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본문
1. 프리다 칼로의 일대기
2. 프리다 칼로의 대인관계
1) 부모님
2) 이성관계
3. 프리다 칼로의 작품분석
1) 엘렉트라 컴플렉스
2) 꿈의 상징화
3) 육체적 ․정신적 고통의 승화
4) 멕시코 민족의 집단 무의식 반영
5) 타나토스와 에로스
6) 실제, 상징, 상상의 중첩
Ⅲ. 맺음말
Ⅱ. 본문
1. 프리다 칼로의 일대기
2. 프리다 칼로의 대인관계
1) 부모님
2) 이성관계
3. 프리다 칼로의 작품분석
1) 엘렉트라 컴플렉스
2) 꿈의 상징화
3) 육체적 ․정신적 고통의 승화
4) 멕시코 민족의 집단 무의식 반영
5) 타나토스와 에로스
6) 실제, 상징, 상상의 중첩
Ⅲ. 맺음말
본문내용
)은<나의 탄생>, <작은 자상들>,<기억>,<디에고와 나> <두 명의 프리다><헨리포드 병원>같은 작품들에서 나타난다. <나의 탄생>, <작은 자상들>같은 초기 작품에서는 그녀가 실질적인 고통이나 죽음을 표현한 반면에 <기억>에서는 정신적 고통의 상징으로서 육체적 상처들을 사용하기 시작한다.
<몇개의 자상들 (A Few Little Pricks)>에서는 부분적으로 선혈이 낭자한 본질로써 충격을 주고 있다.
<기억(memory)> 에서 칼로는 멕시코 전통의상이 아닌 그녀가 실제로 가지고 있던 옷을 입고 짧은 머리로 오른발을 해변에 왼발을 바다에 두고 서있다. 칼로의 상처받은 발치의 거대한 심장은 샘처럼 피의 강을 이루고 산과 바다를 향해 계속 흐르고 있다.
<두 명의 프리다>는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 어떤 분석자는 1939년 이혼서류가 통과되던 날 그린 그림이며 리베라가 사랑한 자신과 사랑하지 않는 자신이 나뉘어 있고 그가 사랑한 프리다는 동맥을 끊어진 상태로 묘사하고 있다고도 하였다.
될 수 있는 작품이다. 두 명의 프리다중 흰 드레스를 입은 프리다의 손에 든 가위를 보는 입장에서인데 가위가 혈관을 절개해서 피를 흘리고 있다는 입장과 가위로 지혈을 하고 있다는 입장인 것 같다. 이 같은 점으로 미루어<두 명의 프리다>는 죽음본능과 삶의 본능 어느 쪽으로도 해석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 같다. 이 작품은 프리다가 디에고와 헤어져 미국에 있을 때 그린 그림이다. 우연히도 머레이가 이 그림을 그리고 있는 프리다를 찍은 사진을 보게 되었는데 완성전의 작품에서 가위는 보이지 않았다. 물론 스케치가 되어 있는 상태였을 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내게는 그림에 있는 손은 가위를 의도적으로 사용하려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는다. 아마도 디에고와의 이혼을 결정한 뒤 가위를 그린 것 같다.
죽음본능은 <디에고와 나> (1949)에서 절정을 이룬다. 항상 정성스럽게 빗은 후 머리 장식용 멕시코 전통 액세서리로 단장한 그녀의 머리는 드물게도 자신의 목을 휘감아 교살하려는 듯 풀어헤치고 있고, 그녀의 당황한 얼굴에서는 눈물 방울이 보이고 있다. 실제로도 그녀는 자살을 시도한 바 있으며 최후의 죽음도 자살이라는 시비가 있기도 하다.
6) 실제, 상징, 상상의 중첩
프리다의 작품은 현실의 자신을 바탕으로 실제와 상징, 상상이 묘하게 중첩되어 있다. 프리다 자신은 실제계에, 원숭이, 사슴, 앵무새, 인형, 비둘기, 붓, 피, 뿌리, 벌새, 가시등은 자신의 유산된 아이나, 자유, 고통등을 상징하는 것으로, 아즈텍 신화에 영향을 받은 작품의 초현실적인 발상은 상상계를 넘나들고 있다.
