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북한의 인권 실상
Q북한에서는 사형을 할 때 공개처형을 한다고 들었는데, 구체적인 사례를 알고 싶다
北, ‘생계형 탈북자’ 처벌 완화 (04.09.09)
KAL기 납치사건
서독에서 납치된 유성근일가
고상문씨 노르웨이에서 납북
김영남 납치
국내에 거주하며 생업, 학업에 종사하고 있는 이들의 납치
Q북한에서는 사형을 할 때 공개처형을 한다고 들었는데, 구체적인 사례를 알고 싶다
北, ‘생계형 탈북자’ 처벌 완화 (04.09.09)
KAL기 납치사건
서독에서 납치된 유성근일가
고상문씨 노르웨이에서 납북
김영남 납치
국내에 거주하며 생업, 학업에 종사하고 있는 이들의 납치
본문내용
현재 북한 내에 존재하는 정치범 수용소는 함경북도 청진에 있는 25호 관리소, 함경북도 회령에 있는 22호 관리소, 함경북도 화성에 있는 16호 관리소, 함경남도 요덕(혁명화구역)에 있는 15호 관리소, 평안남도 개천에 있는 14호 관리소 등 총 5개 소가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이다. 완전통제구역은 종신수용소로서 일단 수감되면 다시는 나올 수 없다. 혁명화구역은 일정기간 경과 후 심사결과에 따라 출소가 가능한 수용소다.
초기 수용소 수감 대상은 친일파, 종교인 및 월남자 가족 가운데 북한 체제를 비판하고 자유세계를 동경, 찬양한 이들이 대부분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김일성 우상화 강화과정에서 수용대상이 증가하였다. 90년대 후반 들어 식량난이 심화되면서 탈북자들이 증가하자 중국으로부터 압송되는 탈북자 가운데 기독교를 믿었거나 남한으로 망명하려고 했던 자들이 대거 수용소로 수감되어 있다.
초기 수용소 수감 대상은 친일파, 종교인 및 월남자 가족 가운데 북한 체제를 비판하고 자유세계를 동경, 찬양한 이들이 대부분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김일성 우상화 강화과정에서 수용대상이 증가하였다. 90년대 후반 들어 식량난이 심화되면서 탈북자들이 증가하자 중국으로부터 압송되는 탈북자 가운데 기독교를 믿었거나 남한으로 망명하려고 했던 자들이 대거 수용소로 수감되어 있다.
추천자료
탈북자들에 국제적 보호를 위한 방안
[탈북자][새터민]탈북자(북한이탈주민, 새터민)문제의 실태와 탈북자(북한이탈주민, 새터민)...
[북한][북한정치][북한의 정치][주체사상][북한 주체사상]북한의 정치조직, 북한의 정치과정,...
[북한환경문제][환경법][북한환경정책 방향][북한환경정책 제언]북한환경문제와 환경법, 북한...
[북한][현재 남북관계][남북현안문제][북한 대외정책][남북화해협력정책 평가][북한 변화 전...
북한이탈주민(탈북자)의 정의, 발생배경과 북한이탈주민(탈북자)의 탈북경로, 북한이탈주민(...
[북한][북한사회][북한계급정책][북한경제정책][북한군사정책][북한외교정책][북한사회전망]...
체계가 다른 남한과 북한의 보육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서술
북한 인권(핵) 문제, 해법은 무엇인가?
북한이탈주민의 법적지위
북한농업- 북한의 식량수급사정
[개방화][정상화][행형][탈시설화][북한][중국][개방화시대][행형법][인권개선][세계화][굽핍...
남북통일의 과제-시민사회의 역할,남북 통일의 장애요인,북한 체제 변화,한민족 공동체 통일...
북한의 정치와 경제,인도주의적 개입론과 R2P,리비아 문제와 인권,민주평화론과 인권 문제,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