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살의 정의
2. 자살의 원인
3. 자살의 원인의 대책방안
4. 자살의 현황 및 통계
5. 자살의 징후
6. 자살의 징후에 대한 상담적 대책
7. 자살의 문제점
8. 자살의 문제점에 대책방안
9. 자살의 성서적 관점
2. 자살의 원인
3. 자살의 원인의 대책방안
4. 자살의 현황 및 통계
5. 자살의 징후
6. 자살의 징후에 대한 상담적 대책
7. 자살의 문제점
8. 자살의 문제점에 대책방안
9. 자살의 성서적 관점
본문내용
람은 타인에게 자신의 의도를 어떤방식으로 든 표현하는 경향이있다. 이때 주위 사람들은 당사자가 자신의 생 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지지적인 자세로 경청하고, 당사자에게 자 살에 대한 직접적이고 분명한 질문을 할 필요가 있다. 자살 징후 를 보이는 사람들의 가족, 친구 등 주변 사람들이 관심을 가져야 한다.
*논쟁피하기 : 자살충동을 느끼는 사람에게 이기적이며 무책임하다고 꾸짖거나 잘못된 신념을 갖고 있다고 비난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않는다. 우선은 당사자가 문제를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며, 자살신념이 아무리 부정적인 것이라 하더라도, 일단 당사자에게 신념으로 받아들여진 사고체계를 논박하는 것은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극단적인 상황 피하기 : 누군가 옆에 있어야 하고 혼자 있게 해서는 안된다. 충동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장소(높은 곳, 다리 차도 등)를 피하고 자해에 사용될 수 있는 물건은 치워야 한다.
자살 충동은 지속적인 경우보다 순간적인 경우가 많아 그때만 잘 넘기면 피할 수 있다
*전문 적인 치료에 연결하기 : 위급한 경우 의료기관에 입원하여 보호를 받아야 하고, 충동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가 필요하며, 상황에 맞게 인지행동치료나 상담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자살충동을 부추기는 인지적, 정서적 요인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이다.
7. 자살의 성서적 관점
초대교회 당시 불가피한 상황에서 자살은 정당하다고 생각하고있는데. 한 예를 들어 여성의 순결이 폭력에 의해 위협받거나 핍박 속에서 순교할 경우엔 허락될 수 있다고 했다. 초대교회는 순교를 칭송하는 분위기였다. 그 분위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바로 오리겐이다. 오리겐은 초대교회 교부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신학자로 하나님 나라를 위해 스스로 고자가 된 자도 있다는 말씀에 순종할 정도로 대단히 열정적이고 엄격한 사람이었다. 어릴 적부터 순교를 열망했던 그는 그의 아버지가 순교하게 되자 자신도 뒤따라 순교하려했다. 그러나 어머니가 순교만이 그리스도의 길이 아니라고 만류하자, 결국 순교의 기회를 놓치게 됐다. 안디옥의 이그나티우스 역시 오직 순교를 통해서만 실현될 수 있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적극적으로 추구했다.
하지만 성 어거스틴이 순교를 포함한 일체의 자살을 죄라고 규정한 이후 교회는 자살을 부정적으로 여기게 됐다. 자살은 자기 자신에 대한 살인이고, 자기 생명의 주인이신 하나님의 주되심과 권한을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하자 점차 순교가 사라지게 됐다.
*논쟁피하기 : 자살충동을 느끼는 사람에게 이기적이며 무책임하다고 꾸짖거나 잘못된 신념을 갖고 있다고 비난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않는다. 우선은 당사자가 문제를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며, 자살신념이 아무리 부정적인 것이라 하더라도, 일단 당사자에게 신념으로 받아들여진 사고체계를 논박하는 것은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극단적인 상황 피하기 : 누군가 옆에 있어야 하고 혼자 있게 해서는 안된다. 충동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장소(높은 곳, 다리 차도 등)를 피하고 자해에 사용될 수 있는 물건은 치워야 한다.
자살 충동은 지속적인 경우보다 순간적인 경우가 많아 그때만 잘 넘기면 피할 수 있다
*전문 적인 치료에 연결하기 : 위급한 경우 의료기관에 입원하여 보호를 받아야 하고, 충동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가 필요하며, 상황에 맞게 인지행동치료나 상담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자살충동을 부추기는 인지적, 정서적 요인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이다.
7. 자살의 성서적 관점
초대교회 당시 불가피한 상황에서 자살은 정당하다고 생각하고있는데. 한 예를 들어 여성의 순결이 폭력에 의해 위협받거나 핍박 속에서 순교할 경우엔 허락될 수 있다고 했다. 초대교회는 순교를 칭송하는 분위기였다. 그 분위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바로 오리겐이다. 오리겐은 초대교회 교부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신학자로 하나님 나라를 위해 스스로 고자가 된 자도 있다는 말씀에 순종할 정도로 대단히 열정적이고 엄격한 사람이었다. 어릴 적부터 순교를 열망했던 그는 그의 아버지가 순교하게 되자 자신도 뒤따라 순교하려했다. 그러나 어머니가 순교만이 그리스도의 길이 아니라고 만류하자, 결국 순교의 기회를 놓치게 됐다. 안디옥의 이그나티우스 역시 오직 순교를 통해서만 실현될 수 있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적극적으로 추구했다.
하지만 성 어거스틴이 순교를 포함한 일체의 자살을 죄라고 규정한 이후 교회는 자살을 부정적으로 여기게 됐다. 자살은 자기 자신에 대한 살인이고, 자기 생명의 주인이신 하나님의 주되심과 권한을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하자 점차 순교가 사라지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