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조음음운평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검사의 목적
2. 검사의 대상
3. 검사의 구성
4. 우리말 조음ㆍ음운 평가의 이론적 배경
5. 검사 준비물 및 준비과정
6. 검사 실시
7. 자료분석 및 해석하기
8. 검사아동의 특성
9. 검사 결과
10. 검사 후기

본문내용

위치별로 어두초성은 ○, 어중초성은 ●, 종성은 □안에 숫자를 표시하였고, 모음은 위치에 관계없이 숫자만으로 표시하였다.
ㆍ그림문장검사 - 아동이 목표낱말을 포함하여 문장으로 말하면 낱말에서와 같이 발화음소를 문장 개별음소 분석표의 ‘발음전사’ 란에 전사한다.
b)오류분석 기록하기
그림낱말검사와 그림문장검사 각각의 개별음소분석표의 발음전사란을 완성한 후에는 각 음소별로 오른쪽의 오류분석란에 기록한다. 각 음소별 목표자음의 음운환경, 즉 어두초성, 어중초성, 종성 그리고 목표모음에 따라 오류를 표시하게 되어 있다. 목표음소를 대치한 경우에는 대치한 음소를 그대로 기록하고, 왜곡한 경우에는 오류분석란에 ‘D'라고 표기한다. 또한 목표음소를 생략한 경우에는 ’‘로 오류분석란에 기록한다.
(2) 음운변동기록표 기록하기
목표낱말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음운변동과 목표낱말의 구조상 나타날 수 없는 음운변동이 표시되어 있는 음운 변동기록표를 사용하여 음운변동을 기록한다. 음운변동기록표에는 생략 및 첨가 음운변동, 대치음운변동으로 나뉘어 있다. 각 낱말에서 나타날 수 없는 음운변동은 검은색으로 채워져 있으므로, ‘발음전사’란과 ‘오류분석’란을 참고하여 낱말마다 출현한 음운변동이 있으면 해당 빈칸에 X표시 한다.
7. 자료분석 및 해석하기
1) 개별음소의 발달 연령
기록한 낱말 개별음소분석표를 보고 <부록-1>의 음소발달 연령도 또는 음소발달 연령표의 각 음소의 습득, 숙달, 관습 그리고 출현발달 연령단계와 비교하여 아동의 조음이 정상 발달 연령보다 지체되는지 살펴본다.
2) 음소정확도
음소정확도는 바르게 조음된 음소의 수를 음소의 위치를 고려한 전체 음소의 수로 나누어 100을 곱한 것이다. 이중 자음정확도는 자음을 정확하게 발음한 백분율을 말하며, 모음정확도는 모음을 얼마나 정확하게 발음하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1) 자음정확도 구하기
자음정확도 = (43 - 오류음소 수)/43 x 100
(2) 모음정확도 구하기
모음정확도 = (10 - 오류음수 수)/10 x 100
(3) 결과 해석하기
ㆍ자음 조음검사 결과 - 낱말 수준에서의 자음정확도가 대상 아동의 생활연령 자음정확도에 비해 어떤 수준에 있는지 살펴본다(<부록-2>참조)
-1SD 이상 - 정상판정 또는 모니터링
-1SD ~ 2SD - 조음치료 고려
-2SD 이하 - 조음치료 요망
ㆍ모음 조음검사 결과 - 모음정확도 자료는 정상발달 규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모음은 6~12개월에 다양해진 모음이 산출되기 시작하고 3세까지 단모음의 대부분을 산출할 수 있다. 모음정확도가 심하게 떨어진다면 아동의 현재 수준과 치료 예후 및 일정 기간 이상 경과한 후에 추후검사에서 참고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3) 음운변동기록표
특정 음운 변동이 몇 번이나 나타났는가, 어떤 음운 변동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가를 검사한다. 음운변동 분석은 오류 음운 과정 발생 빈도, 즉 아동이 산출하는 발음에서 산출되지 말아야 하는 음운규칙이 얼마나 나타나는가에 대해 분석하는 것으로 음소정확도로는 찾아내기 어려운 아동의 잘못된 조음의 패턴을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 생략 및 첨가 음운 변동
① 음절 구조에 따라: 음절 생략(예, /장난깜/ - /난깜/), 초성 생략(예, /사탕/ - /아탕/), 종성 생략, 첨가(예, /오뚜기/ - /코뚜기/)
② 조음 방법에 따라: 마찰/파찰음 생략, 파열음 생략, 비음 생략, 유음 생략
③ 조음 위치에 따라: 양순음 생략, 치조음 생략, 경구개/연구개음 생략, 성문음 생략
(2) 대치음운 변동
① 조음 위치에 따라: 전설음화(전방화), 후설음화(후방화), 양순음화, 치조음화, 경구개음화, 연구개음화, 성문음화
② 조음 방법에 따라 : 파열음화, 마찰음화, 파찰음화, 유음화, 비음화
③ 동화에 의한 변동 : 한 음소가 주변 음소의 특성을 따라 변하는 것
- 조음 위치에 따른 동화, 조음 방법에 따른 동화
④ 긴장도 및 기식도에 따른 변동
- 긴장음화(예, /김밥/ - /김빠/), 이완음화(예, /땅콩/ - /당콩/)
- 기식음화(예, /나무/ - /파무/), 탈기식음화(예, /책상/ - /잭상/)
8. 검사아동의 특성
이름
생년월일
장애
특성

