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동적 가족화(KFD)
Ⅰ. 실시방법
Ⅱ. 동적 가족화의 해석
1. 전체 인상
2. 인물상
3. 행위의 종류
4. 양식
5. 상징
6. 기타 특징
* 참고문헌
Ⅰ. 실시방법
Ⅱ. 동적 가족화의 해석
1. 전체 인상
2. 인물상
3. 행위의 종류
4. 양식
5. 상징
6. 기타 특징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감정적 태도를 갖지 못할 때, 가족원 혹은 자기 자신을 닫아
버리는 양식이다.
* 가장자리 : 인물상을 용지의 주변에 나열해서 그리는 경우이다. 이 양식은 상당
히 방어적이며 문제의 핵심에서 좀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친밀한 관계
를 맺는 데 대한 강한 저항을 나타낸다.
* 인물하선 : 자신 혹은 특정 가족구성원에 대해서 불안감이 강한 경우에 그 인물
상의 아래에 선을 긋는 경우가 있다.
* 상부의 선 : 한 선 이상이 전체적 상단을 따라서 그려졌거나 인물상 위에 그려진
경우이다. 용지의 상부에 그린 선은 날카로운 불안 또는 산만한 걱정, 또는 공
포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 하부의 선 : 한 선 이상이 전체적 하단을 따라서 그려진 경우이다. 붕괴 직전에
놓여 있는 가정이라든가 강한 스트레스 하에 있는 아동이 안정을 강하게 필요
로 하고 또 구조 받고 싶은 욕구가 강할 때 나타낸다.
(5) 상 징
상징은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잘 그려지는 것은 다음과 같다(가
족미술치료, 1997).
공: 에너지, 힘 등
불: 화, 따뜻함(애정)에 대한욕구
빛 : 애정에 대한 욕구
전기 : 애정, 힘에 대한 욕구
A(성적을 나타내는) : 좋은 성적(Bums & Kaufman)
침대 : 성적 또는 억울함의 테마
자전거 : 남성성의 강조
빗자루 : 정리, 모친의 통제
나비 : 사랑, 아름다움, 영혼
고양이 : 모친과의 동일시에 의한 갈등
익살스러운 표현 : 열등감이 있는 아이의 표현
유아용 침대 : 갓난아기에게의 질투, 불안
진흙: 부정적 감정
드럼 : 분노
꽃: 사랑과 성장과정, 여성성, 소망.
쓰레기 : 가족에게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을 버린다.
다리미대 : X가 붙은 것은 모친에게의 갈등
줄넘기 : 포위로서도 사용된다.
연 : 도피와 자유
사다리 : 긴장이나 불안정
잔디 깎는 기계 : 자르는 것
나뭇잎 : 양육, 의존성
통나무: 남자다움의 과장
페인트 브러쉬 : 손의 연장, 벌을 준다.
바: 억울함, 스트레스
냉장고: 차가움, 그에 대한 억울 반응
스쿠버 다이빙 : 틀어박힘, 틀어박혀 사색함
뱀 : 남성
별 : 차가움, 슬픔, 억울한 반응
멈춤 표지 : 충동 통제의 시도
태양: 따뜻함, 수용
열차: 힘
수목: 나무그림의 해석과 같다. 벽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청소기 : 제어력, 빨아들이는 모친
물: 억울함
(6) 기라 특징
잘 나타나는 특징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내밀고 있는 팔: 환경의 통제, 청소 도구, 무기 등을 가지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높은 곳에 오르고 있는 인물: 지배적인 아동은 자기를 높은 곳에 그린다. 높
은 곳에 있는 인물은 다른 사람보다 힘이 있다. 현실적으로 힘이 있거나 또는
힘을 행사하고 싶은 소망을 나타낸다.
지우는 것: 지워진 그대로 그것에 대한 갈등이 있다. 몇 번이나 다시 그리는
것도 갈등이 있다.
HTP의 해석과 같다.
도화지의 뒤에 그리는 인물: 도화지의 뒤에 그려진 인물도 그리는 자에 의해
어떠한 갈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인물상 자체에도 왜곡이 있는 경우가 있다. 뒷모습 인물도 같은 의미가 있다.
매달리기 : 인물이 위험한 장소에 매달려 있는 것 같은 상태이다. 매달리고 있
는 인물은 긴장을 수반하고 있다. 넘어져 있는 상태도 긴장을 나타낸다.
신체 부분의 생략: 여러 가지 방법으로의 생략이 있다. 명확하게 왜곡되어 있
거나 생략되어 있을 때는 인물상의 생략의 해석과 같다.
인물상의 생략: 실제 가족의 인물이 겉과 어디에도 그려져 있지 않을 때는
그 인물에 대한 거부를 나타낸다. 새롭게 갓난아기가 태어났을 때에 생기기도
한다.
피카소 그림과 같은 눈: 다른 인물에 대한 경계나 관심, 양가적 감정이나 분
노가 있을 때 피카소 그림과 같은 눈이 그려진다.
회전한 인물: 회전하고 있는 인물은 다른 인물과 다르다고 하는 일을 강조하
고 있다. 물구나무서기하고 있는 인물도 같은 의미가 있다.
* 참고문헌
- 이근매. 정광조(2005). 미술치료개론. 서울: 학지사
- 이광미(1996). 시각예술의 이해. 서울: 지구문화사
- 정신세계사 편집부(2003). 예술치유. 서울: 정신세계사
- 최선남 외(2007). 집단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 정현희(2006). 실제적용중심의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 한국미술치료학회(1997).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대구: 동화문화사
- 강길전(2002). 양자의학. 서울: 미내사클럽
버리는 양식이다.
