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집-나무-사람 검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통합 집-나무-사람 검사

Ⅰ. S-HTP의 실시방법

Ⅱ. S-HTP의 해석

1. 전체적 평가 - 통합성
2. 사람의 평가 - 인원수와 크기
3. 집의 평가 - 크기, 안정감, 벽
4. 나무의 평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여러 가지 해석을 할 수 있는 움직임을 볼 수 있을 때는 질문을 해 화인한
다. 그 움직임이 심리적 상황이나 소망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도 있다 S-HTP에
서는 간략화가 일어나기 쉬운데 이는 방어적 태도를 나타내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3) 집의 평가-크기, 안정감, 벽
집은 가족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초등학생에서는 집이 크게 그려지는 것이 많다.
안정감이 없는 집은 가족관계의 불안정함이나 내적 불안정성을 나타낸다. 벽의 면
수는 발달과 관계가 있다.
* 문, 창문, 지붕 : 문은 외계와의 교류, 적극적인 인간관계에의 태도를 나타낸다.
창은 간접적인 교류와 수동적인 외계와의 접촉방법을 나타낸다. 초등학생 이하
에서는 생략되기도 한다. 지붕은 정신성이나 공상을 상징하고 있다. 그 외 굴뚝
이나 커튼이 그려지는 것이 많다.
(4) 나무의 평가
S-HTP에서는 나무는 복수로 그려지는 경우도 많다. 이 경우는 각각의 나무는 간
략화된다. 복수의 경우는 세부의 분석보다 전체적 평가가 중심이 된다. 풍부함, 자
연스러움 등을 본다. 각각의 평가는 바움검사의 평가에 준한다.
* 참고문헌
- 이근매. 정광조(2005). 미술치료개론. 서울: 학지사
- 이광미(1996). 시각예술의 이해. 서울: 지구문화사
- 정신세계사 편집부(2003). 예술치유. 서울: 정신세계사
- 최선남 외(2007). 집단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 정현희(2006). 실제적용중심의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 한국미술치료학회(1997).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대구: 동화문화사
- 강길전(2002). 양자의학. 서울: 미내사클럽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8.17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58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