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평가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평가
본문내용
양(+)의 값을 가지나 t 값이 충분하게 크지 않아 외적보상에 대한 기대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통제변수 중에는 근무기간과 나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공정성에 대한 인지, 성별, 현직급 그리고 교육 수준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성과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나이가 어릴수록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4> 회귀분석결과
종속변수(성과)
비표준화된 회귀계수
표준회귀계수
t
B
Std. Error
Beta
(상수)
.962
.399
2.411
PSM
.343
.086
.234
3.982
내적보상에 대한 기대
.358
.064
.342
5.600
외적보상에 대한 기대
.007
.061
.007
0.121
공정성의 인지
.054
.048
.063
1.124
성별
.036
.060
.036
0.593
나이
-.017
.008
-.260
-2.269
현 직급
.171
.112
.100
1.527
입직시 직급
-.010
.033
-.029
-0.307
교육수준
.015
.045
.020
0.326
근무기간
.127
.041
.328
3.072
=.265, Adjusted =.237, F=9.241***, *p<0.05, **p<0.01, ***p<0.001
내적보상에 대한 기대, 외적보상에 대한 기대 그리고 PSM이 성과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회귀계수를 표준값으로 변환한 결과가 <표 4>의 표준회귀계수(BETA)이다. 외적보상에 대한 기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이 아니기 때문에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보상에 대한 기대와 외적 보상에 대한 기대만을 비교해 보면, 내적보상에 대한 기대의 표준화된 회귀계수는 0.342이며, PSM의 표준화된 회귀계수는 0.234로 나타나 내적보상에 대한 기대가 PSM이 성과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결론 및 평가
외적보상에 대한 기대, 내적보상에 대한 기대 그리고 PSM(Public Service Motivation)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동기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한 연구였다. 사례수와 평균값의 분석은 있었으나 사후검증이 나타나있지 않았다. 다중회귀분석에 있어서도 회귀방정식이 제시되지 않은 점이 아쉬웠다.
<표4> 회귀분석결과
종속변수(성과)
비표준화된 회귀계수
표준회귀계수
t
B
Std. Error
Beta
(상수)
.962
.399
2.411
PSM
.343
.086
.234
3.982
내적보상에 대한 기대
.358
.064
.342
5.600
외적보상에 대한 기대
.007
.061
.007
0.121
공정성의 인지
.054
.048
.063
1.124
성별
.036
.060
.036
0.593
나이
-.017
.008
-.260
-2.269
현 직급
.171
.112
.100
1.527
입직시 직급
-.010
.033
-.029
-0.307
교육수준
.015
.045
.020
0.326
근무기간
.127
.041
.328
3.072
=.265, Adjusted =.237, F=9.241***, *p<0.05, **p<0.01, ***p<0.001
내적보상에 대한 기대, 외적보상에 대한 기대 그리고 PSM이 성과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회귀계수를 표준값으로 변환한 결과가 <표 4>의 표준회귀계수(BETA)이다. 외적보상에 대한 기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이 아니기 때문에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보상에 대한 기대와 외적 보상에 대한 기대만을 비교해 보면, 내적보상에 대한 기대의 표준화된 회귀계수는 0.342이며, PSM의 표준화된 회귀계수는 0.234로 나타나 내적보상에 대한 기대가 PSM이 성과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결론 및 평가
외적보상에 대한 기대, 내적보상에 대한 기대 그리고 PSM(Public Service Motivation)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동기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한 연구였다. 사례수와 평균값의 분석은 있었으나 사후검증이 나타나있지 않았다. 다중회귀분석에 있어서도 회귀방정식이 제시되지 않은 점이 아쉬웠다.
추천자료
직무동기 영향요인
사회계층이 교육현장(수업)에 미치는 영향
‘사회화’로서의 학교교육이 학생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
인정의 다양한 모습
[경제]인센티브 시스템의 효과적 활용법
[중소기업경영]중소기업에 있어서 고객만족과 고객관계관리에 대하여
아동의 문제행동변화를 위한 행동수정기법과 인지행동치료
이마트 경영전략
[군가산점제] 군가산점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견
교원연봉제
[인센티브제도]인센티브제도의 정의, 인센티브제도의 종류, 인센티브제도의 현황, 인센티브제...
성차별의 다양한 모습(교육, 가정, 대중매체)과 실태 및 성차별 극복방안
SK 인사관리 제도
지금까지 내가 별 생각 없이 사용하여 왔던 속담이나 표현 중에서 사회가 여성에 대해 가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