Ⅲ. 맺음말
그녀는 짧은 생애 동안의 작품 활동에도 불구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영역을 구축하였다. 기교적인 것이 아닌 솔직한 자아 표현에서 출발한 그녀는 힘 있고 영감에 찬 작품들을 통하여 수많은 역경을 극복하고 스스로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하여 자신만의 단어와 문장으로 된 작품 언어를 개인적으로 발전시켰다. 칼로에게 있어서 그림은 죽음과 고통으로부터 자신을 구제하는 방편으로 시작되었고, 주변의 사물들을 자신과 연관지어 표현하고 있다.
프리다 칼로의 예술의 근원은 끊임없는 자기 분석을 통한 고통 받는 자아의 탐색과 함께 멕시코 혁명(1910∼21)후 식민지 시대의 잔재에서 벗어나 멕시코 민족의 고유한 문화를 회복하여 그들 나름의 민족적 정체성을 찾는 데에 있다.
프리다는 일생동안 하고 싶은 욕망을 다음의 세 가지라고 했다. 첫째, 그림을 그리는 것, 둘째, 디에고와 사는것, 셋째, 혁명가가 되는것.. 어쩌면 프리다는 이 세 가지를 모두 이룬 행복한 여성일 수도 있다. 여성으로서 누구에게 기대어 살수밖에 없는 부분, 특히 예술적으로는 훌륭하지만 남편으로서는 정말 최악인 디에고에게 의지 하며 사는 프리다의 삶은 못마땅하게 다가오기도 했지만 굳이 여성이 아니더라도 한 인간의 입장에서 우리가 기대어 사는 이세상의 종교, 사상, 가족등의 역할이 프리다에게는 디에고 였던것 같다. 그래서 프리다는 디에고에게 남편으로서보다는 더 큰 에너지인 예술가로서의 멕시코민족의 원형을 투사 다른 사람들도 나의 태도나 감정 등과 똑같은 것을 가졌다고 단정하려 드는 경향. 아이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또 자기 자신이 납득하기 어려운 사고(思考), 감정이나 만족할 수 없는 욕구를 갖고 있는 경우에 그것을 타인에게 돌려 버리는 것과 같은 무의식적인 마음의 움직임이다. 이것은 방위기제(防衛機制)의 한 가지로 동일시(同一視)의 한 형(型)이다.
해서 자기 마음속의 신으로 만든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한다. 디에고를 부정하는 것은 그림을, 혁명을, 멕시코를 부정하는 것이 되고 또한 자신의 삶을 부정하는 것이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그녀는 살 수 없었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또한 작품 분석을 계기로 프리다에 대한 엄청난 자료들과 다양한 해석 어떤 정신분석가는 프리다 칼로는 타자중심적인 '히스테리자'였다고도 한다. 그녀는 남편 디에고를 자신의 무의식 세계에 흡수해 자신과 동일시했으며 여성편력이 심했던 남편 디에고는 프리다에게 고통과 상처를 줬지만 디에고를 향한 공격성은 그림 어디에서도 찾기 힘들다. 대신 자기 스스로를 파괴하는 마조히즘의 양태를 띠게 되었는데 프리다의 수많은 자화상에는 눈물,피,상처들이 등장한다.
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았고 선행 연구에 동의하는 부분은 인용해서 서술 하였다. 현대에 있어서는 한 작품을 여러 관점으로 해석해 볼 수 있는 작품이 훌륭한 작품으로 평가되곤 하는데 프리다의 작품은 나에게 있어서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작품들이다. 앞으로도 얼마든지 또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참고문헌
1. 르 클레오 (2001)프리다 칼로, 디에고 리베라
2. 이성민(2005) 멕시코 전통미술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프리다 칼로 회화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3 .진스하(2005) 프리다 칼로 작품에 나타난 미술치료적 표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논문
4. 황정임(2006)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논문
5. 조혜옥(2001)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에 나타나는 성 정체성의 문제,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몇개의 자상들 (A Few Little Pricks)>에서는 부분적으로 선혈이 낭자한 본질로써 충격을 주고 있다.
