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장강
장강중·하류 지역에 쌀농사가 집중된 이유
장강지역의 쌀농사 역사.
쌀로 만든 대표음식 (호북성 무한요리)
장강중·하류 지역에 쌀농사가 집중된 이유
장강지역의 쌀농사 역사.
쌀로 만든 대표음식 (호북성 무한요리)
본문내용
단, 금방 가마에서 꺼낸 탕원은 아주 뜨겁기 때문에 한 입에 삼키지 말고 조금씩 떼어 먹어야 한다.
2.쌀국수: 호탕분(糊湯粉)
쌀을 가루내서 국수를 뽑고 장어나 붕어로 국물을 끓여서 쌀국수와 함께 끓이고 간을 맞추어 그릇에 담으면 된다. 그리고 나서 파와 후추를 뿌려 기름에 튀긴 밀가루 떡과 함께 먹는다.
후탕분은 국물이 짙고 가늘면서도 쫀득쫀득한 쌀국수가 하얗게 이쁘고 시원한 해물맛이 어울려 영양분과 맛을 다 갖춘 무한 스낵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3.쌀과자:면와(面窩)
면와는 기름에 구운 떡 소병(燒餠)에서 기원한 무한 스낵이다. 쌀과 콩가루를 묽게 반죽해 움푹 패인 쇠국자에 담아서 기름가마에 넣으면 둥근 국자모양의 노오란 떡이 만들어진다.
부드러우면서도 바삭바삭하고 맛도 좋은 면와는 10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무한 제일의 조식이다.
4.전:삼선두피(三鮮豆皮)
두피란 원래 무한 일대의 시골음식으로 녹두와 쌀을 함께 찧어 엷게 전을 만들어 그 속에 찹쌀과 고기소를 넣어 기름에 구운 떡이었다. 후에 요리사들의 부단한 혁신에 의해 육류와 계란, 새우를 소로 해서 전을 만들게 되었는데 색갈이 노랗고 맛이 좋으며 바삭바삭해서 이름을 날리게 되었다.
2.쌀국수: 호탕분(糊湯粉)
쌀을 가루내서 국수를 뽑고 장어나 붕어로 국물을 끓여서 쌀국수와 함께 끓이고 간을 맞추어 그릇에 담으면 된다. 그리고 나서 파와 후추를 뿌려 기름에 튀긴 밀가루 떡과 함께 먹는다.
후탕분은 국물이 짙고 가늘면서도 쫀득쫀득한 쌀국수가 하얗게 이쁘고 시원한 해물맛이 어울려 영양분과 맛을 다 갖춘 무한 스낵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3.쌀과자:면와(面窩)
면와는 기름에 구운 떡 소병(燒餠)에서 기원한 무한 스낵이다. 쌀과 콩가루를 묽게 반죽해 움푹 패인 쇠국자에 담아서 기름가마에 넣으면 둥근 국자모양의 노오란 떡이 만들어진다.
부드러우면서도 바삭바삭하고 맛도 좋은 면와는 10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무한 제일의 조식이다.
4.전:삼선두피(三鮮豆皮)
두피란 원래 무한 일대의 시골음식으로 녹두와 쌀을 함께 찧어 엷게 전을 만들어 그 속에 찹쌀과 고기소를 넣어 기름에 구운 떡이었다. 후에 요리사들의 부단한 혁신에 의해 육류와 계란, 새우를 소로 해서 전을 만들게 되었는데 색갈이 노랗고 맛이 좋으며 바삭바삭해서 이름을 날리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