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아동미술치료에 활용되는 기법
1. 역할교환법
2. 핑거페인팅
3. 갈겨그리기법
4. 조소활동법
5. 상호색채분할법
6. 손 본뜨기
7. 씨앗으로 얼굴 만들기
8. 신체 본뜨기
9. 골판지로 꾸미기
10. 석고붕대 본뜨기
11. 비눗물 거품놀이
12. 도장찍기
13. 종이찢기
14. 스티커 붙이기
15. 사포협동화
* 참고문헌
1. 역할교환법
2. 핑거페인팅
3. 갈겨그리기법
4. 조소활동법
5. 상호색채분할법
6. 손 본뜨기
7. 씨앗으로 얼굴 만들기
8. 신체 본뜨기
9. 골판지로 꾸미기
10. 석고붕대 본뜨기
11. 비눗물 거품놀이
12. 도장찍기
13. 종이찢기
14. 스티커 붙이기
15. 사포협동화
* 참고문헌
본문내용
화지에 아동의 손을 대고 손바닥을 그리게
한 뒤 손이 완성되면, 손가락에 받고 싶은 선물, 자신의 장 단점, 희망 등을 써서
나타내게 할 수도 있다.
7) 씨앗으로 얼굴 만들기
씨앗으로 얼굴 만들기의 목표로는 신체 부위 인식, 신체상 형성, 감각발달 촉진 등
이 있으며 준비물로는 여러 종류의 씨앗, 풀, 종이, 연필 등이 있다. 치료사는 종이 위에 사람의 얼굴을 그려 준 다음 씨앗을 붙여 사람 얼굴을 만들어 보게 한다. 써앗을 붙이면서 눈, 코, 입, 귀, 머리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각 부위를 확인시켜 준다.
8) 신체 본뜨기
신체 본뜨기의 목표는 신체상의 형성이며, 준비물로는 아동의 전신상이 들어갈
수 있는 종이, 크레파스, 물감, 연필, 색종이, 풀, 휴지 등이 있다. 종이를 벽 또는
바닥에 붙여두고, 아동을 종이 위에 눕거나 서 있도록 한다. 치료사(또는 다른 아동)는 종이 위에 누워 있는 아동의 신체의 본을 그려 준 후 아동에게 눈, 코, 입, 귀, 머리 등 신체부분을 채색하도록 한다. 이때 채색을 하지 않을 경우, 휴지나 색종이를 이용하여 종이 위에 신체의 부분을 만들어 붙이도록 한다.
9) 골판지로 꾸미기
골판지로 꾸미기의 목표는 소근육 운동기능 향상, 구성력 향상, 자발성 향상, 성
취감 느끼기이며, 준비물로는 다양한 색깔의 골판지, 가위, 본드 등이 있다. 치료사
는 아동에게 "오늘은 골판지로 만들기를 해 볼거야." 하면서 완성된 작품을 보여준
다. 작품을 만들기 전에 아동이 골판지 마는 것을 연습해 보는 것도 좋다. 아동이
완성된 작품을 보고 만들기 시작하면 적극적으로 칭찬해 준다. 치료사는 아동이 도
움을 원할 때에만 보조를 해주어 가능한 아동 스스로 작품을 완성하게 한다. 치료
사가 액자처럼 꾸며 주어서 아동의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 준다.
10) 서고붕대 본뜨기
석고붕대 본뜨기는 신체인식, 창의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준비물로는 석고붕대,
물, 가위 등이 있다. 먼저 치료사는 3cm 정도로 석고붕대를 잘라 아동의 손에 올린
뒤 물을 묻혀 굳힌다. 약 5분 후 석고가 굳은 뒤 석고틀에서 손을 빼내어 완성한다.
추가적으로 파스넷이나 물감 등으로 채색한다.