(14세 3개월)
정신지체 3급
말을 할 때 호흡이 불안정하고 역호흡을 하면서 조음하기도 함
9. 검사 결과
(1) 개별음소의 발달연령
아동은 낱말 수준에서 /ㅈ/. /ㅉ/을 /ㅅ/, /ㅆ/으로 오조음하였다. 이것은 3세에서 3세 11개월 사이에 일반 아동이 75%~94%가 숙달되는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 단계의 언어발달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연령
음소발달 단계
완전습득 단계
(95-100%)
숙달 단계
(75-94%)
관습적 단계
(50-74%)
출현 단계
(25-49%)
2;0 - 2;11
ㅍ ㅁ ㅇ
ㅂ ㅃ ㄴ ㄷ ㄸ ㅌ ㄱ ㄲ ㅋ ㅎ
ㅈ ㅉ ㅊ ㄹ
ㅅ ㅆ
3;0 - 3;11
+ ㅂ ㅃ ㄸ ㅌ
+ ㅈ ㅉ ㅊ ㅆ
+ ㅅ
4;0 - 4;11
+ ㄴ ㄲ ㄷ
+ ㅅ
5;0 - 5;11
+ ㄱ ㅋ ㅈ ㅉ
+ ㄹ
6;0 - 6;11
+ ㅅ
(2) 음소정확도(자음, 모음)
자음정확도의 경우 낱말수준에서 51.1%, 문장수준에서67.4%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6세 여아동의 평균자음정확도가 97.5%임으로 아동의 자음정확도는 14세의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현저히 낮은 수준을 보인다.
(3) 음운변동분석
종성생략(84.2%), 비음생략(50%), 유음생략(100%), 치조음생략(41.7%), 경구개음의 전설음화(71.4%), 탈기식음화(45.5%)의 출현율을 보였는데, 이는 정상아동의 발달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을 보이는 것이다.
10. 검사 후기
▶검사시간이 짧고 검사방법이 비교적 쉬웠으나 단 30개의 목표단어로써 과연 정밀한 아동의 오조음판별이 가능할 것인지에 대해서 약간의 의구심이 들기도 하였다.
▶검사 결과 아동은 생략에 있어서 종성, 비음, 유음 생략 출현율이 높았고, 조음 위치변동에 있어서는 경구개음의 전설음화, 치조음화가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조음 방법변동에 있어서는 마찰음화, 동화에 있어서는 치조음동화가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6.27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