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교 재 관
1. 단원 개관
2. 단원 학습 목표
3. 대단원 구성 및 학습 계획
4. 교육 과정 및 학습 내용과의 관련성
Ⅱ. 학 생 관
1. 학생의 실태
2. 단원 지도를 위한 설문 조사 및 분석
Ⅲ. 지 도 관
1. 대단원 교수 ․ 학습 계획
2. 지도상의 유의점
3. 수업 전개도
생활국어 1-1 본시(2/3차시) 교수‧학습 과정안
평가지
1. 단원 개관
2. 단원 학습 목표
3. 대단원 구성 및 학습 계획
4. 교육 과정 및 학습 내용과의 관련성
Ⅱ. 학 생 관
1. 학생의 실태
2. 단원 지도를 위한 설문 조사 및 분석
Ⅲ. 지 도 관
1. 대단원 교수 ․ 학습 계획
2. 지도상의 유의점
3. 수업 전개도
생활국어 1-1 본시(2/3차시) 교수‧학습 과정안
평가지
본문내용
기가 좋아하는 연예인에 대해 서로 설명하기
② 상습적으로 무단결석하는 친구를 학교로 돌아오도록 설득하기
③ 시험을 못 쳐서 망연자실하는 친구를 위로하기
④ 학기 초 처음 만난 친구끼리 서로 소개하며 친분 쌓기
단계
교수
학습
요항
수 업 활 동
수업형태
및 자료
도달점
및
유의점
교 사
학 생
전
개
1
‘활동1’-3
‘활동1’-4
▶ 자, 그러면 이번에는 초점을 바꾸어서 나래 자신이 스스로에 대해서 알아야 할 것을 생각해 보는 활동을 해 보겠습니다. 3번 활동을 해봅시다. 교과서 134쪽의 자료를 참고하면 좀 더 타당한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역시 시간은 3분을 주겠습니다.
(두세 명 정도 발표시키고, 피드백 한다.)
▶ 좋습니다. 그러면 135쪽 4번 활동을 봅시다. 선생님을 어머니라고 생각하고 나래의 입장이 되어 한 번 선생님을 설득해 봅시다. 나머지 학생들은 아래 평가지에 제시되어 있는 기준에 따라 친구의 말하기를 평가하며 들어 보고, 평가지를 작성해봅시다. 평가지는 수업이 끝난 후에 걷어서 수행평가에 반영할 테니, 성심성의껏 작성하기 바랍니다.
(평가 결과를 서너 명의 학생에게 발표 시키고 발표 내용에 대해 피드백 한다.)
▷ (3번 활동을 한다.)
▷ (지목된 학생은 교사와 대화를 나누고, 나머지 학생들은 평가지의 기준에 따라 대화를 평가하며 듣는다.)
평가지
앞서 정리한 내용을 활용하여 말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대화를 유도한다.
상호평가를 통해 듣기와의 통합을 도모하고, 수행평가에 대해 안내함으로써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한다.
전
개
2
상황에 맞게 말하기 (상황극 및 상호평가)
(25/43)
▶ 자, 이번에는 수업을 시작할 때 예고했던 상황극을 해 보겠습니다. 선생님의 손에 4가지의 상황이 담긴 쪽지가 총 8개 있습니다. 각 모둠에서 1명씩 나와서 한 장씩 뽑아가도록 합니다. 쪽지를 뽑아간 사람은 종이에 적힌 상황을 조원들에게 보여주도록 합니다.
▶ 자, 지금부터 각 모둠별로 종이에 적힌 상황을 생각해서 역할을 분담하고 짤막한 상황극을 만들어 봅시다. 모둠원 모두가 참여해도 좋고, 두 명만 참여해도 괜찮습니다. 지금부터 상황극을 한 번 만들어봅시다. 시간은 5분 정도 줄게요.
▷ (모둠별로 1명씩 나와서 상황이 적힌 종이를 뽑아가서 내용을 확인한다.)
▷ (자기 모둠이 뽑은 상황에 대해 어떤 식으로 상황극을 만들 것인지 토의한다.)
상황극
상황지
분위기가 소란스럽지 않도록 지도한다.
쪽지를 뽑은 결과를 정리해서 판서한다.