<기억(memory)> 에서 칼로는 멕시코 전통의상이 아닌 그녀가 실제로 가지고 있던 옷을 입고 짧은 머리로 오른발을 해변에 왼발을 바다에 두고 서있다. 칼로의 상처받은 발치의 거대한 심장은 샘처럼 피의 강을 이루고 산과 바다를 향해 계속 흐르고 있다.
<두 명의 프리다>는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 어떤 분석자는 1939년 이혼서류가 통과되던 날 그린 그림이며 리베라가 사랑한 자신과 사랑하지 않는 자신이 나뉘어 있고 그가 사랑한 프리다는 동맥을 끊어진 상태로 묘사하고 있다고도 하였다.
될 수 있는 작품이다. 두 명의 프리다중 흰 드레스를 입은 프리다의 손에 든 가위를 보는 입장에서인데 가위가 혈관을 절개해서 피를 흘리고 있다는 입장과 가위로 지혈을 하고 있다는 입장인 것 같다. 이 같은 점으로 미루어<두 명의 프리다>는 죽음본능과 삶의 본능 어느 쪽으로도 해석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 같다. 이 작품은 프리다가 디에고와 헤어져 미국에 있을 때 그린 그림이다. 우연히도 머레이가 이 그림을 그리고 있는 프리다를 찍은 사진을 보게 되었는데 완성전의 작품에서 가위는 보이지 않았다. 물론 스케치가 되어 있는 상태였을 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내게는 그림에 있는 손은 가위를 의도적으로 사용하려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는다. 아마도 디에고와의 이혼을 결정한 뒤 가위를 그린 것 같다.
죽음본능은 <디에고와 나> (1949)에서 절정을 이룬다. 항상 정성스럽게 빗은 후 머리 장식용 멕시코 전통 액세서리로 단장한 그녀의 머리는 드물게도 자신의 목을 휘감아 교살하려는 듯 풀어헤치고 있고, 그녀의 당황한 얼굴에서는 눈물 방울이 보이고 있다. 실제로도 그녀는 자살을 시도한 바 있으며 최후의 죽음도 자살이라는 시비가 있기도 하다.
6) 실제, 상징, 상상의 중첩
프리다의 작품은 현실의 자신을 바탕으로 실제와 상징, 상상이 묘하게 중첩되어 있다. 프리다 자신은 실제계에, 원숭이, 사슴, 앵무새, 인형, 비둘기, 붓, 피, 뿌리, 벌새, 가시등은 자신의 유산된 아이나, 자유, 고통등을 상징하는 것으로, 아즈텍 신화에 영향을 받은 작품의 초현실적인 발상은 상상계를 넘나들고 있다.
Ⅲ. 맺음말
그녀는 짧은 생애 동안의 작품 활동에도 불구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영역을 구축하였다. 기교적인 것이 아닌 솔직한 자아 표현에서 출발한 그녀는 힘 있고 영감에 찬 작품들을 통하여 수많은 역경을 극복하고 스스로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하여 자신만의 단어와 문장으로 된 작품 언어를 개인적으로 발전시켰다. 칼로에게 있어서 그림은 죽음과 고통으로부터 자신을 구제하는 방편으로 시작되었고, 주변의 사물들을 자신과 연관지어 표현하고 있다.
프리다 칼로의 예술의 근원은 끊임없는 자기 분석을 통한 고통 받는 자아의 탐색과 함께 멕시코 혁명(1910∼21)후 식민지 시대의 잔재에서 벗어나 멕시코 민족의 고유한 문화를 회복하여 그들 나름의 민족적 정체성을 찾는 데에 있다.
