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 성과관리(BSC의 정의 및 등장배경, 절차)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전략적 성과관리

Ⅰ. BSC의 정의 및 등장배경

Ⅱ. BSC 구축절차

1. 전략체계도 도출
1) 미션, 비전 및 전략리뷰
2) 관점 검토
3) 전략체계도 작성
2. 주요성과지표(KPI) 설정
1) 예비 성과지표 도출단계
2) 성과지표 검증단계
3) 최종 성과지표 선정단계
3. 성과관리 운영 프로세스의 설계

본문내용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형태로 구성하여야 한다.
성과지표 도출 과정에서는 가급적 현장 실무자가 많이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왜냐하면 현장 실무자가 참여하는 경우 지표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조직원에
대한 교육 및 학습이 이루어짐으로써 조직역량을 강화할 수 있고, 전체 구성원의
수용도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최종 성과지표를 선정하기까지 다음과 같이 3
단계를 거쳐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예비 성과지표 도출단계
조직전체 및 부서단위 workshop을 통해 전사에서 개인단위까지 단계적으로
성과지표를 발굴하고 개발하도록 하여 핵심성공요인(CSF)과 주요성과지표(KPI)
초안을 도출한 후 태스크포스팀(TFT)에서 검토 및 보완작업을 마무리하여 예비
성과지표 pool을 구성한다.
2. 성과지표 검증단계
태스크포스팀에서 마련한 예비성과지표에 대하여 전 부서에 검증 요청을 실시
한다.
3. 최종 성과지표 선정단계
검중단계를 토대로 지표를 수정하고 새로이 선정하여 성과지표 총괄표를 작성
한 후 성과지표에 대한 가중치, 산식 및 착안점 등 정의서를 작성하여 최종적으로
선정한다.
(3) 성과관리 운영 프로세스의 설계
성과관리 운영 프로세스의 설계단계에서는 성과목표의 수립 및 성과관리 운영
방안에 대한 체계적인 프로세스 및 원칙을 확립하는 단계이다. 성과목표는 기설
정된 주요성과지표의 속성을 파악하여 지표별 성과산식이나 주요활동기준을 정
하게 되며, 성과목표가 확정이 되면 성과목표달성을 위한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장애요인을 파악하며, 성과달성이 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기 위한 방안을
설계하게 된다.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8.17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57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