교실을 순회하면서 모둠별로 담화 상황의 구성 요소를 고려한 상황극을 구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단계
교수
학습
요항
수 업 활 동
수업형태
및 자료
도달점
및
유의점
교 사
학 생
전
개
2
상황에 맞게 말하기 (상황극 및 상호평가)
(18/43)
재밌고 참신한 상황극도 좋지만, 말하는 목적, 말할 대상, 이야기의 흐름, 분위기 등,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해서 상황극을 만들어보도록 합니다.
▶ 다 만들었나요? 지금부터 실제로 상황극을 해 볼 텐데, 1개 조가 상황극을 하면, 나머지 7개조는 나누어 준 평가지에 평가를 해 봅시다. 같은 상황을 연기하는 조에 대해서는 두 조의 말하기를 비교해가며 평가해 봅시다.
▶ (상황극 발표가 다 끝난 다음, 발표 한 순서대로 각 모둠의 상황극에 대한 평가 내용을 모둠별로 발표시킨다.)
▶ 자, 모두들 활동 하느라 수고 많았습니다. 평가지는 수업이 끝난 후, 모둠별로 거두어서 선생님에게 제출하도록 합니다.
▷ (발표 모둠은 상황극을 하고, 나머지 7개 모둠은 평가지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며 듣는다.)
▷ (다른 모둠의 상황극에 대한 평가 결과를 발표한다.)
상황극
상황지
평가지
학생들이 단순히 재미만을 위한 상황극을 구상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발표를 주의 깊게 듣도록 이끌고, 발표 내용에 대해 적절하게 피드백 한다.
평가지를 회수하여 수행평가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정
리
본시 학습
정리
차시 학습
예고
인사
(45/45)
오늘은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하여, 교과서의 ‘활동1’을 해 보고, 여러 가지 상황에 맞게 실제로 대화를 해 보는 상황극을 해 보았습니다.
▶ 다음 시간에는 다시 국어로 넘어가서 7단원의 소단원 ‘홍길동전’을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수업 전에 미리 한 번 읽어오도록 합니다.
▶ 인사
▷ (수업 내용을 다시 한 번 확인한다)
▷ (차시 확인)
▷ 인사
강의식
학생들이 수업한 내용을 머릿속으로 정리해볼 수 있도록 한다.
판
서
계
획
6. 상황에 맞게 말하기
(2) 상황에 맞게 말하는 연습
<학습목표>
1.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하여 상황에 맞게 말할 수 있다.
2.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하여 평가하며 들을 수 있다.
<담화 상황의 구성 요소>
목적
말할 대상
시간적, 공간적 조건
이야기의 흐름
분위기
<상황극>
[상황1] 좋아하는 연예인 설명하기 - O,O모둠
[상황2] 무단결석하는 친구 설득하기 - O,O모둠
[상황3] 망연자실한 친구 위로하기 - O,O모둠
[상황4] 서로 소개하며 친분 쌓기 - O,O모둠
【 평가 기준 】
1.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하여 상황에 맞게 말할 수 있는가?
2.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하여 평가하며 들을 수 있는가?
【 예상되는 발전 】
1.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하여 상황에 맞게 말할 수 있다.
2.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하여 평가하며 들을 수 있다.
2010 년 5 월 일
교과서 활동1
1학년 반 번
6. 상황에 맞게 말하기
(2) 상황에 맞게 말하는 연습
평가지
이 름 :
친구와 선생님이 대화하는 것을 듣고, 상황에 맞게 말하고 있는지 다음 항목을 기준으로 평가해 봅시다. 잘된 점과 잘못 된 점을 이유를 들어 상세하게 기록해 봅시다.
교사 소견
2010 년 5 월 일
( )모둠 상황극
모둠
모 둠 원
6. 상황에 맞게 말하기
(2) 상황에 맞게 말하는 연습
평가지
다른 모둠의 상황극을 보고, 상황에 맞게 말하고 있는지 다음 항목을 기준으로 평가해 봅시다. 잘된 점과 잘못 된 점을 이유를 들어 상세하게 기록해 봅시다.
