냄비근성. 얼마나 알고 계세요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냄비근성의 정의
냄비근성의 예
① 월드컵 열기 이후
② 쇼트트랙 오노 선수의 반칙과 미군 장갑차 여중생 압사사건(반미감정)
③ 한미 FTA 쇠고기 협상 파문
④ 황우석 박사의 논문 조작 파문
⑤ 2PM 박재범 한국 비하 논란
냄비근성이 언론에 영향을 미친 점
냄비근성이 아닌 ‘냄비문화’?
결론

본문내용

효순이, 미선이 사건
월드컵 열기가 가라앉자마자, 미군이 장갑차로 여중생을 압사시킨 사건이 터졌다.
당연히 사과를 해야 할 미국 측이 이런저런 구실로 제대로 된 사과와 보상을 하지
않자, 국내 여론에서는 미군 규탄과
여중생들의 넋을 기리는 위문 행렬,
시민단체의 항의 시위가 벌어졌다.

그 뒤, 미국 측 사과를 받아내고 사건은 잘 해결되었다. 그러나
2003년 4월 평양 모란봉 제1중학교는 신효순, 심미선을 명예학생으로 등록하였다.
2003년 6월 13일 국민성금으로 촛불시위 현장에 별세자들을 위한 기념비가 세워졌으나

2004년 1월 2일 종로구청은 보행 불편 등을 구실로 기념비를 철거하였다.
이 기념비는 2007년 5월에 서울 청운동 인근 야산에 버려진 채로 발견되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1.07.30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6916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