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28강 공정의 관리
1.공정설계
2.공정품질의 통계적 관리
3.공정의 관리도
제29강 공정의 관리도(I)
1.관리도의 본질
2.관리도의 유형
3.관리도의 작성
제30강 공정의 관리도(II)
1.관리도의 작성
2.관리도의 판단과 적용
1.공정설계
2.공정품질의 통계적 관리
3.공정의 관리도
제29강 공정의 관리도(I)
1.관리도의 본질
2.관리도의 유형
3.관리도의 작성
제30강 공정의 관리도(II)
1.관리도의 작성
2.관리도의 판단과 적용
본문내용
제28강 공정의 관리
1. 공정설계(I)
◆ 1. 공정관리
◇ 공정관리 란
∴ 의의:
ː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내기 위해 필요한 투입요소(input), 작업활동(operation), 산출요소(output)를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유지관리 하는 것
∴ 중요성
ː 양질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생산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해야 한다
ː 생산시스템과 관련된 많은 의사결정 중에서 공정관리는 매우 핵심적인 문제 중의 하나이며 여기에는 인력ㆍ설비ㆍ자재ㆍ작업방법 등의 구성에 대한 최적의 의사결정이 포함된다
∴ 공정관리의 분류
ː 공정설계와 통계적 공정관리
ː 공정의 설계
°제품생산에 필요한 투입요소ㆍ산출요소ㆍ작업활동ㆍ공정흐름ㆍ생산기법 등을 선택하는 것
1. 공정설계(II)
◆ 2. 공정설계
◇ 공정설계(process design)
∴ 새로운 생산라인을 구축하거나 새로운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외에도 다양한 목적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이다
◇ 공정설계 시 고려할 요인(Krajewski)
∴ 공정선택(process choice)
∴ 수직적 통합(vertical integration)
∴ 자원유연성(resource flexibility)
∴ 고객참여도(customer involvement)
∴ 자본집약도(intensity)
≪ …중 략… ≫
1. 관리도의 본질(I)
◆ 관리도(control chart)
◇ 관리도란:
∴ 품질의 추이를 나타내는 추이 그래프로서 공정의 관리상태를 동태적으로 밝혀주고, 공정품질의 상태를 통계적으로 판단하는 관리한계선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관리도의 구성요소
∴ 목표값(중앙선: center line: CL)
∴ 관리상한값(관리상한선: upper control limit: UCL)
∴ 관리하한값(관리하한선: lower control limit: LCL)
◇ 관리한계와 규격한계
∴ 규격한계 내지 시방한계(USL: upper specification limit와 LSL: lower specification limit): 생산된 제품의 합격과 불합격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것
∴ 관리한계(control limit: UCL, LCL): 공정의 이상원인을 제거하려는 목적에서 공정에 대한 조치를 지시하는 수단으로 사용됨
1. 공정설계(I)
◆ 1. 공정관리
◇ 공정관리 란
∴ 의의:
ː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내기 위해 필요한 투입요소(input), 작업활동(operation), 산출요소(output)를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유지관리 하는 것
∴ 중요성
ː 양질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생산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해야 한다
ː 생산시스템과 관련된 많은 의사결정 중에서 공정관리는 매우 핵심적인 문제 중의 하나이며 여기에는 인력ㆍ설비ㆍ자재ㆍ작업방법 등의 구성에 대한 최적의 의사결정이 포함된다
∴ 공정관리의 분류
ː 공정설계와 통계적 공정관리
ː 공정의 설계
°제품생산에 필요한 투입요소ㆍ산출요소ㆍ작업활동ㆍ공정흐름ㆍ생산기법 등을 선택하는 것
1. 공정설계(II)
◆ 2. 공정설계
◇ 공정설계(process design)
∴ 새로운 생산라인을 구축하거나 새로운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외에도 다양한 목적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이다
◇ 공정설계 시 고려할 요인(Krajewski)
∴ 공정선택(process choice)
∴ 수직적 통합(vertical integration)
∴ 자원유연성(resource flexibility)
∴ 고객참여도(customer involvement)
∴ 자본집약도(intensity)
≪ …중 략… ≫
1. 관리도의 본질(I)
◆ 관리도(control chart)
◇ 관리도란:
∴ 품질의 추이를 나타내는 추이 그래프로서 공정의 관리상태를 동태적으로 밝혀주고, 공정품질의 상태를 통계적으로 판단하는 관리한계선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관리도의 구성요소
∴ 목표값(중앙선: center line: CL)
∴ 관리상한값(관리상한선: upper control limit: UCL)
∴ 관리하한값(관리하한선: lower control limit: LCL)
◇ 관리한계와 규격한계
∴ 규격한계 내지 시방한계(USL: upper specification limit와 LSL: lower specification limit): 생산된 제품의 합격과 불합격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것
∴ 관리한계(control limit: UCL, LCL): 공정의 이상원인을 제거하려는 목적에서 공정에 대한 조치를 지시하는 수단으로 사용됨
추천자료
생산관리론의 기초개념
품질관리기사1차0103
품질관리기사 1차 기출문제
품질관리산업기사답안(2001-3-4)
관리도의 기본 개념과 종류 및 해석방법 용도
민주적 선거제도를 위한 선거관리위원회에 의한 위탁관리 방안
시대별 국가별 품질관리의 역사 (미국, 일본, 한국, 유럽)
품질관리의 발전(언제,어디서,어떤과정으로 발전하였는가)
x-관리도와r-관리도
서비스 품질관리
[생산성 향상][생산성]생산성 향상과 ERP(전사적 자원관리), 생산성 향상과 KT ATS, 생산성 ...
생활과통계=1. 국가통계를 정의하고 국가통계의 종류를 예를 들어 설명하라 2. e-나라지표에...
가사노동시간관리B형 학생 본인의 시간사용 실태를 1주일간 기록한 후 시간분류방법에 따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