교사 소견
② 상습적으로 무단결석하는 친구를 학교로 돌아오도록 설득하기
③ 시험을 못 쳐서 망연자실하는 친구를 위로하기
④ 학기 초 처음 만난 친구끼리 서로 소개하며 친분 쌓기
단계
교수
학습
요항
수 업 활 동
수업형태
및 자료
도달점
및
유의점
교 사
학 생
전
개
1
‘활동1’-3
‘활동1’-4
▶ 자, 그러면 이번에는 초점을 바꾸어서 나래 자신이 스스로에 대해서 알아야 할 것을 생각해 보는 활동을 해 보겠습니다. 3번 활동을 해봅시다. 교과서 134쪽의 자료를 참고하면 좀 더 타당한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역시 시간은 3분을 주겠습니다.
(두세 명 정도 발표시키고, 피드백 한다.)
▶ 좋습니다. 그러면 135쪽 4번 활동을 봅시다. 선생님을 어머니라고 생각하고 나래의 입장이 되어 한 번 선생님을 설득해 봅시다. 나머지 학생들은 아래 평가지에 제시되어 있는 기준에 따라 친구의 말하기를 평가하며 들어 보고, 평가지를 작성해봅시다. 평가지는 수업이 끝난 후에 걷어서 수행평가에 반영할 테니, 성심성의껏 작성하기 바랍니다.
(평가 결과를 서너 명의 학생에게 발표 시키고 발표 내용에 대해 피드백 한다.)
▷ (3번 활동을 한다.)
▷ (지목된 학생은 교사와 대화를 나누고, 나머지 학생들은 평가지의 기준에 따라 대화를 평가하며 듣는다.)
평가지
앞서 정리한 내용을 활용하여 말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대화를 유도한다.
상호평가를 통해 듣기와의 통합을 도모하고, 수행평가에 대해 안내함으로써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한다.
전
개
2
상황에 맞게 말하기 (상황극 및 상호평가)
(25/43)
▶ 자, 이번에는 수업을 시작할 때 예고했던 상황극을 해 보겠습니다. 선생님의 손에 4가지의 상황이 담긴 쪽지가 총 8개 있습니다. 각 모둠에서 1명씩 나와서 한 장씩 뽑아가도록 합니다. 쪽지를 뽑아간 사람은 종이에 적힌 상황을 조원들에게 보여주도록 합니다.
▶ 자, 지금부터 각 모둠별로 종이에 적힌 상황을 생각해서 역할을 분담하고 짤막한 상황극을 만들어 봅시다. 모둠원 모두가 참여해도 좋고, 두 명만 참여해도 괜찮습니다. 지금부터 상황극을 한 번 만들어봅시다. 시간은 5분 정도 줄게요.
▷ (모둠별로 1명씩 나와서 상황이 적힌 종이를 뽑아가서 내용을 확인한다.)
▷ (자기 모둠이 뽑은 상황에 대해 어떤 식으로 상황극을 만들 것인지 토의한다.)
상황극
상황지
분위기가 소란스럽지 않도록 지도한다.
쪽지를 뽑은 결과를 정리해서 판서한다.
교실을 순회하면서 모둠별로 담화 상황의 구성 요소를 고려한 상황극을 구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단계
교수
학습
요항
수 업 활 동
수업형태
및 자료
도달점
및
유의점
교 사
학 생
전
개
2
상황에 맞게 말하기 (상황극 및 상호평가)
(18/43)
재밌고 참신한 상황극도 좋지만, 말하는 목적, 말할 대상, 이야기의 흐름, 분위기 등,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해서 상황극을 만들어보도록 합니다.
▶ 다 만들었나요? 지금부터 실제로 상황극을 해 볼 텐데, 1개 조가 상황극을 하면, 나머지 7개조는 나누어 준 평가지에 평가를 해 봅시다. 같은 상황을 연기하는 조에 대해서는 두 조의 말하기를 비교해가며 평가해 봅시다.
▶ (상황극 발표가 다 끝난 다음, 발표 한 순서대로 각 모둠의 상황극에 대한 평가 내용을 모둠별로 발표시킨다.)
▶ 자, 모두들 활동 하느라 수고 많았습니다. 평가지는 수업이 끝난 후, 모둠별로 거두어서 선생님에게 제출하도록 합니다.
▷ (발표 모둠은 상황극을 하고, 나머지 7개 모둠은 평가지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며 듣는다.)
▷ (다른 모둠의 상황극에 대한 평가 결과를 발표한다.)
상황극
상황지
평가지
학생들이 단순히 재미만을 위한 상황극을 구상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발표를 주의 깊게 듣도록 이끌고, 발표 내용에 대해 적절하게 피드백 한다.
