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음식과 문화의 관계
Ⅰ. 문화란 무엇인가?
Ⅱ. 식문화란 무엇인가?
1. 금기음식
2. 먹는 도구
3. 소리내어 먹기
4. 잔 또는 그릇을 비우는 것
* 참고문헌
Ⅰ. 문화란 무엇인가?
Ⅱ. 식문화란 무엇인가?
1. 금기음식
2. 먹는 도구
3. 소리내어 먹기
4. 잔 또는 그릇을 비우는 것
*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가늘고 평평한 편이며 길이는 일본의 젓가락과 비슷하다.
일본인들이 국을 마실 때 두 손으로 그릇을 들고 입에 대고 마시는 반면에,
한국인들과 중국인들은 숟가락을 사용한다. 한국인들은 밥을 먹을 때도 숟가락
을 사용한다. 그러나 중국인들과 일본인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타이, 인도네시아, 그리고 필리핀 대부분의 지역 사람들은 중국인 후손이 아
니면 일반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들의 레이블에는 포크와 스푼이
을라온다. 캄보디아, 라오스, 그리고 메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포크를 사용하지
않고 숟가락에만 의존한다. 그러나 라오스와 메오 사람들도 차진 밥을 먹을 때
는 손가락을 사용한다.
아시아인들이 식탁에서 나이프를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들은 나이프가 처음에 무기로 간주되던 때를 기억하여 다른 사람들과
함께 밥을 먹을 때 무기를 보이지 않게 치워놓는 것을 신뢰감의 표시라고 생각
한다.
(3) 소리내어 먹기
일본에서는 음식을 먹을 때 입맛 다시는 소리를 내는 것이 식사예절에 어긋
나지 않는다. 그것은 동조의 표시이며 요리가 맛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중
국인들의 식사전통은 먹을 때 소리를 내지 않는 것이어서 그들과 식사할 때 소
리내는 것은 식사예절을 모르는 사람이나 하는 행동이다.
대부분의 아시아 지역에서는 소리내서 먹는 것이 받아들여지고 때로는 권장
되기도 한다. 홍콩을 비롯한 나라에서는 입맛 다시는 소리를 내는 것이 요리가
맛있다는 뜻이고, 필리핀이나 사우디아라비아 같은 나라에서 트림을 하는 것은
또 다른 찬사의 표시가 되기도 한다.
물론 예외도 있는데, 타이 출신의 사람들은 먹을 때 소리를 내는 것이 무례한
것이라고 생각하여 소리내어서 먹지 않는다.
(4) 잔 또는 그릇을 비우는 것
그릇을 깨끗이 비우는 것은 문화에 따라 서로 조금씩 다른 의미가 있다. 요르
단 사람들은 예의의 표시로 음식을 조금 남기며, 필리핀 사람들도 주인에게 접
대를 잘 받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음식을 조금 남긴다. 이집트인들도 주인
에 대한 찬사와 풍성하게 대접받았다는 것의 상징으로 음식을 조금 남긴다. 타
이 사람들이 음식을 남기는 것은 식사를 다했거나 음식이 맛있었다는 것을 뜻하
는 반면, 인도네시아에서 음식을 남기는 것은 식사가 별로였음을 뜻한다.
이와는 조금 다른 의미로 캄보디아민들은 그릇이나 컵을 완전히 비우고 요리
를 깨끗이 먹어치우는 것은 좀더 원하는 것을 뜻한다. 만약 그만 먹고 싶다는 의
사표시를 하고 싶으면 조금 남겨야 한다.
한국인들은 잔에 술이 조금이라도 남아있으면 그것을 다 마시게 하고 잔을 다
시 채워준다.
* 참고문헌
- 김윤태, 지구촌음식문화, 대왕사, 2006
- 박춘란, 식생활문화, 효일문화사, 2002
- 김혜영 외, 문화와 식생활, 효일문화사, 1998
- 김기숙 외, 식품과 음식문화, 교문사, 1999
- 손경희 외, 한국음식의 조리과학, 교문사, 2001
- 성태종 외, 음식문화비교론, 대왕사, 2006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연구회, 세계의 음식문화, 광문각, 1999
일본인들이 국을 마실 때 두 손으로 그릇을 들고 입에 대고 마시는 반면에,
한국인들과 중국인들은 숟가락을 사용한다. 한국인들은 밥을 먹을 때도 숟가락
을 사용한다. 그러나 중국인들과 일본인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타이, 인도네시아, 그리고 필리핀 대부분의 지역 사람들은 중국인 후손이 아
니면 일반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들의 레이블에는 포크와 스푼이
을라온다. 캄보디아, 라오스, 그리고 메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포크를 사용하지
않고 숟가락에만 의존한다. 그러나 라오스와 메오 사람들도 차진 밥을 먹을 때
는 손가락을 사용한다.
