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성과평가의 오류와 효과적인 성과평가방안
Ⅰ. 성과평가의 오류
1. 관대화오류
2. 후광오류
3. 유사성오류
4. 낮은 평가자의 동기부여
5. 중심화경향
6. 평가점수의 상향압력
7. 부적절한 성과의 대용/대체
8. 귀인이론
Ⅱ. 효과적인 성과평가방안
1. 행동기준측정
2. 상대적 기준과 절대적 기준의 조합
3. 지속적인 피드백
4. 복수의 평가자
1) 동료평가
2) 360도평가
5. 선택적 평가
6. 훈련된 평가자에 의한 평가
7. 정확한 평가자에 대한 보상
Ⅰ. 성과평가의 오류
1. 관대화오류
2. 후광오류
3. 유사성오류
4. 낮은 평가자의 동기부여
5. 중심화경향
6. 평가점수의 상향압력
7. 부적절한 성과의 대용/대체
8. 귀인이론
Ⅱ. 효과적인 성과평가방안
1. 행동기준측정
2. 상대적 기준과 절대적 기준의 조합
3. 지속적인 피드백
4. 복수의 평가자
1) 동료평가
2) 360도평가
5. 선택적 평가
6. 훈련된 평가자에 의한 평가
7. 정확한 평가자에 대한 보상
본문내용
최소화시키면서 종업원 간의 경계와 증오심을
배제시킬 수 있는 훈련프로그램을 개발시켜야 한다.
(2) 360도평가
360도평가(360-degree appraisals)는 본인, 상사, 동료, 팀구성원, 고객, 공급자
등과 같은 복수인으로부터 성과에 대한 피드백을 얻으려고 평가하는 방법이다.
성과평가시스템은 전통적인 방법보다 혁신과 창조적 아이디어를 통해 방법론을
개발하여야 한다. 특히 평가자 차원별로 광범위한 사람들의 지식과 경험을 종합
적으로 평가에 이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5) 선택적 평가
선택적 평가(selective rating)는 조직 내에서 평가자의 위치와 자격, 대상, 특성
등을 고려하여 평가자를 선택하여 평가업무를 맡기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평가
자별로 특성과 위치, 자격, 대상 및 특성이 각각 다르고, 정확한 평가와 상관관계
가 있으며, 또 어떤 특성은 부정확한 평가와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타당성이 인정된다. 따라서 개발프로그램의 창조적 아이디어를 기초로 선택적 평
가방법을 조직특성과 직무에 일치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6) 훈련된 평가자에 의한 평가
훈련된 평가자(trained appraisers)에 의한 평가는 정확성과 왜곡요소의 배제,
그리고 창조적 프로그램의 개발이 용이하다. 평가시스템의 창조적 개발을 위해
훈련된 전문인력을 선발해야 한다. 그러나 전문인력이라고 해도 조직별 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조직적 전문가의 훈련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물론 프로그
램개발에 대한 초점은 종업원의 사기를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능력
자를 우대하는 관점으로 창의성을 보여야 할 것이다.
7) 정확한 평가자에 대한 보상
개인별 또는 팀별 성과평가의 결과는 개인이나 해당 팀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
친다. 평가결과는 정확한 평가자에 대한 보상(reward for accurate appraisers)으
로 바뀌고, 보상은 노동생산성을 유인하는 요소로 작용하여야 한다. 정확한 평가
와 정당한 보상은 업무성과 증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평가시스템의 설계
와 운영에 과학적이고 계량적인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조직에서 평가자가 불
량한 업무성과를 낸 사람에게 유리하게 성과평가를 하게 되면 결국 평가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은 정확한 평가 방법과 효
율적인 시스템을 운영한 사람을 격려하고 보상함으로써 해결하는 제도적 개발이
요망된다.
배제시킬 수 있는 훈련프로그램을 개발시켜야 한다.
(2) 360도평가
360도평가(360-degree appraisals)는 본인, 상사, 동료, 팀구성원, 고객, 공급자
등과 같은 복수인으로부터 성과에 대한 피드백을 얻으려고 평가하는 방법이다.
성과평가시스템은 전통적인 방법보다 혁신과 창조적 아이디어를 통해 방법론을
개발하여야 한다. 특히 평가자 차원별로 광범위한 사람들의 지식과 경험을 종합
적으로 평가에 이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5) 선택적 평가
선택적 평가(selective rating)는 조직 내에서 평가자의 위치와 자격, 대상, 특성
등을 고려하여 평가자를 선택하여 평가업무를 맡기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평가
자별로 특성과 위치, 자격, 대상 및 특성이 각각 다르고, 정확한 평가와 상관관계
가 있으며, 또 어떤 특성은 부정확한 평가와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타당성이 인정된다. 따라서 개발프로그램의 창조적 아이디어를 기초로 선택적 평
가방법을 조직특성과 직무에 일치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6) 훈련된 평가자에 의한 평가
훈련된 평가자(trained appraisers)에 의한 평가는 정확성과 왜곡요소의 배제,
그리고 창조적 프로그램의 개발이 용이하다. 평가시스템의 창조적 개발을 위해
훈련된 전문인력을 선발해야 한다. 그러나 전문인력이라고 해도 조직별 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조직적 전문가의 훈련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물론 프로그
램개발에 대한 초점은 종업원의 사기를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능력
자를 우대하는 관점으로 창의성을 보여야 할 것이다.
7) 정확한 평가자에 대한 보상
개인별 또는 팀별 성과평가의 결과는 개인이나 해당 팀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
친다. 평가결과는 정확한 평가자에 대한 보상(reward for accurate appraisers)으
로 바뀌고, 보상은 노동생산성을 유인하는 요소로 작용하여야 한다. 정확한 평가
와 정당한 보상은 업무성과 증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평가시스템의 설계
와 운영에 과학적이고 계량적인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조직에서 평가자가 불
량한 업무성과를 낸 사람에게 유리하게 성과평가를 하게 되면 결국 평가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은 정확한 평가 방법과 효
율적인 시스템을 운영한 사람을 격려하고 보상함으로써 해결하는 제도적 개발이
요망된다.
추천자료
음식물쓰레기의 발생현황 및 처리방안에 대한 연구
우리나라 FTA현황과 추진배경 및 대응방안
다문화가정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과 해결방안
한국 가족문제 분석과 해결적 가족복지 방안
장애인 특수교육 현황 및 문제점진단과 개선방안
국내외 의료관광의 현황 및 사례와 국내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
[사회복지전달체계] 사회복지전달체계의 현황 및 개선방안
[보육정책] 보육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국내외 실버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및 방안 분석
[학교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정리 자료
청년실업 현황 및 대책
아동비만의 원인, 요인, 현황, 문제점, 해결방안, 나의 의견
[보육학개론] 장애아 보육 확충방안 - 통합교육을 중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