평가지를 회수하여 수행평가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정
리
본시 학습
정리
차시 학습
예고
인사
(45/45)
오늘은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하여, 교과서의 ‘활동1’을 해 보고, 여러 가지 상황에 맞게 실제로 대화를 해 보는 상황극을 해 보았습니다.
▶ 다음 시간에는 다시 국어로 넘어가서 7단원의 소단원 ‘홍길동전’을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수업 전에 미리 한 번 읽어오도록 합니다.
▶ 인사
▷ (수업 내용을 다시 한 번 확인한다)
▷ (차시 확인)
▷ 인사
강의식
학생들이 수업한 내용을 머릿속으로 정리해볼 수 있도록 한다.
판
서
계
획
6. 상황에 맞게 말하기
(2) 상황에 맞게 말하는 연습
<학습목표>
1.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하여 상황에 맞게 말할 수 있다.
2.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하여 평가하며 들을 수 있다.
<담화 상황의 구성 요소>
목적
말할 대상
시간적, 공간적 조건
이야기의 흐름
분위기
<상황극>
[상황1] 좋아하는 연예인 설명하기 - O,O모둠
[상황2] 무단결석하는 친구 설득하기 - O,O모둠
[상황3] 망연자실한 친구 위로하기 - O,O모둠
[상황4] 서로 소개하며 친분 쌓기 - O,O모둠
【 평가 기준 】
1.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하여 상황에 맞게 말할 수 있는가?
2.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하여 평가하며 들을 수 있는가?
【 예상되는 발전 】
1.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하여 상황에 맞게 말할 수 있다.
2. 담화 상황을 이루는 요소를 고려하여 평가하며 들을 수 있다.
2010 년 5 월 일
교과서 활동1
1학년 반 번
6. 상황에 맞게 말하기
(2) 상황에 맞게 말하는 연습
평가지
이 름 :
친구와 선생님이 대화하는 것을 듣고, 상황에 맞게 말하고 있는지 다음 항목을 기준으로 평가해 봅시다. 잘된 점과 잘못 된 점을 이유를 들어 상세하게 기록해 봅시다.
교사 소견
2010 년 5 월 일
( )모둠 상황극
모둠
모 둠 원
6. 상황에 맞게 말하기
(2) 상황에 맞게 말하는 연습
평가지
다른 모둠의 상황극을 보고, 상황에 맞게 말하고 있는지 다음 항목을 기준으로 평가해 봅시다. 잘된 점과 잘못 된 점을 이유를 들어 상세하게 기록해 봅시다.
교사 소견
키워드
추천자료
초등 6학년 국어과(읽기)교수-학습 과정안/다섯째 마당.옛 사람들의 삶을 생각하며 옛 글 읽기
초등1)국어 <국어(듣기말하기)과 교수-학습 과정안> - 3. 생각을 전해요(29-31쪽 ( 1/4)차시)...
초등1)즐생 <즐거운 생활과 교수-학습 과정안> - 6. 와! 여름이다(즐거운 생활 90~91 쪽 (3/1...
초등2)국어 <국어(듣기말하기)과 교수-학습 과정안> - 7. 따뜻한 눈길로(읽기 110-112 (4/6)...
초등2)국어 <국어(듣기말하기)과 교수-학습 과정안> - 7. 따뜻한 눈길로(듣&#8228; 말 8...
5학년)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 (109~110쪽 (2/3)차시) 탐구학습모형> 3-2. 조선의 문화...
4학년)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 (P.104~105 (10/17)차시) 탐구학습모형> 3. 더불어 살아...
초등 6) <(효 교육 (재량활동))과 교수-학습 과정안 ((1 / 1 )차시) 일반학습모형> 효 교육 -...
4학년)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12/12), 문제해결 학습모형> 5. 알아보고 떠나요(읽기) ...
3학년)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쓰기 210~215쪽 / (4/4)차시), 문제해결학습모형> 6. 좋...
초등2)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듣·말·쓰 p.128-131)> 6.의견이 있어요 - 생각과...
초등3)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8/21)> 5. 앎의 즐거움 - 아는 내용을 말할 때와...
초등6)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말듣쓰 ( 1/8 )차시> 다섯째 마당. 마음을 나누며...
5학년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6. 깊이 있는 생각 - 어떤 문제에 대한 내 입장과 근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