11) 비눗물 거품놀이
비눗물 거품놀이는 아동과의 관계형성 및 거부감 감소, 흥미유발, 활동을 촉진시
키는 데 도움을 주며, 준비물로는 깊이가 있는 쟁반, 비눗물, 빨대 등이 있다. 치료
사는 아동 앞에 쟁반을 놓아 주고 적당량의 비눗물을 부어준다. 치료사는 "00야,
우리 비누거품을 내보자."라고 말하며 손으로 비눗물을 문질러 거품을 내는 것을
보여준다. 치료사는 아동과 함께 손으로 거품을 낸다. 아동에 따라서 손으로 문지
르는 것을 싫어한다면 빨대를 이용하여 불기를 하여도 무방하다.
* 물감, 물풀, 종이죽 등을 첨가하여 핑거페인팅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12) 도장찍기
도장찍기는 아동과의 관계형성 및 매체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는 데 도움을 주
며, 준비물로는 다양한 크기의 도화지, 여러 가지 모양의 도장, 스템프 등이 있다.
치료사는 도화지와 여러 가지 모양의 도장, 스탬프를 제시한 뒤 도화지에 도장을
찍는 것을 보여주며, 아동이 도장을 도화지 전체에 자유롭게 찍도록 한다. 만일 아
동이 망설이거나 활발하게 하지 못할 때는 치료사가 모델링을 해서 아동의 활동이
적극적으로 되도록 유도한다.
* 아동의 상태에 따라 종이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도장을 연결해서 찍어 특정한 형태(예, 집, 꽃, 사과 등)를 만들어도 좋다.
13) 종이찢기
종이찢기는 아동과의 관계형성 및 거부감 감소, 흥미유발, 활동의 촉진, 욕구표
출에 도움을 주며, 준비물로는 다양한 크기의 도화지, 다양한 두께의 종이, 풀 등이
있다. 치료사는 먼저 종이를 펄는 것을 보여주어 아동의 흥미를 유발시킨다. 다 릿
고 나서 뭉치거나 도화지에 풀로 자유롭게 붙이기를 한다.
* 아동에 따라서 찢는 활동을 거부하면서 안할 수 있으나 치료사의 모델링에 의해서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손에 힘이 잘 안 들어가는 무기력한 아동은 崙은 종이에서부터 찢으면서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도록 두꺼운 종이로 점차 바꾸어 가면서 실시할 수 있다. 종이는 다양하게 준비하여 아동이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예, 꽃종이, 한지, 신문지, 주름지. 골판지. 상자 등).
14) 스터커 붙이기
스티커 붙이기는 아동과의 관계형성 및 거부감 감소, 흥미유발, 활동을 촉진시키
는 데 도움을 주며, 준비물로는 다양한 크기의 도화지, 다양한 모양의 스티커, 크레
파스, 스티커 붙일 밑그림이 있는 용지 등이 있다. 치료사는 도화지나 여러 가지
스터커를 제시한 뒤 종이에 붙이는 것을 보여주고, 아동이 도화지 전체에 자유롭게
붙이도록 촉구해 준다. 아동의 상태에 따라 종이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도
화지에 미리 동그라미로 사물의 형태를 그려둔 후 동그라미 안에 스티커를 붙여 모
양을 만들어도 좋으며, 아동이 스스로 어떤 모양을 그린 후 그 안에 붙이는 것으로
응용하여도 좋다. 아동이 원하는 대로 하게 해 주는 것에 의미가 있다.
15) 사포 협동화
미리 연결해 둔 사포에 하나의 그림을 그리고 집단원들이 각각 1장씩 나누어 가
진 후 그 속에 하나의 개별 그림을 완성하는 방법이다. 이때 자극도형을 응용하여
그릴 수도 있고 무시할 수도 있다. 그림을 완성 후 퍼즐을 맞추듯이 하나씩 맞추어
나간다. 이 기법은 아동 및 청소년, 성인 및 노인 미술치료기법의 하나로 초기 미
술치교 도입과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 밖의 호일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는 협동화기범 등도 미술치료기법으로 많
이 활용되고 있다.
장애청소년집단의 사포협동화.
