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관리도의 기본 개념
2. 관리도의 종류
3. 개량형 관리도(평균-범위 관리도)
4. 개수형 P관리도
5. 관리도의 해석 방법
6. 관리도의 용도
2. 관리도의 종류
3. 개량형 관리도(평균-범위 관리도)
4. 개수형 P관리도
5. 관리도의 해석 방법
6. 관리도의 용도
본문내용
경우
㉣ 중심선 한쪽에 많은 점이 나타날 때
중심선의 한쪽으로 많은 점이 나타날 때에도 공정이 관리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 중심선 한쪽으로 7점 이상이 계속될 때
# 연속된 11점 중 10점 이상이 같은 쪽에 있을 때
# 연속된 14점 중 12점 이상이 같은 쪽에 있을 때
# 연속된 17점 중 14점 이상이 같은 쪽에 있을 때
# 연속된 20점 중 16점 이상이 같은 쪽에 있을 때
㉤ 점이 관리한계선에 접근해서 나타날 때
관리상태의 분포를 보면, 점이 관리 한계선 가까이 나타날 확률은 매우 낮다. 따라서 점이 관리 한계선 근처에 잇따라 여러개 나타날 수 있는 확률은 더욱 적으므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무엇인가 이상원인이 생겼다고 판단할 수 있다.
# 연속된 3점 중 2점 이상
# 연속된 7점 중 3점 이상
# 연속된 10점 중 4점 이상
㉥ 특수한 상태가 나타나는 경우
6. 관리도의 용도
1) 공정관리용 관리도
: 제조공정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
2) 공정해석용 관리도
: 제조공정에서 산출되는 품질의 산포 원인을 분석하거나 공정품질의 현상을 분석하되 사용
문제 : (개개의 측정치) 관리도란
답 : 일일 또는 수일간에 걸쳐 자료를 1개밖에 얻을 수 없거나 측정이 파괴시험이기 때문에 경제상 하나밖에 얻지 못하는 1군 1점의 관리도이다. 즉, 1회에 1개 자료밖에 얻을 수 없거나 자료의 발생간격이 긴 공정관리에 이용된다. 관리도의 작성은 군분분류가 가능한 경우와 군분류가 불가능한 경우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예를 들어, 시간소요가 많은 화학분석치, 알콜올농도, 1일 전력 소비량 등과 같다.
㉣ 중심선 한쪽에 많은 점이 나타날 때
중심선의 한쪽으로 많은 점이 나타날 때에도 공정이 관리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 중심선 한쪽으로 7점 이상이 계속될 때
# 연속된 11점 중 10점 이상이 같은 쪽에 있을 때
# 연속된 14점 중 12점 이상이 같은 쪽에 있을 때
# 연속된 17점 중 14점 이상이 같은 쪽에 있을 때
# 연속된 20점 중 16점 이상이 같은 쪽에 있을 때
㉤ 점이 관리한계선에 접근해서 나타날 때
관리상태의 분포를 보면, 점이 관리 한계선 가까이 나타날 확률은 매우 낮다. 따라서 점이 관리 한계선 근처에 잇따라 여러개 나타날 수 있는 확률은 더욱 적으므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무엇인가 이상원인이 생겼다고 판단할 수 있다.
# 연속된 3점 중 2점 이상
# 연속된 7점 중 3점 이상
# 연속된 10점 중 4점 이상
㉥ 특수한 상태가 나타나는 경우
6. 관리도의 용도
1) 공정관리용 관리도
: 제조공정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
2) 공정해석용 관리도
: 제조공정에서 산출되는 품질의 산포 원인을 분석하거나 공정품질의 현상을 분석하되 사용
문제 : (개개의 측정치) 관리도란
답 : 일일 또는 수일간에 걸쳐 자료를 1개밖에 얻을 수 없거나 측정이 파괴시험이기 때문에 경제상 하나밖에 얻지 못하는 1군 1점의 관리도이다. 즉, 1회에 1개 자료밖에 얻을 수 없거나 자료의 발생간격이 긴 공정관리에 이용된다. 관리도의 작성은 군분분류가 가능한 경우와 군분류가 불가능한 경우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예를 들어, 시간소요가 많은 화학분석치, 알콜올농도, 1일 전력 소비량 등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