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1.1. 교육과정의 정의
1.2. 유형에 따른 정의
1.3. 국어과 교육 과정
2.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2.1. 교수요목기
2.2. 제1차 교육과정
2.3. 제2차 교육과정
2.4. 제3차 교육과정
2.5. 제4차 교육과정
2.6. 제5차 교육과정
2.7. 제6차 교육과정
2.8. 제7차 교육과정
3.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3.1. 교육 과정 구성 체제
3.2. 교육 과정 구성 요소별 내용 구성의 방향
3.2.1. 성격
3.2.2. 목표
3.2.3. 내용
3.2.4. 방법
3.2.5. 평가
4.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의 내용 체계
4.1. 학년별 내용
〈참고문헌〉
1.1. 교육과정의 정의
1.2. 유형에 따른 정의
1.3. 국어과 교육 과정
2.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2.1. 교수요목기
2.2. 제1차 교육과정
2.3. 제2차 교육과정
2.4. 제3차 교육과정
2.5. 제4차 교육과정
2.6. 제5차 교육과정
2.7. 제6차 교육과정
2.8. 제7차 교육과정
3.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3.1. 교육 과정 구성 체제
3.2. 교육 과정 구성 요소별 내용 구성의 방향
3.2.1. 성격
3.2.2. 목표
3.2.3. 내용
3.2.4. 방법
3.2.5. 평가
4.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의 내용 체계
4.1. 학년별 내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표현할 수 있는 진리 여부를 입증할 수 있는 지식이다. 둘째 번 유형은 방법 또는 절차에 관한 지식인데, 이 유형의 지식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절차와 방법 및 전략에 대한 지식으로 원리라고 할 수 있는 지식이다. 명제적 지식 범주의 교육 내용을 ‘본질’로, 방법 또는 절차적 지식 범주의 교육 내용을 ‘원리’로 구분하여 ‘내용 체계’를 구조화하였다.
(다)국어과의 정의적 교육 내용에는 국어 사용과 관련되는, 국어에 관한, 문학에 관한 심리적물리적 요인으로서 자세, 태도, 습관, 흥미, 동기, 가치 등이 있다. 이러한 성격의 교육 내용을 제7차 교육 과정에서는 ‘태도’라는 범주명을 사용하여 구분하였다.
(라)학습자가 이해하고 표현해야 할 ‘실제(언어 자료/텍스트)’ 차원의 교육 내용을 독립 범주로 설정하였다. 이는 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다양한 목적으로 산출한 언어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적합한 형식의 언어 자료(텍스트)를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 즉 학습자의 국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데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범주화한 국어 교육의 내용을 구조화하여 ‘내용 체계’를 구성한 관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말하기읽기쓰기 교육은 ‘본질’, ‘원리’, ‘태도’ 범주의 교육 내용이 ‘실제’ 범주의 교육 내용과 유기적으로 관련되어야 의도한 교육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보고 ‘내용 체계’를 구조화하였다. 특히 듣기말하기읽기쓰기문학 영역의 ‘내용 체계’에서 각 범주간의 관계를 점선()으로 표시한 것도 ‘실제’ 범주의 교육 내용이 ‘본질’, ‘원리’, ‘태도’ 범주의 교육 내용과 유기적으로 통합되어야 함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둘째, 국어 지식 영역의 교육 내용은 ‘국어의 본질’, ‘국어의 이해와 탐구’, ‘국어에 대한 태도’, ‘국어의 규범과 적용’의 네 가지로 범주화한 뒤 ‘내용 체계’를 구조화하였다.
셋째, 문학 영역의 교육 내용은 ‘문학의 본질’, ‘문학의 수용과 창작’, ‘문학에 관한 태도’의 학습이 개별 문학 작품을 읽고 해석하고 평가하는 실제의 문학 활동과 유기적으로 관련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내용 체계’를 구조화하였다.
지금까지 언급한 국어 교육 내용의 범주화 관점과 구조화의 원리에 따라 구조화한 국어 교육 내용의 ‘내용 체계’는 아래 표와 같다. 별지1 참고
4.1. 학년별 내용
제7차 교육 과정에서 ‘학년별 내용’을 선정, 조직, 배열한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가) ‘학년별 내용’은 본질, 원리, 태도 영역에서 균형있게 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실제’ 범주와 관련하여 체계를 세워 다음 원리에 따라 배열하였다. 학년별 내용은 ‘학습 활동의 예’를 제시할 때 학습 활동을 위한 구체적인 텍스트를 함께 제시하였다.
(나) ‘본질’ 범주의 교육 내용은 ‘필요성, 목적, 개념, 방법, 상황, 특성’의 순으로 (단, 국어 지식 영역은 언어의 특성, 국어의 특질, 국어의 변천/문학 영역은 문학의 특성, 문학의 갈래, 한국 문학의 특질, 한국 문학의 사적 전개의 하위 범주로 구조화), ①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으로, ②개인적인 것에서 사회적인 것, ③흥미 유발에서 지식의 인식, 다시 지식의 조절 순으로 학습할 수 있게 배열하였다.
(다) ‘원리’ 범주의 교육 내용은 ‘본질’ 범주의 국어 교육 내용 배열의 일반 원리를 준용하되, 규범적인 것(이렇게 해야 한다)에서 상황적인 것(이럴 때에는 이렇게 해야 한다), 기초 기능 훈련에서 고차적인 전략의 조절 등의 순으로 배열하였다.
