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E, Durkheim 의 누구인가?
Ⅱ. E, Durkheim 의 갈등 인식과 사회주의
Ⅲ. E, Durkheim과 사회통제이론
Ⅳ. E, Durkheim 의 범죄이론
1. 분업과 사회적 유대, 법
2. 범죄와 처벌
3. 자살률 분석
Ⅴ. E, Durkheim 의 자살이론
1. 자살의 사회적 원인
2. 자살의 유형
1) 이기적인 자살
2) 이타적인 자살
3) 아노미성 자살
3. 자살유형의 개인적 형태
Ⅵ. E, Durkheim 의 전체사상체계
1. 개인과 사회
2. 지식과 사회학
3. 종교 사회학
4. 기능적 설명
Ⅶ. E, Durkheim과 머튼의 아노미 이론
Ⅷ. 참고 문헌
Ⅱ. E, Durkheim 의 갈등 인식과 사회주의
Ⅲ. E, Durkheim과 사회통제이론
Ⅳ. E, Durkheim 의 범죄이론
1. 분업과 사회적 유대, 법
2. 범죄와 처벌
3. 자살률 분석
Ⅴ. E, Durkheim 의 자살이론
1. 자살의 사회적 원인
2. 자살의 유형
1) 이기적인 자살
2) 이타적인 자살
3) 아노미성 자살
3. 자살유형의 개인적 형태
Ⅵ. E, Durkheim 의 전체사상체계
1. 개인과 사회
2. 지식과 사회학
3. 종교 사회학
4. 기능적 설명
Ⅶ. E, Durkheim과 머튼의 아노미 이론
Ⅷ. 참고 문헌
본문내용
가졌고 사회 내에서 다양한 기능들의 발견에 노력하였다. 그는 단순히 탐구하려는 현상의 역사적 기원을 찾아내는데 만족하지 않고 유효한 기원의 탐구로부터 그것들이 다양하게 얽혀 있는 사회구조에 끼친 그 현상의 결과까지도 탐구하려 하였다. E, Durkheim은 언제나 원자적으로 사고하지 않고 전후관계를 중심으로 사고하였다.
Ⅶ. E, Durkheim과 머튼의 아노미 이론
E, Durkheim은 아노미를 무규범상태, 즉 규제가 필요한 상황에서 욕망이 규제를 받지 못하는 상태로 규정하고 있다(Durkheim, 1897: 245). 이는 개인의 욕망에 대한 사회적 규제가 적절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머튼은 무규범 또는 사회적 규율의 부재라는 E, Durkheim의 아노미개념을 통하여 일탈행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머튼에 의하면 사회통합은 사회구조와 문화간의 균형 을 통하여 유지된다. 아노미현상은 문화적인 가치와 합법적인 사회적 수단간의 불일치로 사회적 불통합 상태를 의미한다. 머튼은 사회체계내에서 문화적으로 정의된 목표(cultural goal)과 그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수단(institutionalized means)간의 불일치를 아노미상태로 규정하고, 이러한 개념을 통하여 개인의 행동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미국사회는 경제적 성공에 대한 문화적 목표가 지배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는 물질적이고 경제적인 성공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는 합법적인 수단, 즉 교육, 직업 등을 통하여 이루어야 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화적 목표와 제도화된 수단간의 일치/불일치관계는 다음과 같은 행동양상을 야기 시킨다. 문화적 목표와 수단간의 관계가 일치할 때 개인들은 동조 (conformity)라는 행위양상을 보일 것이다. 그러나 목표와 수단이 불일치할 때, 사회·심리적 긴장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 긴장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개인들은 다양한 적응활동을 시도한다. 머튼은 혁신(innovation), 의례(ritualism), 도피(retreatism), 반항(rebellion)의 네 가지 유형의 적응활동유형을 제시하였다. 혁신은 문화적으로 규정된 목표는 수용하지만, 제도화 된 수단에 대해서는 거부하여 대안적인 수단인 비합법적인 수단을 사용하는 적응행위이다(Merton, 1938, 1949). 따라서 다양한 적응양상 중에서 혁신이 일탈이 나 범죄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머튼의 아노미이론을 E, Durkheim의 범죄이론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두 이론의 공통점은 개인의 행위를 사회구조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는 것 이다. 특히 아노미개념을 사용하였다는 점이다. 물론 E, Durkheim의 아노미개념을 욕망에 대한 통제의 부재나 이중의 규범의 양립 등으로 비교적 추상적이고 다의적으로 사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머튼은 비교적 구체적이고 경험적 인 수준에서 아노미개념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머튼은 아노미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마치 E, Durkheim의 사회이론을 그 대로 범죄행위에 적용한 것처럼 다루었다. 그러나 용어의 일치에도 불구하고, 다른 입장에서 범죄현상을 다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 두 이론간의 차이점 을 살펴본다. 첫째로, E, Durkheim은 인간을 끝없는 욕망의 존재자로 보았으나 머튼은 파슨스의 문화결정주의적인 인간관을 받아들이고 있다. 