* 참고문헌
- 이근매. 정광조(2005). 미술치료개론. 서울: 학지사
- 이광미(1996). 시각예술의 이해. 서울: 지구문화사
- 정신세계사 편집부(2003). 예술치유. 서울: 정신세계사
- 최선남 외(2007). 집단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 정현희(2006). 실제적용중심의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 한국미술치료학회(1997).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대구: 동화문화사
- 강길전(2002). 양자의학. 서울: 미내사클럽
한 뒤 손이 완성되면, 손가락에 받고 싶은 선물, 자신의 장 단점, 희망 등을 써서
나타내게 할 수도 있다.
7) 씨앗으로 얼굴 만들기
씨앗으로 얼굴 만들기의 목표로는 신체 부위 인식, 신체상 형성, 감각발달 촉진 등
이 있으며 준비물로는 여러 종류의 씨앗, 풀, 종이, 연필 등이 있다. 치료사는 종이 위에 사람의 얼굴을 그려 준 다음 씨앗을 붙여 사람 얼굴을 만들어 보게 한다. 써앗을 붙이면서 눈, 코, 입, 귀, 머리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각 부위를 확인시켜 준다.
8) 신체 본뜨기
신체 본뜨기의 목표는 신체상의 형성이며, 준비물로는 아동의 전신상이 들어갈
수 있는 종이, 크레파스, 물감, 연필, 색종이, 풀, 휴지 등이 있다. 종이를 벽 또는
바닥에 붙여두고, 아동을 종이 위에 눕거나 서 있도록 한다. 치료사(또는 다른 아동)는 종이 위에 누워 있는 아동의 신체의 본을 그려 준 후 아동에게 눈, 코, 입, 귀, 머리 등 신체부분을 채색하도록 한다. 이때 채색을 하지 않을 경우, 휴지나 색종이를 이용하여 종이 위에 신체의 부분을 만들어 붙이도록 한다.
9) 골판지로 꾸미기
골판지로 꾸미기의 목표는 소근육 운동기능 향상, 구성력 향상, 자발성 향상, 성
취감 느끼기이며, 준비물로는 다양한 색깔의 골판지, 가위, 본드 등이 있다. 치료사
는 아동에게 "오늘은 골판지로 만들기를 해 볼거야." 하면서 완성된 작품을 보여준
다. 작품을 만들기 전에 아동이 골판지 마는 것을 연습해 보는 것도 좋다. 아동이
완성된 작품을 보고 만들기 시작하면 적극적으로 칭찬해 준다. 치료사는 아동이 도
움을 원할 때에만 보조를 해주어 가능한 아동 스스로 작품을 완성하게 한다. 치료
사가 액자처럼 꾸며 주어서 아동의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 준다.
10) 서고붕대 본뜨기
석고붕대 본뜨기는 신체인식, 창의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준비물로는 석고붕대,
물, 가위 등이 있다. 먼저 치료사는 3cm 정도로 석고붕대를 잘라 아동의 손에 올린
뒤 물을 묻혀 굳힌다. 약 5분 후 석고가 굳은 뒤 석고틀에서 손을 빼내어 완성한다.
추가적으로 파스넷이나 물감 등으로 채색한다.
11) 비눗물 거품놀이
비눗물 거품놀이는 아동과의 관계형성 및 거부감 감소, 흥미유발, 활동을 촉진시
키는 데 도움을 주며, 준비물로는 깊이가 있는 쟁반, 비눗물, 빨대 등이 있다. 치료
사는 아동 앞에 쟁반을 놓아 주고 적당량의 비눗물을 부어준다. 치료사는 "00야,
우리 비누거품을 내보자."라고 말하며 손으로 비눗물을 문질러 거품을 내는 것을
보여준다. 치료사는 아동과 함께 손으로 거품을 낸다. 아동에 따라서 손으로 문지
르는 것을 싫어한다면 빨대를 이용하여 불기를 하여도 무방하다.
* 물감, 물풀, 종이죽 등을 첨가하여 핑거페인팅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12) 도장찍기
도장찍기는 아동과의 관계형성 및 매체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는 데 도움을 주
며, 준비물로는 다양한 크기의 도화지, 여러 가지 모양의 도장, 스템프 등이 있다.
