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2009년 총 수송인원 약 50억명, 한달 평균 4억명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지하철. 이용객이 매년 증가하다보니 그만큼 지하철 광고시장도 매년 커지고 다양해지고 있다. 그 가운데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광고 문구가 하나 있다.
전국 취업률 1위
바로 대학 광고이다. 너도 나도 전국 취업률 1위, 취업률 99.9%를 외치지만 뭐가 사실인지 나는 모른다. 나는 이미 대학에 다니고 있으니 무엇이 사실인지 몰라도 딱히 해 될 것 없다. 그냥 그렇게 대부분의 사람들이 무신경하게 살아간다. 어느 날 이런 기사가 하나 떴다.
‘취업률 1위’ 과장 광고 대학 무더기 적발
[한국경제TV 2010-08-02]
허위•과장 광고, 기만적인 광고 행위를 한 19개 대학들에게 시정 조치를 내렸다는 기사였다. 그 기사에는 피해를 입은 한 학생의 인터뷰가 짤막하게 실려 있었다.
“학교 홈페이지도 많이 봤고 안내 책자도 많이 참고해서 대학 정보도 얻었고,
좋은 것 같아서 입학했어요.”
- 박한별(23), 대학생
이 역시 허위•과장 광고. 쉽게 말해 대학교가 학생들을 상대로 거짓말을 한 것이다. 이 학생은 인생의 중요한 선택 중 하나를 속아서 하게 된 것이다.
이 사례를 통해 우리는 ‘거짓말이 만연한 사회’ 에 살고 있으며 그것에 대한 우리의 태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이 사례에서 모티브를 얻어 조사하였고, 최근 논란이 되었던 사례들을 토대로 이야기해 보기로 하겠다.
2. 본론
2010년 4월. ‘whatbecomes’라는 아이디를 싸는 한 네티즌에 의해 타블로의 학력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고 ‘타블로에게 진실을 요구합니다’라는 카페의 회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게 된다.
그들이 의혹을 갖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의문 1. 타블로는 SAT(미국의 대학 입학 자격 시험)를 치르지 않고 스탠포드 대학을 글쓰기만으로 입학했다.
이에 대한 반박 : 미국의 대학교는 반드시 SAT를 통과해야 입학할 수 있다.
의문 2. 타블로는 우수졸업자(With Distinction)로서, 4.0 만점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이에 대한 반박 : 2001년과 2002년 우수졸업자 명단에 그가 존재하지 않으며, 스탠포드는 4.0 만점이 아닌 4.3 만점으로 언론에 공개한 성적표의 학점이 만점이 아니다.
그 외에, 스탠포드 재학 기간과 국내에서 영어강사로 활동한 기간이 겹친다든가, 미국 국적 소유자만 가능하다는 CIA 인턴에 합격한 적 있다는 발언, 배우 리즈 위더스푼과 친구였다는 발언(리즈 위더스푼은 타블로가 입학하기 전에 중퇴) 등 수많은 발언들이 도마 위에 올랐고, 네티즌들은 타블로의 학력에 대해 본격적으로 의심을 하기 시작한다.
학력 위조 사건이 터지고 5개월이 지나고 나서야 타블로는 방송을 통해 공개적으로 자신이 스탠포드를 입학 및 졸업했음을 보여주었고, 뒤이어 서초 경찰서의 공식 발표를 통해 타블로의 학력 의혹은 일단락된다. 그 후 모든 언론은 위와 같은 의문을 제기한 ‘타진요’를 악플러 집단으로 묘사하며 공격적인 기사를 쏟아내기 시작했고 타진요 회원들을 향한 네티즌들의 비난 또한 계속되었다.
2009년 총 수송인원 약 50억명, 한달 평균 4억명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지하철. 이용객이 매년 증가하다보니 그만큼 지하철 광고시장도 매년 커지고 다양해지고 있다. 그 가운데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광고 문구가 하나 있다.
전국 취업률 1위
바로 대학 광고이다. 너도 나도 전국 취업률 1위, 취업률 99.9%를 외치지만 뭐가 사실인지 나는 모른다. 나는 이미 대학에 다니고 있으니 무엇이 사실인지 몰라도 딱히 해 될 것 없다. 그냥 그렇게 대부분의 사람들이 무신경하게 살아간다. 어느 날 이런 기사가 하나 떴다.
