD, 카세트테이프, 유아를 대상으로 한 “동화 읽기 첫 경험” 등 7종의 오디오 제품을 선보였다.
이런 영화에 합자해 만들어지는 부가 상품 선전은 버거킹 햄버거, 페이리스 신발회사, 네슬레 유제품 회사, 마텔 인형 회사 등에서도 이루어진다. 유사한 현상으로 미키마우스, 백설공주, 자스민, 알라딘, 포카혼다스 같은 상표들은 전 세계 백화점을 가득 채운 장난감, 로고, 게임, 놀이기구의 기본 모델이 되고 있다. 1997년에 40억 달러의 수입을 올린 디즈니 테마 공원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장난감 판매를 통해 상당히 높은 수익을 올렸다.
<라이온 킹>은 영화 자체에 상업적 요소를 결합시킨 디즈니사의 가장 큰 성공 사례의 하나로, <뮬란>과 <헤라클레스>를 포함한 미래 애니메이션 시장에 하나의 모델을 제공했다. <라이온 킹>은 1997년 출시된 한 해에 부가 상품에서 올린 수익을 제외하더라도, 10억 달러라는 엄청난 수입을 올렸다. <라이온 킹>이 처음 출시되자마자 디즈니는 3백만 장 이상의 영화음악 음반들을 출고했다.
디즈니의 상업문화는 엄청난 사업으로,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모델로 한 장난감들은 전 세계 365개의 디즈니 상점에 진열된다. 1994년 8월《뉴스워크》에 따르면‘인어공주 인형, 알라딘 팬츠, 들쥐 밤비의 조각 같은 수집놀이용품이 놀랍게도 디즈니 수입의 20%나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1995년 여름, <포카혼다스>의 출시와 함께 디즈니의 가장 큰 광고 작전이 시작 됐다. 기록적인 숫자의 부가 제품들이 포카혼다스 봉제 동물인형, 침대보, 베개, 칫솔, 게임, 인디언 신발 그리고 40여종 이상의 그림 및 놀이책자 등으로 생산됐다. 그리고 많은 합자회사들이 <포카혼다스>와 연계할 목 이상의1억 2천 5백만 달러를인디언했다. 그 가운데 너무도 잘 알려진 사례로는, 영화선전으로 등장인물의 인형을 5천만 개난 판매한 버거킹과 50종 이상의 인형과 장난감을 판매한 마텔 사이다.
또한 디즈니는 새로운 시장과 더 많은 이윤을 위해 영화, 테마공원, 오락을 참여의 영역이 아닌 소비의 대상으로 제시한다. <라이온 킹>, <포카혼다스>, <노틀담의 곱추>, <헤라클레스>, <뮬란>과 같은 영화는 제이 시 페니 상점, 어린이 장난감 전문 토이즈 아 어스, 맥도날드 등 많은 소매점을 디즈니 상품을 파는 창구로 변모시켰다. 그러나 상업적 공세는 자신들의 조직적인 상품 판매망인 디즈니 스토어, 디즈니 채널, 디즈니 잡지, 디즈니랜드 디즈니월드를 통해 이루어진다.
Ⅵ.결론
디즈니랜드는 테마파크의 일인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세계적으로 디즈니랜드의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고 한 기업가의 위대한 꿈과 창작성이 돋보였다. 월트 디즈니가 만든 디즈니랜드는 단순히 놀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에게 꿈을 부여하고 배움을 주는 테마파크이다. 이것은 디즈니랜드의 영향력이기도 하다.
그리고 디즈니가 개선했으면 하는 것이 있다면, 디즈니 위상만큼이나 홈페이지도 전 세계인들을 위해 다양한 언어로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의견이다. 디즈니랜드를 조사 하면서 홈페이지상의 모든 설명이 영문으로 되어있어 정보를 찾는 것이 정말 힘들었기 때문이다. 이는 디즈니랜드에게 좋은 영향으로 더 많은 관광객들을 유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만들어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디즈니와 놀이문화의 혁명] Stephen M.Fjellman 저 ; 박석희역, 일신사,
[디즈니 순수함과 거짓말] 헨리 지루 지음, 성기완 옮김, 아침이슬, 2001
[경영의 신화 디즈니] 아리마 케츠오 지음, 박영난 옮김, 북스토리, 2002
[디즈니 꿈의 경영]빌 캐포더글리, 린 잭슨 공저, 아호재, 이정 옮김, 21세기 북스, 2000
http://disney.go.com/investors/
http://disneyland.disney.go.com/
http://disneyparks.disney.go.com
http://www.temansa.com/
http://mistisk.egloos.com
http://www.tokyodisneyresort.co.jp//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1.05.15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72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