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정 의
2. 증 상
3. 원 인
4. 합병증/예후
5. 진단적 검사
6. 치 료
7. 간 호
Ⅲ 사례연구
1. 간호사정
2. 임상병리 결과
3. 약물
4. 간호과정
Ⅳ 결론
Ⅴ참고문헌
Ⅱ 문헌고찰
1. 정 의
2. 증 상
3. 원 인
4. 합병증/예후
5. 진단적 검사
6. 치 료
7. 간 호
Ⅲ 사례연구
1. 간호사정
2. 임상병리 결과
3. 약물
4. 간호과정
Ⅳ 결론
Ⅴ참고문헌
본문내용
odro tab (레보드로정) 60mg, PO
분류: 진해거담제
작용 및 효과: 기침: 급, 만성 기관지염
용법/용량: 성인 1회 1정, 1일 3회
부작용: 드물게 구역, 탄산증, 소화불량, 설사, 구토, 피로, 기능쇠약, 반수, 혼수, 두통, 현기증, 두근거림 등
ventolin respiratory solution (벤토린) 5mg/ml 20ml, AP
분류: 진해거담제
작용 및 효과: 중증 급성천식, 통상요법에 효과 없는 만성기관지 경련의 처치
용법/용량: 1일 4회까지. 본제는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흡입투여. 간헐투여법:성 인: 0.5-1ml, 최대 2ml, 12세 이하 소아:0.5ml. 최대 1ml.
연속투여법: 50-100mcg/ml 희석액을 1-2mg/hr 속도로 흡입
부작용: 드물게 역설적 기관지경련, 빈맥, 고혈압, 협심증, 흥분, 불면, 어지러움, 졸음, 진전, 두통, 저칼륨혈증, 구역, 구내염, 미각이상, 두드러기, 기관지 경련, 저혈압, 허탈, 근육통, 혈관부종
4. 간 호 과 정
@ 자 료 분 석
의미있는 자료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관련 자료
“기침이랑 가래 때문에 말하기도 숨쉬기도 불편해.”
“답답해 죽겠네.”
-청진시 wheezing이 들림
-기침하는 모습
-R: 44회.
성인의 정상 호흡수 평균 15회~25회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열 나는 것 같아.”
“너무 춥다.”
-T: 37.9℃ P: 92 R: 25
-만져보았을 때 열감 있음
성인의 정상체온 평 균 36.5℃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터졌다! 또 맞기 싫은데..”
“이걸 꼭 달고 있어 야돼?
“이 약은 뭔데?”
- Fluid를 거절하는 모습 보임.
- 경구약에 대한 궁금증을 갖고 계심.
지식부족으로 인한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 간 호 진 단
번호
발생날짜
간호진단
해결날짜
1
6/28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7/1
2
7/3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7/5
3
7/1
지식부족으로 인한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7/2
@ 간 호 계 획
간호진단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지시
1
대상자는 청진 상 깨끗한 폐음이 들릴 것이다.
대상자는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할 것이다.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가습기를 사용 한다.
-기침을 격려한다.
- v/s을 6시간 마다 체크한다.
-하루 2-3L정도의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필요 시 진해거담제를 사용한다.
2
대상자는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 할 것이다
-v/s을 4시간 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체크한다.
-ice bag으로 열을 내리고, 신체부위를 노출 시 킨다.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 제공하여 최대한의 휴식 을 도모한다.
-필요 시 해열제 사용.
-해열제 투여 이후 체온을 측정한다.
3
대상자는 수액의 중요성을 알게 될 것이다.
대상자는 수액을 거부하지 않을 것이다.
-수액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수액이 들어가고 있는 팔은 안 움직이도록 교 육한다.
-수액을 거절하는 이유를 사정한다.
-경구약에 대하여 교육한다.
@ 간 호 수 행 / 평 가
일시
진단번호
간호수행
6/28~29
1
-55~65%의 습도 유지를 위하여 가습기로 습도를 높이고, 가래가 나오기 시작하면 체위를 자주 변화시키면서 등을 가볍게 두드려서 잘 빠져 나오도록 하였다.
-환자가 기침할 때 손바닥을 펴서 가슴의 앞 뒤를 지지함으로써 기침하는 것을 도와주고 격려하였다.
- 수분은 탈수를 방지하고 객담을 묽게 하여 쉽게 배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수분을 권장하였다.
- v/s을 6시간 마다 체크하였다.
am09:00- BP:130/80 P:72 R:34 T:36.5
pm15:00- BP:130/70 P:68 R:26 T:36.8
-필요 시 진해거담제를 사용한다.
29일 2시경 기침이 심하고 가래가 많아 레불라이저를 작동시켰다.
(벤토린 사용)
-결과적으로 일정하지 않았던 호흡양상이 일정해지고 대상자가 가래 가 목에 안 쌓인다고 말하였다.
-6월28일에 천명음이 크게 들렸는데 29일에는 많이 호전되었다.
