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방법의 유형(강의법, 토론법, 협동학습, 인지적 도제학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수업방법의 유형

Ⅰ. 강의법

Ⅱ. 토론법

Ⅲ. 협동학습

Ⅳ. 인지적 도제 학습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복잡한 영역을 연구하고 정보를 수집하여 그 전문
성을 학습팀에 나누는 Jigsaw학습법 II가 있다. 이 외에도 인문사회계열의 문
제해결에 용이하며 정의적 학습에 호과적인 집단조사, 수학과목에의 적용을 위
한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혼합 모형인 팀보조 개별학습(TAI)등이 있다.
4)인지적 도제 학습
인지적 도제 학습은 기존 교수설계에서 경시되었던 현실과 유사한 상황에서
의 학습, 실제적 과제 수행 경험, 교사와 학생의 밀접한 상호작용, 토론을 통한
역동적 학습 등을 중시한다. 이는 교수설계 방법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차
세대 교수설계의 실체를 반영하고자하는 최근의 연구동향과도 그 맥을 같이
한다. 즉, 인지적 도제 학습은 학습자가 실제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문가
의 인지적 도구를 습득, 개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이 일어나는 것
을 의미한다. 인지적 도제 학습은 전문가가 이미 습득한 검증된 지식을 학습자
가 전문가와 일상적인 생활에서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습득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인 도제와의 차이점은 인지적 도제 학습은 도제의 내용이
물리적인 것이 아닌 학교교육을 통해 습득되는 인지적인 활동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변영계, 김영환, 손미, 2007). 인지적 도제 학습의 종류로는 학생
이 일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과정을 관찰하거나 개념적 모델을 세올 수 있도록
전문가가 수행하는 일을 포함하는 모델링, 과제에 대해 이전에 알지 못했던 측
면을 학생에게 직접 알려 주거나 알고 있었지만 일시적으로 빠뜨린 과제의 어
떤 측면을 학생들에게 회상시켜 주는 코칭, 아동이 처음 접해 보는 문제를 근처
의 어른이나 그 문제를 접해 본 사람이 그 문제를 풀 때 도와주는 비계설정, 학
생이 그들의 지식, 생각 또는 문제해결 과정을 정확히 표현하도록 하는 명확한
표현과 학생이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과 전문가, 다른 학생, 궁극적으로 전문가
의 내적 인지모델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반성적 사고 등이 있다.
* 참고문헌
- 김홍규, 원애경(2007). 상담심리학. 서울: 양서원
- 김범준, 구병두(2007). 교육학개론. 서울: 공동체
- 교육공학용어사전 편찬위원회(2005). 교육공학 용어사전
- 변영계 외(2007),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 박숙희, 엄명숙(2007).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 권성호(1998). 교육공학의 탐구. 서울: 양서원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6.22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8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