* 가장자리 : 인물상을 용지의 주변에 나열해서 그리는 경우이다. 이 양식은 상당
히 방어적이며 문제의 핵심에서 좀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친밀한 관계
를 맺는 데 대한 강한 저항을 나타낸다.
* 인물하선 : 자신 혹은 특정 가족구성원에 대해서 불안감이 강한 경우에 그 인물
상의 아래에 선을 긋는 경우가 있다.
* 상부의 선 : 한 선 이상이 전체적 상단을 따라서 그려졌거나 인물상 위에 그려진
경우이다. 용지의 상부에 그린 선은 날카로운 불안 또는 산만한 걱정, 또는 공
포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 하부의 선 : 한 선 이상이 전체적 하단을 따라서 그려진 경우이다. 붕괴 직전에
놓여 있는 가정이라든가 강한 스트레스 하에 있는 아동이 안정을 강하게 필요
로 하고 또 구조 받고 싶은 욕구가 강할 때 나타낸다.
(5) 상 징
상징은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잘 그려지는 것은 다음과 같다(가
족미술치료, 1997).
공: 에너지, 힘 등
불: 화, 따뜻함(애정)에 대한욕구
빛 : 애정에 대한 욕구
전기 : 애정, 힘에 대한 욕구
A(성적을 나타내는) : 좋은 성적(Bums & Kaufman)
침대 : 성적 또는 억울함의 테마
자전거 : 남성성의 강조
빗자루 : 정리, 모친의 통제
나비 : 사랑, 아름다움, 영혼
고양이 : 모친과의 동일시에 의한 갈등
익살스러운 표현 : 열등감이 있는 아이의 표현
유아용 침대 : 갓난아기에게의 질투, 불안
진흙: 부정적 감정
드럼 : 분노
꽃: 사랑과 성장과정, 여성성, 소망.
쓰레기 : 가족에게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을 버린다.
다리미대 : X가 붙은 것은 모친에게의 갈등
줄넘기 : 포위로서도 사용된다.
연 : 도피와 자유
사다리 : 긴장이나 불안정
잔디 깎는 기계 : 자르는 것
나뭇잎 : 양육, 의존성
통나무: 남자다움의 과장
페인트 브러쉬 : 손의 연장, 벌을 준다.
바: 억울함, 스트레스
냉장고: 차가움, 그에 대한 억울 반응
스쿠버 다이빙 : 틀어박힘, 틀어박혀 사색함
뱀 : 남성
별 : 차가움, 슬픔, 억울한 반응
멈춤 표지 : 충동 통제의 시도
태양: 따뜻함, 수용
열차: 힘
수목: 나무그림의 해석과 같다. 벽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청소기 : 제어력, 빨아들이는 모친
물: 억울함
(6) 기라 특징
잘 나타나는 특징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내밀고 있는 팔: 환경의 통제, 청소 도구, 무기 등을 가지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높은 곳에 오르고 있는 인물: 지배적인 아동은 자기를 높은 곳에 그린다. 높
은 곳에 있는 인물은 다른 사람보다 힘이 있다. 현실적으로 힘이 있거나 또는
힘을 행사하고 싶은 소망을 나타낸다.
지우는 것: 지워진 그대로 그것에 대한 갈등이 있다. 몇 번이나 다시 그리는
것도 갈등이 있다.
HTP의 해석과 같다.
도화지의 뒤에 그리는 인물: 도화지의 뒤에 그려진 인물도 그리는 자에 의해
어떠한 갈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인물상 자체에도 왜곡이 있는 경우가 있다. 뒷모습 인물도 같은 의미가 있다.
매달리기 : 인물이 위험한 장소에 매달려 있는 것 같은 상태이다. 매달리고 있
는 인물은 긴장을 수반하고 있다. 넘어져 있는 상태도 긴장을 나타낸다.
신체 부분의 생략: 여러 가지 방법으로의 생략이 있다. 명확하게 왜곡되어 있
거나 생략되어 있을 때는 인물상의 생략의 해석과 같다.
인물상의 생략: 실제 가족의 인물이 겉과 어디에도 그려져 있지 않을 때는
그 인물에 대한 거부를 나타낸다. 새롭게 갓난아기가 태어났을 때에 생기기도
한다.
피카소 그림과 같은 눈: 다른 인물에 대한 경계나 관심, 양가적 감정이나 분
노가 있을 때 피카소 그림과 같은 눈이 그려진다.
회전한 인물: 회전하고 있는 인물은 다른 인물과 다르다고 하는 일을 강조하
고 있다. 물구나무서기하고 있는 인물도 같은 의미가 있다.
* 참고문헌
- 이근매. 정광조(2005). 미술치료개론. 서울: 학지사
- 이광미(1996). 시각예술의 이해. 서울: 지구문화사
- 정신세계사 편집부(2003). 예술치유. 서울: 정신세계사
- 최선남 외(2007). 집단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 정현희(2006). 실제적용중심의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 한국미술치료학회(1997).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대구: 동화문화사
- 강길전(2002). 양자의학. 서울: 미내사클럽
추천자료
음식물쓰레기의 발생현황 및 처리방안에 대한 연구
우리나라 FTA현황과 추진배경 및 대응방안
다문화가정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과 해결방안
한국 가족문제 분석과 해결적 가족복지 방안
장애인 특수교육 현황 및 문제점진단과 개선방안
국내외 의료관광의 현황 및 사례와 국내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
[사회복지전달체계] 사회복지전달체계의 현황 및 개선방안
[보육정책] 보육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국내외 실버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및 방안 분석
[학교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정리 자료
청년실업 현황 및 대책
아동비만의 원인, 요인, 현황, 문제점, 해결방안, 나의 의견
[보육학개론] 장애아 보육 확충방안 - 통합교육을 중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