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사: 로크
2. 교육의 목적
3. 로크 교육론의 특징
4. 교육받은 사람
2. 교육의 목적
3. 로크 교육론의 특징
4. 교육받은 사람
본문내용
다. 신사계급은 사회를 유지하는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자녀를 가장 신사답게 기를 경우 사회질서는 저절로 안정이 되고, 나아가 국가의 번영과 복지가 기약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로크가 교육에 의해서 바랐던 신사상은 민주적이며 시민사회의 실질적 구성원으로서 스스로의 경험과 이성에 의하여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고 자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사람이었다. 이러한 신사의 형성은 상식이 통하고 상식을 회복시키는 교육의 실천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또한 그의 일반적인 인간형성론 이기도 하기 때문에 현대 교육에 있어 그의 사상적 태도나 방법은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큰 것이다. 그러나 그가 코메니우스처럼 계층을 초월한 보편적 교육은 생각하지 않고 상류층의 교육에 한정된 것이라는 보수성을 부정할 수는 없다.
로크가 교육에 의해서 바랐던 신사상은 민주적이며 시민사회의 실질적 구성원으로서 스스로의 경험과 이성에 의하여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고 자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사람이었다. 이러한 신사의 형성은 상식이 통하고 상식을 회복시키는 교육의 실천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또한 그의 일반적인 인간형성론 이기도 하기 때문에 현대 교육에 있어 그의 사상적 태도나 방법은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큰 것이다. 그러나 그가 코메니우스처럼 계층을 초월한 보편적 교육은 생각하지 않고 상류층의 교육에 한정된 것이라는 보수성을 부정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