아시아인들이 식탁에서 나이프를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들은 나이프가 처음에 무기로 간주되던 때를 기억하여 다른 사람들과
함께 밥을 먹을 때 무기를 보이지 않게 치워놓는 것을 신뢰감의 표시라고 생각
한다.
(3) 소리내어 먹기
일본에서는 음식을 먹을 때 입맛 다시는 소리를 내는 것이 식사예절에 어긋
나지 않는다. 그것은 동조의 표시이며 요리가 맛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중
국인들의 식사전통은 먹을 때 소리를 내지 않는 것이어서 그들과 식사할 때 소
리내는 것은 식사예절을 모르는 사람이나 하는 행동이다.
대부분의 아시아 지역에서는 소리내서 먹는 것이 받아들여지고 때로는 권장
되기도 한다. 홍콩을 비롯한 나라에서는 입맛 다시는 소리를 내는 것이 요리가
맛있다는 뜻이고, 필리핀이나 사우디아라비아 같은 나라에서 트림을 하는 것은
또 다른 찬사의 표시가 되기도 한다.
물론 예외도 있는데, 타이 출신의 사람들은 먹을 때 소리를 내는 것이 무례한
것이라고 생각하여 소리내어서 먹지 않는다.
(4) 잔 또는 그릇을 비우는 것
그릇을 깨끗이 비우는 것은 문화에 따라 서로 조금씩 다른 의미가 있다. 요르
단 사람들은 예의의 표시로 음식을 조금 남기며, 필리핀 사람들도 주인에게 접
대를 잘 받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음식을 조금 남긴다. 이집트인들도 주인
에 대한 찬사와 풍성하게 대접받았다는 것의 상징으로 음식을 조금 남긴다. 타
이 사람들이 음식을 남기는 것은 식사를 다했거나 음식이 맛있었다는 것을 뜻하
는 반면, 인도네시아에서 음식을 남기는 것은 식사가 별로였음을 뜻한다.
이와는 조금 다른 의미로 캄보디아민들은 그릇이나 컵을 완전히 비우고 요리
를 깨끗이 먹어치우는 것은 좀더 원하는 것을 뜻한다. 만약 그만 먹고 싶다는 의
사표시를 하고 싶으면 조금 남겨야 한다.
한국인들은 잔에 술이 조금이라도 남아있으면 그것을 다 마시게 하고 잔을 다
시 채워준다.
* 참고문헌
- 김윤태, 지구촌음식문화, 대왕사, 2006
- 박춘란, 식생활문화, 효일문화사, 2002
- 김혜영 외, 문화와 식생활, 효일문화사, 1998
- 김기숙 외, 식품과 음식문화, 교문사, 1999
- 손경희 외, 한국음식의 조리과학, 교문사, 2001
- 성태종 외, 음식문화비교론, 대왕사, 2006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연구회, 세계의 음식문화, 광문각, 1999
추천자료
최근 콜금리 인상배경과 문제점 ★A+자료★
근로소득 보전세제(EITC)의 도입배경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배경발전과 문제점과 현황
[외고폐지논란]외고폐지론의 등장 배경과 문제점 및 주요 쟁점 고찰, 외교 폐지 논란에 대한 ...
맞벌이 가정의 출현배경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국민연금 도입배경 문제점 및 개선과제
지역자활센터 방문보고서,자활지원사업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자활사업의 개념 및 등장배경,지...
모부자복지법의 의의, 입법배경 및 연혁, 내용, 대상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김일성 개인숭배의 배경과 문제점.
가족 자원봉사활동의 개념과 실시배경과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지역사회복지의 등장배경 중 한 가지를 택하여 개념을 정리하고 거기에 따른 현재 지역사회의...
현대사회의 가족기능의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 사회적 배경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기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