즉 인간을 사회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봄으로써 내적인 추진력을 배제하였다. 따라서 개인은 문화적 목표를 수용하며, 단지 수단 정도만을 선택할 수 있는 존재자로 파악한 것이다. 이러한 머튼의 견해에서 범죄의 원인은 사회구조와 그러한 구조에 대한 개인적 상황의 불일치로 인하여 나타난 긴장상황이다. 그러나 E, Durkheim의 경우는 인간의 내부에 존재하는 욕망을 범죄를 야기하는 힘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외적 통제의 문제가 제기된다. 둘째로, E, Durkheim의 아노미개념은 경제적 파산이나 이혼 등으로 인하여 기존의 규범에 의하여 새로운 생활을 규제하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는 기존 규범의 상실이나, 이중적 규범으로 인한 무규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머튼은 단지 문화적 목표와 제도화된 수단의 불일치를 아노미로 규정하였다. 이러 한 머튼의 아노미는 뒤르케임의 아노미와는 다른 차원을 다루고 있다. E, Durkheim은 구조적인 측면에서 아노미와 자살률간의 관계를 분석한데 반해, 머튼은 아노미 와 범죄행위간의 관계를 다루었다. 이는 머튼은 E, Durkheim의 아노미개념을 사회적 수준(anomie)에서 개인적 수준(anomia)으로 전환시켰다고 할 수 있다. 즉 사회 구조적인 것을 개인적인 인지적 측면인 심리적 긴장상황이나 스트레스로 바꾼 것이다. 따라서 분석단위가 사회나 집단에서 개인의 차원으로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머튼의 아노미이론과 E, Durkheim의 범죄이론은 겉으로 보는 것보다는 관계가 미약하다고 할 수 있다. 마치 E, Durkheim의 사회이론을 그대로 수용한 것처럼 아노미개념을 사용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다른 전제와 내용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E, Durkheim의 아노미 개념이 자살현상을 설명하는 한 부분 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한다면 머튼의 아노미개념이 너무 확대되어 해석 된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 즉 머튼의 아노미이론은 E, Durkheim의 전반적 입장을 받아 들였다기 보다는 E, Durkheim의 이론의 한 부분, 아노미개념을 수용하고 발전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다.
Ⅷ. 참고 문헌
* 김훈, 에밀 뒤르케임의 도덕적 현상의 사회학(석사논문), 연세대학교, 1982
* 김종엽, 연대와 열광 - 에밀 뒤르켐의 현대성 비판 연구, 창작과 비평사, 1998
* 민문홍, 사회비평 - 에밀 뒤르케임과 도덕적 사회주의, 사회비평 제3호, 1989
* 민문홍,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1장~3장, 아카넷, 2001
* 주악원, 사회학의 역사, 교육과학사, 1990
* Anthony Giddens, 에밀 뒤르케임의 연구 , 한길사, 1981
* Emile Durkheim, 자살론, 청아출판사, 1994
Ⅶ. E, Durkheim과 머튼의 아노미 이론
E, Durkheim은 아노미를 무규범상태, 즉 규제가 필요한 상황에서 욕망이 규제를 받지 못하는 상태로 규정하고 있다(Durkheim, 1897: 245). 이는 개인의 욕망에 대한 사회적 규제가 적절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머튼은 무규범 또는 사회적 규율의 부재라는 E, Durkheim의 아노미개념을 통하여 일탈행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머튼에 의하면 사회통합은 사회구조와 문화간의 균형 을 통하여 유지된다. 아노미현상은 문화적인 가치와 합법적인 사회적 수단간의 불일치로 사회적 불통합 상태를 의미한다. 머튼은 사회체계내에서 문화적으로 정의된 목표(cultural goal)과 그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수단(institutionalized means)간의 불일치를 아노미상태로 규정하고, 이러한 개념을 통하여 개인의 행동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미국사회는 경제적 성공에 대한 문화적 목표가 지배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는 물질적이고 경제적인 성공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는 합법적인 수단, 즉 교육, 직업 등을 통하여 이루어야 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화적 목표와 제도화된 수단간의 일치/불일치관계는 다음과 같은 행동양상을 야기 시킨다. 문화적 목표와 수단간의 관계가 일치할 때 개인들은 동조 (conformity)라는 행위양상을 보일 것이다. 그러나 목표와 수단이 불일치할 때, 사회·심리적 긴장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 긴장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개인들은 다양한 적응활동을 시도한다. 머튼은 혁신(innovation), 의례(ritualism), 도피(retreatism), 반항(rebellion)의 네 가지 유형의 적응활동유형을 제시하였다. 