치료사는 도화지와 여러 가지 모양의 도장, 스탬프를 제시한 뒤 도화지에 도장을
찍는 것을 보여주며, 아동이 도장을 도화지 전체에 자유롭게 찍도록 한다. 만일 아
동이 망설이거나 활발하게 하지 못할 때는 치료사가 모델링을 해서 아동의 활동이
적극적으로 되도록 유도한다.
* 아동의 상태에 따라 종이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도장을 연결해서 찍어 특정한 형태(예, 집, 꽃, 사과 등)를 만들어도 좋다.
13) 종이찢기
종이찢기는 아동과의 관계형성 및 거부감 감소, 흥미유발, 활동의 촉진, 욕구표
출에 도움을 주며, 준비물로는 다양한 크기의 도화지, 다양한 두께의 종이, 풀 등이
있다. 치료사는 먼저 종이를 펄는 것을 보여주어 아동의 흥미를 유발시킨다. 다 릿
고 나서 뭉치거나 도화지에 풀로 자유롭게 붙이기를 한다.
* 아동에 따라서 찢는 활동을 거부하면서 안할 수 있으나 치료사의 모델링에 의해서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손에 힘이 잘 안 들어가는 무기력한 아동은 崙은 종이에서부터 찢으면서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도록 두꺼운 종이로 점차 바꾸어 가면서 실시할 수 있다. 종이는 다양하게 준비하여 아동이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예, 꽃종이, 한지, 신문지, 주름지. 골판지. 상자 등).
14) 스터커 붙이기
스티커 붙이기는 아동과의 관계형성 및 거부감 감소, 흥미유발, 활동을 촉진시키
는 데 도움을 주며, 준비물로는 다양한 크기의 도화지, 다양한 모양의 스티커, 크레
파스, 스티커 붙일 밑그림이 있는 용지 등이 있다. 치료사는 도화지나 여러 가지
스터커를 제시한 뒤 종이에 붙이는 것을 보여주고, 아동이 도화지 전체에 자유롭게
붙이도록 촉구해 준다. 아동의 상태에 따라 종이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도
화지에 미리 동그라미로 사물의 형태를 그려둔 후 동그라미 안에 스티커를 붙여 모
양을 만들어도 좋으며, 아동이 스스로 어떤 모양을 그린 후 그 안에 붙이는 것으로
응용하여도 좋다. 아동이 원하는 대로 하게 해 주는 것에 의미가 있다.
15) 사포 협동화
미리 연결해 둔 사포에 하나의 그림을 그리고 집단원들이 각각 1장씩 나누어 가
진 후 그 속에 하나의 개별 그림을 완성하는 방법이다. 이때 자극도형을 응용하여
그릴 수도 있고 무시할 수도 있다. 그림을 완성 후 퍼즐을 맞추듯이 하나씩 맞추어
나간다. 이 기법은 아동 및 청소년, 성인 및 노인 미술치료기법의 하나로 초기 미
술치교 도입과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 밖의 호일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는 협동화기범 등도 미술치료기법으로 많
이 활용되고 있다.
장애청소년집단의 사포협동화.
* 참고문헌
- 이근매. 정광조(2005). 미술치료개론. 서울: 학지사
- 이광미(1996). 시각예술의 이해. 서울: 지구문화사
- 정신세계사 편집부(2003). 예술치유. 서울: 정신세계사
- 최선남 외(2007). 집단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 정현희(2006). 실제적용중심의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 한국미술치료학회(1997).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대구: 동화문화사
- 강길전(2002). 양자의학. 서울: 미내사클럽
추천자료
음식물쓰레기의 발생현황 및 처리방안에 대한 연구
우리나라 FTA현황과 추진배경 및 대응방안
다문화가정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과 해결방안
한국 가족문제 분석과 해결적 가족복지 방안
장애인 특수교육 현황 및 문제점진단과 개선방안
국내외 의료관광의 현황 및 사례와 국내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
[사회복지전달체계] 사회복지전달체계의 현황 및 개선방안
[보육정책] 보육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국내외 실버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및 방안 분석
[학교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정리 자료
청년실업 현황 및 대책
아동비만의 원인, 요인, 현황, 문제점, 해결방안, 나의 의견
[보육학개론] 장애아 보육 확충방안 - 통합교육을 중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