프리다는 일생동안 하고 싶은 욕망을 다음의 세 가지라고 했다. 첫째, 그림을 그리는 것, 둘째, 디에고와 사는것, 셋째, 혁명가가 되는것.. 어쩌면 프리다는 이 세 가지를 모두 이룬 행복한 여성일 수도 있다. 여성으로서 누구에게 기대어 살수밖에 없는 부분, 특히 예술적으로는 훌륭하지만 남편으로서는 정말 최악인 디에고에게 의지 하며 사는 프리다의 삶은 못마땅하게 다가오기도 했지만 굳이 여성이 아니더라도 한 인간의 입장에서 우리가 기대어 사는 이세상의 종교, 사상, 가족등의 역할이 프리다에게는 디에고 였던것 같다. 그래서 프리다는 디에고에게 남편으로서보다는 더 큰 에너지인 예술가로서의 멕시코민족의 원형을 투사 다른 사람들도 나의 태도나 감정 등과 똑같은 것을 가졌다고 단정하려 드는 경향. 아이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또 자기 자신이 납득하기 어려운 사고(思考), 감정이나 만족할 수 없는 욕구를 갖고 있는 경우에 그것을 타인에게 돌려 버리는 것과 같은 무의식적인 마음의 움직임이다. 이것은 방위기제(防衛機制)의 한 가지로 동일시(同一視)의 한 형(型)이다.
해서 자기 마음속의 신으로 만든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한다. 디에고를 부정하는 것은 그림을, 혁명을, 멕시코를 부정하는 것이 되고 또한 자신의 삶을 부정하는 것이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그녀는 살 수 없었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또한 작품 분석을 계기로 프리다에 대한 엄청난 자료들과 다양한 해석 어떤 정신분석가는 프리다 칼로는 타자중심적인 '히스테리자'였다고도 한다. 그녀는 남편 디에고를 자신의 무의식 세계에 흡수해 자신과 동일시했으며 여성편력이 심했던 남편 디에고는 프리다에게 고통과 상처를 줬지만 디에고를 향한 공격성은 그림 어디에서도 찾기 힘들다. 대신 자기 스스로를 파괴하는 마조히즘의 양태를 띠게 되었는데 프리다의 수많은 자화상에는 눈물,피,상처들이 등장한다.
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았고 선행 연구에 동의하는 부분은 인용해서 서술 하였다. 현대에 있어서는 한 작품을 여러 관점으로 해석해 볼 수 있는 작품이 훌륭한 작품으로 평가되곤 하는데 프리다의 작품은 나에게 있어서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작품들이다. 앞으로도 얼마든지 또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참고문헌
1. 르 클레오 (2001)프리다 칼로, 디에고 리베라
2. 이성민(2005) 멕시코 전통미술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프리다 칼로 회화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3 .진스하(2005) 프리다 칼로 작품에 나타난 미술치료적 표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논문
4. 황정임(2006)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논문
5. 조혜옥(2001)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에 나타나는 성 정체성의 문제,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추천자료
유아 성역할 발달
융 분석심리학 요약
심리학자 융에 대해서
한국과 일본의 국민성 비교 연구(국가경쟁력에 기초하여 접근)
칼융의 공시성 이론
꿈의 이론과 분석
명품브랜드 구찌 마케팅전략
융의분석심리학 수업후 유아교사로서 알게되고 변화한점과 생각이나 마음에 어떤영향을 미쳤...
인간성격과 사회복지실천-프로이드
인간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의 개념과 전반적 특징을 설명하고 융의 성...
[정신건강 1공통] 프로이드(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방어기제에 대해 설명
융(Jung)의 분석심리이론에 대해 기술하고 다른 학자들의 평가를 토대로 융 이론에 대한 제한...
(인간행동과사회환경 A형) 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
체육학)운동 선수들에게 글쓰기는 왜 필요한가 운동 선수들은 왜 공부를 해야 하는가 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