혁신은 문화적으로 규정된 목표는 수용하지만, 제도화 된 수단에 대해서는 거부하여 대안적인 수단인 비합법적인 수단을 사용하는 적응행위이다(Merton, 1938, 1949). 따라서 다양한 적응양상 중에서 혁신이 일탈이 나 범죄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머튼의 아노미이론을 E, Durkheim의 범죄이론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두 이론의 공통점은 개인의 행위를 사회구조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는 것 이다. 특히 아노미개념을 사용하였다는 점이다. 물론 E, Durkheim의 아노미개념을 욕망에 대한 통제의 부재나 이중의 규범의 양립 등으로 비교적 추상적이고 다의적으로 사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머튼은 비교적 구체적이고 경험적 인 수준에서 아노미개념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머튼은 아노미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마치 E, Durkheim의 사회이론을 그 대로 범죄행위에 적용한 것처럼 다루었다. 그러나 용어의 일치에도 불구하고, 다른 입장에서 범죄현상을 다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 두 이론간의 차이점 을 살펴본다. 첫째로, E, Durkheim은 인간을 끝없는 욕망의 존재자로 보았으나 머튼은 파슨스의 문화결정주의적인 인간관을 받아들이고 있다. 즉 인간을 사회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봄으로써 내적인 추진력을 배제하였다. 따라서 개인은 문화적 목표를 수용하며, 단지 수단 정도만을 선택할 수 있는 존재자로 파악한 것이다. 이러한 머튼의 견해에서 범죄의 원인은 사회구조와 그러한 구조에 대한 개인적 상황의 불일치로 인하여 나타난 긴장상황이다. 그러나 E, Durkheim의 경우는 인간의 내부에 존재하는 욕망을 범죄를 야기하는 힘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외적 통제의 문제가 제기된다. 둘째로, E, Durkheim의 아노미개념은 경제적 파산이나 이혼 등으로 인하여 기존의 규범에 의하여 새로운 생활을 규제하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는 기존 규범의 상실이나, 이중적 규범으로 인한 무규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머튼은 단지 문화적 목표와 제도화된 수단의 불일치를 아노미로 규정하였다. 이러 한 머튼의 아노미는 뒤르케임의 아노미와는 다른 차원을 다루고 있다. E, Durkheim은 구조적인 측면에서 아노미와 자살률간의 관계를 분석한데 반해, 머튼은 아노미 와 범죄행위간의 관계를 다루었다. 이는 머튼은 E, Durkheim의 아노미개념을 사회적 수준(anomie)에서 개인적 수준(anomia)으로 전환시켰다고 할 수 있다. 즉 사회 구조적인 것을 개인적인 인지적 측면인 심리적 긴장상황이나 스트레스로 바꾼 것이다. 따라서 분석단위가 사회나 집단에서 개인의 차원으로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머튼의 아노미이론과 E, Durkheim의 범죄이론은 겉으로 보는 것보다는 관계가 미약하다고 할 수 있다. 마치 E, Durkheim의 사회이론을 그대로 수용한 것처럼 아노미개념을 사용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다른 전제와 내용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E, Durkheim의 아노미 개념이 자살현상을 설명하는 한 부분 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한다면 머튼의 아노미개념이 너무 확대되어 해석 된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 즉 머튼의 아노미이론은 E, Durkheim의 전반적 입장을 받아 들였다기 보다는 E, Durkheim의 이론의 한 부분, 아노미개념을 수용하고 발전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다.
Ⅷ. 참고 문헌
* 김훈, 에밀 뒤르케임의 도덕적 현상의 사회학(석사논문), 연세대학교, 1982
* 김종엽, 연대와 열광 - 에밀 뒤르켐의 현대성 비판 연구, 창작과 비평사, 1998
* 민문홍, 사회비평 - 에밀 뒤르케임과 도덕적 사회주의, 사회비평 제3호, 1989
* 민문홍,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1장~3장, 아카넷, 2001
* 주악원, 사회학의 역사, 교육과학사, 1990
* Anthony Giddens, 에밀 뒤르케임의 연구 , 한길사, 1981
* Emile Durkheim, 자살론, 청아출판사, 1994
추천자료
한국교회의 사회학적 연구
범죄의 사회학적 원인론
현대 사회학의 흐름들
교육의 사회학적 기초
[스포츠사회학]스포츠와 여성-스포츠에서의 성차별
일상생활의 사회학
스포츠 사회학 정리 노트
[교육사회학]공교육의 발달과정과 특성, 문제 대안, 개선방안에 관한 분석 조사
(사회학개론) 계층과 계급 사회이동 계급의 중요성 보고서
(사회학개론) 정치(민주주의), 정부(정당과선거), 테러리즘(신형테러리즘) 보고서
(교육사회학) 청소년교육, 문화교육, 평생교육
스포츠 사회학
에릭슨의 심리사회학적 성격이론의 단계별 발달과업
[교육사회학 공통] 다음에 제시한 도서를 읽고 양식에 맞추어 보고서를 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