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안보] 한국전쟁과 한강교폭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한강교 폭파 관련, 신문기사 내용

Ⅱ. 한강교 폭파 시점

Ⅲ. 생각, 한강교 폭파에 대한 정리

본문내용

군에 의해서 아군과 난민들이 목숨을 잃는 사태도 발생하였습니다.
미처 피난도 가지 못한 많은 사람들이 남아 있는 상황에서 무참히 한강교를 폭파시킨 것은 국가가 국민을 버린 것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북한군 전차가 한강대교 북단에 출현한 것은 교량이 폭파된 지 7시간 30분이 지난 28일 오전 10시쯤 이었다고 합니다. 한강교 폭파 계획을 조금이라도 늦추었다면, 최소 한 시간만 이라도 늦추었다면 더 많은 인명을 구하고, 더 많은 난민과 아군의 피해를 줄일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한강교 폭파는 북한이 남침하는 전쟁 속도를 줄이고, 서울 이하의 국민들과 국토, 국가의 재산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 선택한 매우 합리적인 방법의 전투계획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합리적인 선택에는 합리적인 근거가 뒷받침 되었어야 하는데, 북한의 전차가 도착하여 공격할 시간에 대한 계산을 정확하게 하였더라면, 인명피해를 낳지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한강교 폭파사건은 전술적으로는 합리적인 선택이었을지 몰라도 1950년대 당시 우리나라의 인권과 생명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이승만 정권의 실책 중 가장 비인도적이라 할 수 있는 사건이었다고 생각합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5.24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97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