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 실습 체크리스트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에서 귓불까지 그리고 이어서 검상돌기와 배꼽 중간 지점까지를 튜브로 측정합니다.
(만 1세 이상의 아동의 경우에는 콧등에서 귓불을 지나 검상돌기까지만 잽니다.)
·이런 방법으로 튜브길이를 측정하고, 카테터의 끝부분에 윤활유를 바릅니다. 이 때, 지용성 윤활유는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간혹 튜브가 기관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있어서 기관에 그름성분이 남게 되면 유즙성 폐렴을 유발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튜브를 삽입할 때 미주신경을 건드려 서맥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를 해야 합니다.
·튜브가 정상적으로 위로 삽입되었는지 위 분비물을 흡인해 봅니다.
(위 분비물을 버리지 않고 제자리에 돌려 놓는 것은 전해질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장관 급식 후에는 분유나 모유를 먹인 후와 마찬가지로 아기를 안고 트림을 시켜야 합니다.
(이는 우유를 토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아기와의 밀착 접촉의 기회를 주기도 합니다.)
·비위 영양 튜브로 급식을 하는 나이많은 아동의 경우에는 하루에 최소한 두 번 이상 구강관리를 해줍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들의 구강은 건조해져 궤양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기관지 절개관
간호
*정의 : 기관절개술은 목을 통해 기관을 여는 외과적 절차입니다.
*적응증 : 상기도 폐쇄로 기관을 통한 산소의 공급이 부적절할 때, 만성적인 기계적 환기를 주기 위함,
·만성적인 흡인 아동에서 흡입된 구강분비물을 제거 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간호 :
①기관절개환자 간호를 위해 깨끗한 흡인기와 소독된 물품들을 사용하고 적어도 24시간마다 교환해야 합니다.
②흡인관에 남아있는 분비물을 소독수가 담긴 병을 모으고, 이때 흡인관과 연결되는 Y 튜브 는 소독된 것을 사용합니다.
③침상가에는 소독된 Catheter와 Glove가 준비되어 있어야 하며, 흡인할 때마다 Catheter와 Glove를 새것으로 사용합니다.
④구강이나 비강으로 흡인을 해야 할 때에는 교차 감염을 막기 위해 Catheter를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⑤흡인과정을 항상 소독적으로 깨끗이 해야 합니다.
⑥흡인을 끝낸 후 Catheter를 치우기 전에 소독수로 튜브를 깨끗이 정리합니다.
⑦이물질이 남아 있으면 자극을 주거나 감염의 원인이 됩니다.
·Tracheostomy tube 주위부분은 자극을 주거나 감염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항상 건조하게 관리합니다.
·Tracheostomy tube 내관을 세척할 때는 35% H2O2 에 담근 후 Saline에 깨끗이 헹굽니다.
Infusion pump
사용시 간호
*정의 : 환자에게 주입이 필요한 수액, 약물, 영양분 등을 자동으로 환자의 혈액순환 시스템에 주입을 하는 기기를 말합니다. 이 기기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정맥내에 사용되는데, 때때로 동맥내, 상복부나 피하 등에도 사용됩니다.
*목적 : 신생아나 영유아 또는 중환자들에게 약물을 지속적으로 주입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주입할 정확한 양의 수액을 정확한 시간 동안 주입하기 위함이며, 총 주입해야 할 양을 정한 후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방법 :
①전원 스위치를 켜고 문을 열어 하단부 Tubing lever를 당깁니다.
②준비된 IV set를 일직선이 되도록 당겨 삽입합니다.
③문을 닫고 IV set 챔버에 Drop sensor를 장착합니다. (챔버에 수액을 절반정도 채우고 sensor는 약물이 없는 부위에 채운다)
④Infusion set를 조절합니다. (예를 들어 24hr main fluid 일 경우 1L의 경우 시간당 40cc (10gtt) 500ml일 경우 시간당 20cc (5gtt)로 조절)
⑤Rate값을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300ml용액을 한시간 내로 주입시 Rate값 300으로 설정)
⑥Limit값을 설정합니다. (미설정시 Bottle이나 Pack의 용량이 다 들어감)
⑦Start버튼을 눌러 작동시킵니다.
*간호 : 정해진 시간내에 투여해야 할 용액의 양을 정확하게 계산합니다.
·주입속도를 조절하며, 처방된 주입 속도대로 잘 주입되고 있는지 1~2시간마다 점검해야 합니다.
·기구나 장비 등의 작동 상황이 정상적인지 확인합니다.
·주사부위의 발적, 부종, 침윤, 염증등을 관찰합니다.
뇌압 상승
환아 간호
*원인 : 두 개강내의 혈액량 증가, 뇌척수 양의 증가, 공간점유성 병소 (종양, 농양, 혈종 등)
*간호 : ①고탄산증과 저산소증을 예방하고, 과도호흡유도, 수분제한으로 약간의 탈수상태 유지해야합니다.
②약물요법 : mannitol, glycerol 정맥주입, 이뇨제 (full drop), 항경련제, 진통제등을 투여합니다.
③csf가 상승하므로 15~20도 머리를 상승시킵니다.
④신진대사를 감소시키기 위해 저온요법을 사용합니다.
⑤뇌조직으로부터 수분을 제가하기 위해 삼투성 이뇨제를 투여합니다.
퇴 원 시
간 호
투약법
*무슨 약인지 설명하고 먹는 시간, 용량 등을 설명합니다.
영양 공급법
*영아기
①열량 : 체중 당 열량필요량이 가장 많음
②단백질 : 두뇌발달과 신진대사가 왕성함에 따라 동물성 식품의 섭취 중요
③철 : 체내 보유량이 많으나 5-6개월 이후 외부 공급 필요
④아스코르브산 : 인공영양시 특히 부족하기 쉬우므로 이유식을 통해 공급
*유아기
①열량 : 활동량에 맞게 조절
②단백질 : 필요량의 2/3 이상을 동물성 식품으로 섭취
③칼슘, 철, 비타민 A, D, B 군, 아스코르브산, 수분 충분히 공급
④부족시 간식으로 보충
*아동기
①열량보충이 필요하므로 간식 이용
②동물성 단백질, 칼슘, 철, 비타민류의 충분한 섭취와 여아의 경우 철 섭취에 유의
③설사하는 환아는 유제품, 탄산음료, 과일 등은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한합니다.
예방 접종
보호자에게 아기가 개월 수에 맞춰 접종을 다 했는지 물어봅니다.
가정 간호
*퇴원 후 2~3일 동안 통목욕, 샤워는 피하고 필요시 가볍게 물수건으로 닦아주거나 머리만 감깁니다.
*퇴원 후 2~3일 동안은 무리한 활동을 피해야합니다.
부모 교육
*기침, 가래가 있을 경우 손을 컵 모양으로 해서 등을 두들겨 줍니다.
*고열 등 이상증상이 있을 경우 예약과 관계없이 내원하여 진료를 받아야합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1.06.10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37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