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본 문
1) 김치의 우수성
2) 김치의 성분
3) 김치를 담그는 법
※ 참고문헌
2. 본 문
1) 김치의 우수성
2) 김치의 성분
3) 김치를 담그는 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합하여 분해 되지 않은 형태가 되고, 비타민B₁의 흡수를 좋게 하는 약효가 있어 건강증진에 큰 몫을 한다.
생강의 gingerone, shogaol 등은 특유의 매운맛 성분으로 향기와 매운맛을 내며, citral linalool은 향기성분이다. 생강은 건위발한(建胃發汗)에 특효가 있고, 전분질의 소화를 돕고 호흡작용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파는 살균`살충의 효과가 있으며 유기산, 유기염 등의 효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오이에는 쿠쿠르비타신(cucurbitacin : elateriacin)이라는 쓴 맛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소화를 순조롭게 해주며, 칼륨 성분이 많아 이뇨작용을 돕기도 한다. 젓갈들은 칼슘함량이 높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체액을 중화시켜 주는 역할도 하고 있다. 무`배추에 있는 부드러운 섬유질은 변비를 막아 준다.
김치에 사용되는 주재료들은 공통적으로 수분이 많아서 다른 영양소의 함량은 낮게 나타나지만, 유산균은 장내 유해세균의 번식을 차단, 정장작용을 한다. 성인병 예방에도 도움을 주는데 비만, 고혈압, 당뇨병, 소화기계통의 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김치의 젖산균이 해독작용을 하고, 암세포에 의해 유발되는 복수암이나 고형암에 대해 억제효과가 있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김치의 유산균을 계속 섭취시킨 흰 쥐가 장내 유산균수가 급격히 증가되고, 대장균수가 감소하면서 체내 독성이 줄어 김치가 항암작용을 한다고 한다.
이 외에도 김치류는 채소류의 즙과 식염 등의 복합작용에 의해서 장내를 깨끗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위장 내의 단백질 분해효소인 pepsin 분비를 촉진시키고, 소화흡수를 촉진시키며 장내 미생물 분포를 정상화 시킨다.
※ 참고 문헌, 자료
김치의 연구 - 조재선 저(著)
p. 48, 61 - 64, 209 - 215 : 김치 담그는 법 참조
p. 225 - 232 : 김치의 성분분석(미생물 관련) 참조
한국의 김치문화와 식생활 - 박홍식 저(著)
p. 49 - 52, 62 - 66 : 김치의 우수성 참조
p. 240 - 242, 272, 276 - 278, 292 - 300 : 김치 담그는 법, 과정 참조
농협 김치 박물관 사이트 - 담그는 법 참조
http://shopping.nonghyup.com/service/kimchi_museum/n_kimchi_5.jsp
풀무원 김치 박물관 - 우수성, 성분 분석 참조
http://www.kimchimuseum.co.kr/index.htm
생강의 gingerone, shogaol 등은 특유의 매운맛 성분으로 향기와 매운맛을 내며, citral linalool은 향기성분이다. 생강은 건위발한(建胃發汗)에 특효가 있고, 전분질의 소화를 돕고 호흡작용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파는 살균`살충의 효과가 있으며 유기산, 유기염 등의 효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오이에는 쿠쿠르비타신(cucurbitacin : elateriacin)이라는 쓴 맛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소화를 순조롭게 해주며, 칼륨 성분이 많아 이뇨작용을 돕기도 한다. 젓갈들은 칼슘함량이 높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체액을 중화시켜 주는 역할도 하고 있다. 무`배추에 있는 부드러운 섬유질은 변비를 막아 준다.
김치에 사용되는 주재료들은 공통적으로 수분이 많아서 다른 영양소의 함량은 낮게 나타나지만, 유산균은 장내 유해세균의 번식을 차단, 정장작용을 한다. 성인병 예방에도 도움을 주는데 비만, 고혈압, 당뇨병, 소화기계통의 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김치의 젖산균이 해독작용을 하고, 암세포에 의해 유발되는 복수암이나 고형암에 대해 억제효과가 있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김치의 유산균을 계속 섭취시킨 흰 쥐가 장내 유산균수가 급격히 증가되고, 대장균수가 감소하면서 체내 독성이 줄어 김치가 항암작용을 한다고 한다.
이 외에도 김치류는 채소류의 즙과 식염 등의 복합작용에 의해서 장내를 깨끗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위장 내의 단백질 분해효소인 pepsin 분비를 촉진시키고, 소화흡수를 촉진시키며 장내 미생물 분포를 정상화 시킨다.
※ 참고 문헌, 자료
김치의 연구 - 조재선 저(著)
p. 48, 61 - 64, 209 - 215 : 김치 담그는 법 참조
p. 225 - 232 : 김치의 성분분석(미생물 관련) 참조
한국의 김치문화와 식생활 - 박홍식 저(著)
p. 49 - 52, 62 - 66 : 김치의 우수성 참조
p. 240 - 242, 272, 276 - 278, 292 - 300 : 김치 담그는 법, 과정 참조
농협 김치 박물관 사이트 - 담그는 법 참조
http://shopping.nonghyup.com/service/kimchi_museum/n_kimchi_5.jsp
풀무원 김치 박물관 - 우수성, 성분 분석 참조
http://www.kimchimuseum.co.kr/index.htm
추천자료
영양과 건강을 위한 웰빙음식 (감상문)
우리나라 식생활과 식품 영양섭취변화 실태 및 문제점과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
현대인의 영양과 건강을 위한 웰빙음식
초등 실과 식품기능 교육 영양교육 식품교육
영양과 건강을 위한 웰빙음식 요약 및 느낀점
아동의 영양 권장량 설정방법과 그에 따른 영양소의 급원식품에 대해서 설명(아동영양학)
아동의 영양 권장량의 설정방법과 그에 따른 영양소의 급원식품에 대해 설명
항산화작용에 관여하는 영양관련물질 & 빈혈예방가능식품과 영양관련물질
식품과 영양
[아동영양] 5일 간의 음식일지를 작성, 분석하여 나를 비롯 가족들의 식단을 점검하고 문제점...
[음식문화사_한국 전통식품(장)의 역사]된장의 유래, 콩의 유래, 간장의 유래, 고추장의 유래
식생활과 관련된 문제 (비만, 충치, 음식물 알레르기, 빈혈, 영양 불량, 편식)
[아동영양교육] 보육시설이나 학교급식을 실시할 때 아동들이 싫어하는 음식들을 섭취시키기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