(라) ‘태도’ 범주의 교육 내용은 흥미나 동기 유발에서 사회적 습관 형성의 순으로 배열하였다.
(마) ‘실제(언어 자료/텍스트)’ 범주의 교육 내용은 ①개인적인 것(놀이)에서 사회적인 것(토의와 토론), ②정서적인 것에서 논리적인 것, ③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하게(예: 학교에서 있었던 일 → 사회적 쟁점), 일상적인 것에서 전문적인 것의 순으로 배열하였다. 별지2 참고
〈참고문헌〉
1. 교육부, 국어과 교육 과정, 교육부, 1998.
2. ___,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999.
3. ___,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2001.
4. 박붕배, 한국국어교육전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
5. 이삼형 외, 국어교육학, 소명출판, 2000.
6.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1996.
7.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7.
(다)국어과의 정의적 교육 내용에는 국어 사용과 관련되는, 국어에 관한, 문학에 관한 심리적물리적 요인으로서 자세, 태도, 습관, 흥미, 동기, 가치 등이 있다. 이러한 성격의 교육 내용을 제7차 교육 과정에서는 ‘태도’라는 범주명을 사용하여 구분하였다.
(라)학습자가 이해하고 표현해야 할 ‘실제(언어 자료/텍스트)’ 차원의 교육 내용을 독립 범주로 설정하였다. 이는 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다양한 목적으로 산출한 언어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적합한 형식의 언어 자료(텍스트)를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 즉 학습자의 국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데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범주화한 국어 교육의 내용을 구조화하여 ‘내용 체계’를 구성한 관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말하기읽기쓰기 교육은 ‘본질’, ‘원리’, ‘태도’ 범주의 교육 내용이 ‘실제’ 범주의 교육 내용과 유기적으로 관련되어야 의도한 교육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보고 ‘내용 체계’를 구조화하였다. 특히 듣기말하기읽기쓰기문학 영역의 ‘내용 체계’에서 각 범주간의 관계를 점선()으로 표시한 것도 ‘실제’ 범주의 교육 내용이 ‘본질’, ‘원리’, ‘태도’ 범주의 교육 내용과 유기적으로 통합되어야 함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둘째, 국어 지식 영역의 교육 내용은 ‘국어의 본질’, ‘국어의 이해와 탐구’, ‘국어에 대한 태도’, ‘국어의 규범과 적용’의 네 가지로 범주화한 뒤 ‘내용 체계’를 구조화하였다.
셋째, 문학 영역의 교육 내용은 ‘문학의 본질’, ‘문학의 수용과 창작’, ‘문학에 관한 태도’의 학습이 개별 문학 작품을 읽고 해석하고 평가하는 실제의 문학 활동과 유기적으로 관련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내용 체계’를 구조화하였다.
지금까지 언급한 국어 교육 내용의 범주화 관점과 구조화의 원리에 따라 구조화한 국어 교육 내용의 ‘내용 체계’는 아래 표와 같다. 별지1 참고
4.1. 학년별 내용
제7차 교육 과정에서 ‘학년별 내용’을 선정, 조직, 배열한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가) ‘학년별 내용’은 본질, 원리, 태도 영역에서 균형있게 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실제’ 범주와 관련하여 체계를 세워 다음 원리에 따라 배열하였다. 학년별 내용은 ‘학습 활동의 예’를 제시할 때 학습 활동을 위한 구체적인 텍스트를 함께 제시하였다.
(나) ‘본질’ 범주의 교육 내용은 ‘필요성, 목적, 개념, 방법, 상황, 특성’의 순으로 (단, 국어 지식 영역은 언어의 특성, 국어의 특질, 국어의 변천/문학 영역은 문학의 특성, 문학의 갈래, 한국 문학의 특질, 한국 문학의 사적 전개의 하위 범주로 구조화), ①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으로, ②개인적인 것에서 사회적인 것, ③흥미 유발에서 지식의 인식, 다시 지식의 조절 순으로 학습할 수 있게 배열하였다.
(다) ‘원리’ 범주의 교육 내용은 ‘본질’ 범주의 국어 교육 내용 배열의 일반 원리를 준용하되, 규범적인 것(이렇게 해야 한다)에서 상황적인 것(이럴 때에는 이렇게 해야 한다), 기초 기능 훈련에서 고차적인 전략의 조절 등의 순으로 배열하였다.
(라) ‘태도’ 범주의 교육 내용은 흥미나 동기 유발에서 사회적 습관 형성의 순으로 배열하였다.
(마) ‘실제(언어 자료/텍스트)’ 범주의 교육 내용은 ①개인적인 것(놀이)에서 사회적인 것(토의와 토론), ②정서적인 것에서 논리적인 것, ③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하게(예: 학교에서 있었던 일 → 사회적 쟁점), 일상적인 것에서 전문적인 것의 순으로 배열하였다. 별지2 참고
〈참고문헌〉
1. 교육부, 국어과 교육 과정, 교육부, 1998.
2. ___,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999.
3. ___,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2001.
4. 박붕배, 한국국어교육전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
5. 이삼형 외, 국어교육학, 소명출판, 2000.
6.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1996.
7.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