-산소포화도는 93%에서 98%로 확인되었다.
7/3
2
-v/s을 4시간 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체크하였다.
09:00
13:00
17:00
BP:130/70 P:76 R:22
T: 37.8℃
BP:120/70 P:76 R:28
T: 37.0℃
BP:120/80 P:68 R:24
T: 36.4℃
-보호자에게 ice bag으로 몸을 마사지 하고, 신체부위를 노출시키라 고 교육하고 시범을 보인 후 3시간 후에 고막체온계로 측정해 본 결 과 36.4℃로 체온이 정상적으로 돌아왔다.
7/1
3
-수액을 거부하는 이유를 사정해 보았더니, 불편하고 거슬린다고 말하였고, 움직일 때마다 혈관이 터진다고 말해서, 되도록이면 수액이 들어가고 있는 팔은 많이 움직이지 말라고 교육하였고, 최대한 불편하지 않도록 반창고로 고정해주었다.
-수액 안에는 여러 가지 약물이 섞여 들어가서 염증 치료에 작용한다는 것을 인식시켰고, 경구 약에 대해 설명하였더니 더 이상 질문 안하시고 약을 꾸준히 드셨다.
그 후로 불편한 점 없냐고 물어봤더니 없다고 말씀하심.
Ⅳ 결 론
내가 잡았던 케이스 환자가 급성기관지염이기 때문에 짧은 시간동안 입원을 해서 너무 아쉬웠다. 그래도 그 사이에 면담도 하고 실습생으로써의 간호 기술도 적용해서 대상자가 괜찮아 진 것을 보면 가슴이 뿌듯하고 빨리 임상에 나가고 싶다는 마음도 생기기도 했다.
하지만 케이스 환자가 너무 까칠해서 처음엔 다가가기도 힘들었는데 며칠 사이에 나에게 의존하는 모습이 보이고 퇴원할 때도 나한테 좋은 말씀 해주고 가니깐 너무 보람 있었던 것 같다.
급성기관지염은 전염성이 있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되새겨본다. 그렇기 때문에 그에 따른 간호는 예방이 중심이 되어야 할 것이고, 질병의 진행 과정을 사정하고 합병증인 폐렴이 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써야 할 것이다.
2주 동안 실습하면서 새로운 것을 보고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다른 병원보다 정말 많은 것을 배웠고 제일 재미있었던 것 같고 이번 기회를 통해서 더 많이 발전한 내가 되었으면 한다.
분류: 진해거담제
작용 및 효과: 기침: 급, 만성 기관지염
용법/용량: 성인 1회 1정, 1일 3회
부작용: 드물게 구역, 탄산증, 소화불량, 설사, 구토, 피로, 기능쇠약, 반수, 혼수, 두통, 현기증, 두근거림 등
ventolin respiratory solution (벤토린) 5mg/ml 20ml, AP
분류: 진해거담제
작용 및 효과: 중증 급성천식, 통상요법에 효과 없는 만성기관지 경련의 처치
용법/용량: 1일 4회까지. 본제는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흡입투여. 간헐투여법:성 인: 0.5-1ml, 최대 2ml, 12세 이하 소아:0.5ml. 최대 1ml.
연속투여법: 50-100mcg/ml 희석액을 1-2mg/hr 속도로 흡입
부작용: 드물게 역설적 기관지경련, 빈맥, 고혈압, 협심증, 흥분, 불면, 어지러움, 졸음, 진전, 두통, 저칼륨혈증, 구역, 구내염, 미각이상, 두드러기, 기관지 경련, 저혈압, 허탈, 근육통, 혈관부종
4. 간 호 과 정
@ 자 료 분 석
의미있는 자료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관련 자료
“기침이랑 가래 때문에 말하기도 숨쉬기도 불편해.”
“답답해 죽겠네.”
-청진시 wheezing이 들림
-기침하는 모습
-R: 44회.
성인의 정상 호흡수 평균 15회~25회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열 나는 것 같아.”
“너무 춥다.”
-T: 37.9℃ P: 92 R: 25
-만져보았을 때 열감 있음
성인의 정상체온 평 균 36.5℃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터졌다! 또 맞기 싫은데..”
“이걸 꼭 달고 있어 야돼?
“이 약은 뭔데?”
- Fluid를 거절하는 모습 보임.
- 경구약에 대한 궁금증을 갖고 계심.
지식부족으로 인한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 간 호 진 단
번호
발생날짜
간호진단
해결날짜
1
6/28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7/1
2
7/3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7/5
3
7/1
지식부족으로 인한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7/2
@ 간 호 계 획
간호진단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지시
1
대상자는 청진 상 깨끗한 폐음이 들릴 것이다.
대상자는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할 것이다.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가습기를 사용 한다.
-기침을 격려한다.
- v/s을 6시간 마다 체크한다.
-하루 2-3L정도의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필요 시 진해거담제를 사용한다.
