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선공산당의 성격
2. 조선공산당의 통일 정책
3. 조선공산당의 통일 정책 정리
4. 조선공산당의 통일 정책에 대한 평가
2. 조선공산당의 통일 정책
3. 조선공산당의 통일 정책 정리
4. 조선공산당의 통일 정책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모르겠지만 찬탁의 이유로 언급한 ‘한국의 내부적인 약점’을 스스로 고치려 하지 않았다는 점만으로도 비판받을 수 있다. 또 반탁의 입장에서 찬탁의 입장으로 돌아서는 과정이 석연치가 않으며 너무 소련의 정책에 의존한다는 것이 보인다.
마지막으로 폭력 혁명을 통한 통일 정책이 있다. 공산당이 불법화되자 취 한 정책으로 그 목표는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쟁취하는 데 있다. 이에 대한 우리 조의 입장은 통일되지 않았다.
한 입장은 그렇게 폭력 혁명이라는 것이 나쁘지만은 않고 43 사건이나 여수순천 사건도 실제로는 우리 민족의 주체성을 위한 당연한 민중의 봉기라고 여겼다. 또 최근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6월 혁명이나 요즈음 518 재수사 방침도 역시 폭력을 통해 이루어 낸 것이 아니냐는 견해였다.
다른 입장은 폭력 혁명이라는 것은 상황에 따라 옳을 수 있지만 이 때의 상황은 공산당의 혁명을 통해 결국 소련 위주의 공산 정권 수립이라는 목표 하에서 폭력 혁명을 택한 것이기 때문에 옳다고 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더구나 자신들의 초기 입장이 서로 통합하자는 것이었는데 다른 쪽 의견은 전혀 듣지 않고 무조건 전복으로 나간다는 것 자체가 모순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폭력 혁명을 통한 통일 정책이 있다. 공산당이 불법화되자 취 한 정책으로 그 목표는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쟁취하는 데 있다. 이에 대한 우리 조의 입장은 통일되지 않았다.
한 입장은 그렇게 폭력 혁명이라는 것이 나쁘지만은 않고 43 사건이나 여수순천 사건도 실제로는 우리 민족의 주체성을 위한 당연한 민중의 봉기라고 여겼다. 또 최근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6월 혁명이나 요즈음 518 재수사 방침도 역시 폭력을 통해 이루어 낸 것이 아니냐는 견해였다.
다른 입장은 폭력 혁명이라는 것은 상황에 따라 옳을 수 있지만 이 때의 상황은 공산당의 혁명을 통해 결국 소련 위주의 공산 정권 수립이라는 목표 하에서 폭력 혁명을 택한 것이기 때문에 옳다고 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더구나 자신들의 초기 입장이 서로 통합하자는 것이었는데 다른 쪽 의견은 전혀 듣지 않고 무조건 전복으로 나간다는 것 자체가 모순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