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 프래그머티즘(Pragmatism)과 교육
가. 프래그머티즘이란 무엇인가?
나. John Dewey(1859-1952)의 생애와 저작
다. Dewey의 교육사상
라.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가. 프래그머티즘이란 무엇인가?
나. John Dewey(1859-1952)의 생애와 저작
다. Dewey의 교육사상
라.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본문내용
☞즉 흥미가 학습의 원동력이고 동기가 되어야 함
(“아동은 태양, 그 밖의 것은 행성”)
-흥미에 따라 행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져야
☞learning by doing!!! (not learning by listening or not learning by sitting)
-반성적 사고에 의한 문제 해결 학습법
->다른 여러 가지 문제 상황에도 적용할 수 있는 전이성이 높다
6) 교사론
-학생이 바람직한 지적, 정서적 성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자극하는 역할. 즉 학습 상황을 통제하기 보다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자의 역할.
->그러기 위해 교사는
-교사는 “적절한 사회질서를 유지하고 올바른 사회의 성장을 도모하는 특별한 일 을 담당하는 사회적 공복”
라.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1) 의의
-교육을 경험의 재구성과정으로 봄으로써 교육 개념의 외연 확대
-교육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진화론적, 낙관적 교육이론
-학교는 민주주의 훈련장
-아동의 활동과 경험 중심의 교육방법 강조
2) 한계
-기본적인 가치, 지식을 철저히 가르치지 못함
-불변의 가치나 지식은 없는가?
-낙관적, 진화론적 교육관의 한계
-도구주의적 교육관의 부작용
(“아동은 태양, 그 밖의 것은 행성”)
-흥미에 따라 행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져야
☞learning by doing!!! (not learning by listening or not learning by sitting)
-반성적 사고에 의한 문제 해결 학습법
->다른 여러 가지 문제 상황에도 적용할 수 있는 전이성이 높다
6) 교사론
-학생이 바람직한 지적, 정서적 성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자극하는 역할. 즉 학습 상황을 통제하기 보다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자의 역할.
->그러기 위해 교사는
-교사는 “적절한 사회질서를 유지하고 올바른 사회의 성장을 도모하는 특별한 일 을 담당하는 사회적 공복”
라.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1) 의의
-교육을 경험의 재구성과정으로 봄으로써 교육 개념의 외연 확대
-교육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진화론적, 낙관적 교육이론
-학교는 민주주의 훈련장
-아동의 활동과 경험 중심의 교육방법 강조
2) 한계
-기본적인 가치, 지식을 철저히 가르치지 못함
-불변의 가치나 지식은 없는가?
-낙관적, 진화론적 교육관의 한계
-도구주의적 교육관의 부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