2
대상자는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 할 것이다
-v/s을 4시간 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체크한다.
-ice bag으로 열을 내리고, 신체부위를 노출 시 킨다.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 제공하여 최대한의 휴식 을 도모한다.
-필요 시 해열제 사용.
-해열제 투여 이후 체온을 측정한다.
3
대상자는 수액의 중요성을 알게 될 것이다.
대상자는 수액을 거부하지 않을 것이다.
-수액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수액이 들어가고 있는 팔은 안 움직이도록 교 육한다.
-수액을 거절하는 이유를 사정한다.
-경구약에 대하여 교육한다.
@ 간 호 수 행 / 평 가
일시
진단번호
간호수행
6/28~29
1
-55~65%의 습도 유지를 위하여 가습기로 습도를 높이고, 가래가 나오기 시작하면 체위를 자주 변화시키면서 등을 가볍게 두드려서 잘 빠져 나오도록 하였다.
-환자가 기침할 때 손바닥을 펴서 가슴의 앞 뒤를 지지함으로써 기침하는 것을 도와주고 격려하였다.
- 수분은 탈수를 방지하고 객담을 묽게 하여 쉽게 배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수분을 권장하였다.
- v/s을 6시간 마다 체크하였다.
am09:00- BP:130/80 P:72 R:34 T:36.5
pm15:00- BP:130/70 P:68 R:26 T:36.8
-필요 시 진해거담제를 사용한다.
29일 2시경 기침이 심하고 가래가 많아 레불라이저를 작동시켰다.
(벤토린 사용)
-결과적으로 일정하지 않았던 호흡양상이 일정해지고 대상자가 가래 가 목에 안 쌓인다고 말하였다.
-6월28일에 천명음이 크게 들렸는데 29일에는 많이 호전되었다.
-산소포화도는 93%에서 98%로 확인되었다.
7/3
2
-v/s을 4시간 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체크하였다.
09:00
13:00
17:00
BP:130/70 P:76 R:22
T: 37.8℃
BP:120/70 P:76 R:28
T: 37.0℃
BP:120/80 P:68 R:24
T: 36.4℃
-보호자에게 ice bag으로 몸을 마사지 하고, 신체부위를 노출시키라 고 교육하고 시범을 보인 후 3시간 후에 고막체온계로 측정해 본 결 과 36.4℃로 체온이 정상적으로 돌아왔다.
7/1
3
-수액을 거부하는 이유를 사정해 보았더니, 불편하고 거슬린다고 말하였고, 움직일 때마다 혈관이 터진다고 말해서, 되도록이면 수액이 들어가고 있는 팔은 많이 움직이지 말라고 교육하였고, 최대한 불편하지 않도록 반창고로 고정해주었다.
-수액 안에는 여러 가지 약물이 섞여 들어가서 염증 치료에 작용한다는 것을 인식시켰고, 경구 약에 대해 설명하였더니 더 이상 질문 안하시고 약을 꾸준히 드셨다.
그 후로 불편한 점 없냐고 물어봤더니 없다고 말씀하심.
Ⅳ 결 론
내가 잡았던 케이스 환자가 급성기관지염이기 때문에 짧은 시간동안 입원을 해서 너무 아쉬웠다. 그래도 그 사이에 면담도 하고 실습생으로써의 간호 기술도 적용해서 대상자가 괜찮아 진 것을 보면 가슴이 뿌듯하고 빨리 임상에 나가고 싶다는 마음도 생기기도 했다.
하지만 케이스 환자가 너무 까칠해서 처음엔 다가가기도 힘들었는데 며칠 사이에 나에게 의존하는 모습이 보이고 퇴원할 때도 나한테 좋은 말씀 해주고 가니깐 너무 보람 있었던 것 같다.
급성기관지염은 전염성이 있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되새겨본다. 그렇기 때문에 그에 따른 간호는 예방이 중심이 되어야 할 것이고, 질병의 진행 과정을 사정하고 합병증인 폐렴이 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써야 할 것이다.
2주 동안 실습하면서 새로운 것을 보고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다른 병원보다 정말 많은 것을 배웠고 제일 재미있었던 것 같고 이번 기회를 통해서 더 많이 발전한 내가 되었으면 한다.
추천자료
폐렴, 기관지염, 기관지 환아 객담배출법
아동 기관지염
기관지염의 민간요법과 민간요법의 찜질
기관지염 열성경련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아동병동 - bronchitis 환아 간호과정 사례
아동간호학 Bronchitis 케이스
[기관지][기관지 구조][기관지암][기관지염][기관지천식][소아 기관지천식]기관지의 구조, 기...
아동 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사례연구 - 세기관지염 bronchiolitis, 칸디다성 구내염 candidal stomatitis
소아과case 세기관지염-20쪽
5세기관지염과 RSV
아동 기관지염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 Bronchopneumonia / Asthmatic bronchiti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