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 리더(젝웰치 SE사 전회장, 카를로스 곤 닛산자동차 사장, 거스히딩크 감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

Ⅰ. 젝웰치 GE사 전회장

1. 1-2등 전략
2. 세계화
3. 서비스화
4. 6시그마
5. e비즈니스

Ⅱ. 카를로스 곤 닛산자동차사 사장

Ⅲ. 거스히딩크 2002 한일월드컵팀 감독

1. 기본이 중요하다
2. 명성이 아닌 능력이다
3. 할 수 있다는 자신감
4. 신뢰와 격려
5. 글로벌화의 실천
6. 포기를 모르는 도전정신

본문내용

에 진출시킴으로써 그 약속을 지켰다.
그에게선 어떤 상황에서도 스스로를 분석하고, 대안을 찾아 목표를 이루어
내려는 치열함을 느낄 수 있었다.
글로벌비즈니스의 상황도 확실한 것은 거의 없다. 불확실하고 위험한 비즈
니스 상황에서도 자신감과 비전으로 도전하는 글로벌 리더의 개척자적 정신
과 노력은 글로벌기업의 좋은 성과를 내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하다.
(4) 신뢰와 격려
히딩크는 자신이 선발, 조련한 선수에 대한 전폭적인 신뢰와 격려를 보냈
고 그에 따라 선수들의 분발을 유도함으로써 매우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내었다.
여러 경기에서 우리는 지속적인 신뢰와 격려가 어떠한 결과를 이끌어
냈는지 잘 보았다. 이을용과 안정환이 페널티킥에서 실축하였다고 해서 바로
'죄값'을 물어 다른 선수로 교체했다면 이을용의 어시스트도, 안정환의 골든
골도, 8강전의 승부차기 결과도 달라졌을 것이다.
글로벌비즈니스리더를 개발, 육성하는 경우 이러한 원칙은 특히 중요한데
아직 조련 중에 있는 초보경영자는 언제든 실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그가 제대로 성장할 경우 그 실수를 훨씬 크게 보상하는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가능성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5) 글로벌화의 실천
히딩크는 벽안의 외국감독이다. 아시아 축구의 맹주를 자처하던 한국 축구
에는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었다. 민족의 동질성을 유난히 강조하는 한국민으
로서는 유럽인을 감독으로 맞아들이는 게 쉬운 일은 아니었다. 그래서 히딩
크와 한국민이 일체감을 느끼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렀고, 고통도 따랐다.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갈등이나 외국인에 대한 경계심은 히딩크의 입지를
즘게 만들기도 했다. 그러나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한국대표팀 감독 그 누구도 이뤄내지 못했고, 감히 생각하지도 못했던 자리에 한국대표팀은 올랐다. 편협한 내셔널리즘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한국민들은 깨달았다.
글로벌리더의 등용과 관리도 이러한 개방된 마인드에서 이뤄져야 한다. 본
사국적의 인원이라고 해서 보다 혜택을 받는다거나 현지국 인원이라고 해서
불이익을 받는 식의 구별은 글로벌 기업의 미래를 위해 독이 되는 행동이다.
이제 피부색깔과 국적, 언어의 경계를 초월해서 유능한 인원이 적합한 자리
에 배치되는 바야흐로 무국적인원관리가 필요한 것이다.
(6) 포기를 모르는 도전정신
히딩크호의 승승장구는 전 한국민을 이번 월드컵에서 하나가 되게 했다.
한국팀을 응원하는 것만으로 한마음이 된 것은 아니다. 가슴뭉클한 감동이
경기마다 배어있었다. 경기종료 직전 동점골을 터뜨리고, 연장전이 끝나갈
무렵 골든 골을 넣는 투지, 지치고 아픈 몸으로 혼신의 힘을 다하는 불굴의
정신 등등 선수들의 움직임 하나하나는 감동을 자아냈다.
그 감동의 이면에는 포기를 모르는 히딩크의 도전정신이 숨어있다. 수세에
몰리면 공격을 더욱 강화하는 모험심을 보여졌고, 끝까지 사력을 다해 뛰면
서 결과에 관계없이 그 과정을 즐기도록 요구했다. 그는 '냉혹한 휴머니스트'
였다.
그는 결과만이 아니라 목표에 도달하는 과정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줬다.
불확실한 글로벌비즈니스의 세계는 아주 조그만 가능성과 확률이라도 비
전을 가지고 끝까지 최선을 다해서 노력하는 자가 남보다 나은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을 알려준다.
이처럼 명예국민으로 그리고 명예박사 학위 그리고 충분한 경제적 보상으
로 한국민의 사랑을 받던 히딩크는 가장 화려할 때에 돌연 한국을 떠나기로
해서 섭섭함과 경탄을 아울러 받고 있다. 그는 영광의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을 찾아 떠나는 투철한 기업가 정신을 또다시 스스로 실천할 것
이다. 그는 한국대표팀 대신 네덜란드의 PVS아인트호벤팀을 택함으로써 끝
없는 도전을 시도하고 있다.
마음만 먹는다면 그는 한국에 남아 영웅 대접을 받으며 당분간 안락한 삶
을 누릴 수 있었다. 그러나 그는 "남아달라"는 요청에도 불구하고 선뜻 자리
를 내봤다.
한 가지 성과에 만족해 자만심에 빠지는 건 성공한 최고경영자(CEO)가 극
도로 경계해야 할 일이다. 나태해지기 때문이다. 히딩크는 한국을 떠남으로
써 이 같은 나태함의 유혹에서 벗어났다. 잘 한 일이다. 아마도 그는 한국에
서더 이상 이를 일이 없다는 걸 깨달았을 것이다. 그럴 바에야 자신의 '신화
이미지를 고스란히 남겨둔 채 한국을 떠나는 것이 본인에게도 좋고 한국인에게도 좋다는 판단을 내렸음직하다. 신화는 짧고 굵을수록 좋다. 영광의 순간에 질질 얽매이는 순간 신화에 핀 거품이 드러나기 마련이다.
We love You, Hidink!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8.17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56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