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언
Ⅱ. 조직인의 주체성
1. Simmel의 전인론
2. 조직인의 동시소속론
Ⅲ. 조직인의 충성심
1. Simon의 일체화론
2. 가중적 동시소속
3. 모라토리움 심리의 조직인
Ⅳ. 조직인의 주체성과 충성심의 관계
Ⅴ. 결 언
Ⅱ. 조직인의 주체성
1. Simmel의 전인론
2. 조직인의 동시소속론
Ⅲ. 조직인의 충성심
1. Simon의 일체화론
2. 가중적 동시소속
3. 모라토리움 심리의 조직인
Ⅳ. 조직인의 주체성과 충성심의 관계
Ⅴ. 결 언
본문내용
tan type를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산업적ㆍ문화적 두 가치의 믹스를 채택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한쪽만 신봉하며 그리고 그것에 구속당하는 입장을 취하지는 않기 때문에, 양극의 중간인 스스로에게 적합한 위치를 각각 선택하여 자기 생활방침으로 삼는다. 즉 가치의 다원화 현상이다.
한편, 주체성과 충성심은 결코 현실사회로부터 초연한 생활방식일 수는 없다. Simmel의 경우도 주체성이라는 것은 개인과 사회의 매개자를 가리킨다. 이리하여 모두 사회관계적인 개념으로서의 주체성과 충성심은 각각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상호간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의식면에서는 그 테두리밖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하여야 한다. 우리들은 충성심으로부터 눈을 떼어서는 안 된다. 또한 충성심은 조직체의 구성원으로서의 의식이기 때문에 그와 같은 존재로서의 자신, 즉 자기 정체이식의 개념과 겹쳐 버리는 것이다.
주체성과 충성심의 관계는 이것은 정말로 자기 정체의식과 자아 정체의식의 관계로 나타난다. 그리고 자아(ego)는 복수의 자기(self)의 통합의 주체이다.
Ⅴ. 결 언
조직인은 주체성과 충성심의 관계는 이것은 정말로 자기 정체의식과 자아 정체의식(ego identity)의 관계로 나타난다. 그리고 자아(ego)는 복수의 자기(self)의 통합의 주체이다(Mead의 I와 me의 구별 및 관계 George H. Mead, Self, Mind & Society: from the standpoint of a Social Behaviorist, Chap. 22. 참조
). 복수집단에의 가중적 동시소속론을 알아 보았다.
Simmel도 미래의 새로운 사회형식으로 개인과 사회의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말하자면, 조화모델(harmony model)을 엿볼 수 있다. 그런데 Barnard는 기술한 바와 같이 협동의 철학이라는 신념을 표명함으로써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그의 관리자의 역할의 의도는 개인주의와 사회결정론의 어느 쪽에도 치우치는 일 없이 현실조직체 장에서의 조정을 관리자의 역할로 여기는 것이었다 Barnard, op. cit. p.21
. 이와 같다면 Simmel에게는 협동의 철학이라기 보다는 생의 철학이 존재하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김중규, 선 행정학, 에드민
민진, 조직관리론, 대영문화사
양서원, 사회복지행정론, 한국복지행정학회
오열근, 조직과 인간, 대경
한편, 주체성과 충성심은 결코 현실사회로부터 초연한 생활방식일 수는 없다. Simmel의 경우도 주체성이라는 것은 개인과 사회의 매개자를 가리킨다. 이리하여 모두 사회관계적인 개념으로서의 주체성과 충성심은 각각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상호간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의식면에서는 그 테두리밖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하여야 한다. 우리들은 충성심으로부터 눈을 떼어서는 안 된다. 또한 충성심은 조직체의 구성원으로서의 의식이기 때문에 그와 같은 존재로서의 자신, 즉 자기 정체이식의 개념과 겹쳐 버리는 것이다.
주체성과 충성심의 관계는 이것은 정말로 자기 정체의식과 자아 정체의식의 관계로 나타난다. 그리고 자아(ego)는 복수의 자기(self)의 통합의 주체이다.
Ⅴ. 결 언
조직인은 주체성과 충성심의 관계는 이것은 정말로 자기 정체의식과 자아 정체의식(ego identity)의 관계로 나타난다. 그리고 자아(ego)는 복수의 자기(self)의 통합의 주체이다(Mead의 I와 me의 구별 및 관계 George H. Mead, Self, Mind & Society: from the standpoint of a Social Behaviorist, Chap. 22. 참조
). 복수집단에의 가중적 동시소속론을 알아 보았다.
Simmel도 미래의 새로운 사회형식으로 개인과 사회의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말하자면, 조화모델(harmony model)을 엿볼 수 있다. 그런데 Barnard는 기술한 바와 같이 협동의 철학이라는 신념을 표명함으로써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그의 관리자의 역할의 의도는 개인주의와 사회결정론의 어느 쪽에도 치우치는 일 없이 현실조직체 장에서의 조정을 관리자의 역할로 여기는 것이었다 Barnard, op. cit. p.21
. 이와 같다면 Simmel에게는 협동의 철학이라기 보다는 생의 철학이 존재하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김중규, 선 행정학, 에드민
민진, 조직관리론, 대영문화사
양서원, 사회복지행정론, 한국복지행정학회
오열근, 조직과 인간, 대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