‘취업률 1위’ 과장 광고 대학 무더기 적발
[한국경제TV 2010-08-02]
허위•과장 광고, 기만적인 광고 행위를 한 19개 대학들에게 시정 조치를 내렸다는 기사였다. 그 기사에는 피해를 입은 한 학생의 인터뷰가 짤막하게 실려 있었다.
“학교 홈페이지도 많이 봤고 안내 책자도 많이 참고해서 대학 정보도 얻었고,
좋은 것 같아서 입학했어요.”
- 박한별(23), 대학생
이 역시 허위•과장 광고. 쉽게 말해 대학교가 학생들을 상대로 거짓말을 한 것이다. 이 학생은 인생의 중요한 선택 중 하나를 속아서 하게 된 것이다.
이 사례를 통해 우리는 ‘거짓말이 만연한 사회’ 에 살고 있으며 그것에 대한 우리의 태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이 사례에서 모티브를 얻어 조사하였고, 최근 논란이 되었던 사례들을 토대로 이야기해 보기로 하겠다.
2. 본론
2010년 4월. ‘whatbecomes’라는 아이디를 싸는 한 네티즌에 의해 타블로의 학력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고 ‘타블로에게 진실을 요구합니다’라는 카페의 회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게 된다.
그들이 의혹을 갖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의문 1. 타블로는 SAT(미국의 대학 입학 자격 시험)를 치르지 않고 스탠포드 대학을 글쓰기만으로 입학했다.
이에 대한 반박 : 미국의 대학교는 반드시 SAT를 통과해야 입학할 수 있다.
의문 2. 타블로는 우수졸업자(With Distinction)로서, 4.0 만점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이에 대한 반박 : 2001년과 2002년 우수졸업자 명단에 그가 존재하지 않으며, 스탠포드는 4.0 만점이 아닌 4.3 만점으로 언론에 공개한 성적표의 학점이 만점이 아니다.
그 외에, 스탠포드 재학 기간과 국내에서 영어강사로 활동한 기간이 겹친다든가, 미국 국적 소유자만 가능하다는 CIA 인턴에 합격한 적 있다는 발언, 배우 리즈 위더스푼과 친구였다는 발언(리즈 위더스푼은 타블로가 입학하기 전에 중퇴) 등 수많은 발언들이 도마 위에 올랐고, 네티즌들은 타블로의 학력에 대해 본격적으로 의심을 하기 시작한다.
학력 위조 사건이 터지고 5개월이 지나고 나서야 타블로는 방송을 통해 공개적으로 자신이 스탠포드를 입학 및 졸업했음을 보여주었고, 뒤이어 서초 경찰서의 공식 발표를 통해 타블로의 학력 의혹은 일단락된다. 그 후 모든 언론은 위와 같은 의문을 제기한 ‘타진요’를 악플러 집단으로 묘사하며 공격적인 기사를 쏟아내기 시작했고 타진요 회원들을 향한 네티즌들의 비난 또한 계속되었다.
추천자료
교육사회학 - 나(어머니)의 형성과 교육 그리고 사회적 영향
사회학 자서전 나는 누구인가
[사회복지 실습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사회복지실습에 대한 나의 생각
사회복지 관련 도서 3편을 읽고(인생복지 카운슬링,복지바구니에 담긴 꿈과 희망,나는 왜 사...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가상면접, 상담 - 클라이언트(송 민정, 20살), 사회복지사(나) 가상 면...
사회학으로 본 나의 가족관
나는 이런 사회복사이고 싶다
사회복지에 대한 나의 생각
사회복지사에 대한 나의 생각,사회복지사 전망
인간과사회1A) 2014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일어났던 사건 가운데 하나를 골라서 “사회...
[아동복지론] 아동이 아동답게 삶을 긍정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이 사회에 속한 나는(성인) 어...
(비에스텍 7원칙) 나는 왜 사회복지 공부를 시작했는지 간략하게 설명하고 비에스텍의 사회복...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적인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그 중 어떤 기술이 나 자신이 사...
인간행동과사회환경)나는 어떠한 열등감을 갖고 있는지 그러한 열등감은 어디에서 유래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