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Ⅰ . Vojta is...
Ⅱ. 보이타 원리와 기본절차
1. 보이타 기본 개념
2. 원시반사(Primitive reflex)
3. 7가지 자세반응(Postural reaction)
4. 반사적 기기 ․ 반사적 뒤집기의 생리학적 접근
5. 유발대 (AuslÖsungsxonen)
6. 치료시작
7. 치료용량, 횟수
8. 금기증
Ⅱ. 보이타 원리와 기본절차
1. 보이타 기본 개념
2. 원시반사(Primitive reflex)
3. 7가지 자세반응(Postural reaction)
4. 반사적 기기 ․ 반사적 뒤집기의 생리학적 접근
5. 유발대 (AuslÖsungsxonen)
6. 치료시작
7. 치료용량, 횟수
8. 금기증
본문내용
Ⅰ . Vojta is...
1) 보이타 박사가 개발한 중추신경계 치료법.
유발점 자극을 통해 나타나는 반사적 진행 동작의 규칙성과 같은 일정한 동작과정을 보이는 협동 운동 복합체와 또 다른 방식의 진행 동작인 반사적 뒤집기를 통해 운동발달과 협응운동이 부족한 뇌성운동 장애가 있는 아이의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를 도모 함.
2) 바클라브 보이타의 약력
- 1917年 체코출생.
- 프라하 대학 소아 신경과 과장 역임.
- 1954年 이상반사 및 병적 반응의 억제와 근 긴장을 주제로 연구
임상적 고찰 통해 일정 자세와 유발대를 자극해 이동운동 형태를 얻음.
→반사성 이동운동
- 1967年 자극대(Brust Zone의 착상)발견
- 1968年 서독으로 망명. 쾨른 의과대학 정형외과에 근무
- 1975年 뮌헨대학 소아 재활원으로 이동.
- 뇌성마비아의 조기진단과 치료에 공헌
- 2000年 9月 12日 통일독일의 뮌헨에서 서거
Ⅱ. 보이타 원리와 기본절차
1. 보이타 기본 개념
- 영유아의 정상적인 운동발달 : 중추의 가소성 성숙을 동반하며, 각각의 경계를 넘으면서 단계적으로 동작을 획득하는 것.
- 이러한 생리적 성숙과정의 어딘가에 일찍이 장애를 입을시 신체적 운동발달과 협조성의 결함이 생기기 때문에, 병적인 근긴장이나 장애의 부수적 현상인 전경직성 징후 및 전불수의적 징후가 나타나 비정상자세나 패턴을 어릴 때부터 드러내며, 발달의 이정표를 잊어버림.
Vojta 박사는 사람의 태생기부터 자기의 몸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운동학적 규칙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 반사성 이동원리" 를 통해 발견
뇌성마비 조기진단 → 자세반응 검사법과 치료법인 전신적운동 진행패턴인 반사적기기 , 반사적뒤집기와 같은 인체지점(zone)자극을 통한 대뇌소통체계를 활성화 → 뇌성마비 아이가 가지는 비정상적인 운동의 개선과 이상적인 신체상의 확립에 효과를 주는 치료법
정확한 출발자세에서의 몸통과 사지의 유발점 자극
→ 중추신경계인 뇌가 활성화
→ 활성화 된 근육의 운동들은 건강한 아동들에게서 볼 수 있는 자발적인
동작과 유사성을 보임.
- 뇌성마비의 조기진단의 방법
* 정상운동발달과 생리적 아동연령과의 대조.
* 자세반응과 원시반사의 관찰 및 평가를 종합하여 판단.
2. 원시반사(Primitive reflex)
- 신경계가 미숙할 때 보이는 반사.
상위 중추의 성숙(대뇌피질의 성숙)에 의해 억제
→ 초기 유아기를 지나면 감소 소실해 감.
- 유발되어진 정도에 의해 신경계의 성숙도를 알 수 있음.
(1) 특성
+외적자극에 대한 반사적 움직임으로 정상발육상태에서 필수적으로 나타남
+생후 6개월 이내에 대부분 조절 통합 소멸
+척수와 뇌간의 지배 (생후 6개월까지)
+출생시 나타나지 않거나 없어져야 할 시기에 계속 나타나면 안된다.
1) 보이타 박사가 개발한 중추신경계 치료법.
유발점 자극을 통해 나타나는 반사적 진행 동작의 규칙성과 같은 일정한 동작과정을 보이는 협동 운동 복합체와 또 다른 방식의 진행 동작인 반사적 뒤집기를 통해 운동발달과 협응운동이 부족한 뇌성운동 장애가 있는 아이의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를 도모 함.
2) 바클라브 보이타의 약력
- 1917年 체코출생.
- 프라하 대학 소아 신경과 과장 역임.
- 1954年 이상반사 및 병적 반응의 억제와 근 긴장을 주제로 연구
임상적 고찰 통해 일정 자세와 유발대를 자극해 이동운동 형태를 얻음.
→반사성 이동운동
- 1967年 자극대(Brust Zone의 착상)발견
- 1968年 서독으로 망명. 쾨른 의과대학 정형외과에 근무
- 1975年 뮌헨대학 소아 재활원으로 이동.
- 뇌성마비아의 조기진단과 치료에 공헌
- 2000年 9月 12日 통일독일의 뮌헨에서 서거
Ⅱ. 보이타 원리와 기본절차
1. 보이타 기본 개념
- 영유아의 정상적인 운동발달 : 중추의 가소성 성숙을 동반하며, 각각의 경계를 넘으면서 단계적으로 동작을 획득하는 것.
- 이러한 생리적 성숙과정의 어딘가에 일찍이 장애를 입을시 신체적 운동발달과 협조성의 결함이 생기기 때문에, 병적인 근긴장이나 장애의 부수적 현상인 전경직성 징후 및 전불수의적 징후가 나타나 비정상자세나 패턴을 어릴 때부터 드러내며, 발달의 이정표를 잊어버림.
Vojta 박사는 사람의 태생기부터 자기의 몸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운동학적 규칙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 반사성 이동원리" 를 통해 발견
뇌성마비 조기진단 → 자세반응 검사법과 치료법인 전신적운동 진행패턴인 반사적기기 , 반사적뒤집기와 같은 인체지점(zone)자극을 통한 대뇌소통체계를 활성화 → 뇌성마비 아이가 가지는 비정상적인 운동의 개선과 이상적인 신체상의 확립에 효과를 주는 치료법
정확한 출발자세에서의 몸통과 사지의 유발점 자극
→ 중추신경계인 뇌가 활성화
→ 활성화 된 근육의 운동들은 건강한 아동들에게서 볼 수 있는 자발적인
동작과 유사성을 보임.
- 뇌성마비의 조기진단의 방법
* 정상운동발달과 생리적 아동연령과의 대조.
* 자세반응과 원시반사의 관찰 및 평가를 종합하여 판단.
2. 원시반사(Primitive reflex)
- 신경계가 미숙할 때 보이는 반사.
상위 중추의 성숙(대뇌피질의 성숙)에 의해 억제
→ 초기 유아기를 지나면 감소 소실해 감.
- 유발되어진 정도에 의해 신경계의 성숙도를 알 수 있음.
(1) 특성
+외적자극에 대한 반사적 움직임으로 정상발육상태에서 필수적으로 나타남
+생후 6개월 이내에 대부분 조절 통합 소멸
+척수와 뇌간의 지배 (생후 6개월까지)
+출생시 나타나지 않거나 없어져야 할 시기에 계속 나타나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