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치료적/비치료적 커뮤니케이션 기법
1. 치료적 커뮤니케이션 기법
2. 비치료적 커뮤니케이션 기법
1. 치료적 커뮤니케이션 기법
2. 비치료적 커뮤니케이션 기법
본문내용
안 된다.
병이 없다면서 왜 퇴원을 못합니까?
8) 방어(defending)
방어는 적대적이고 공격적이며, 남의 이야기를 듣지 않고, 마치 자신이 공격받고 있을 때처럼 반응하는 것을 말한다. 대상자 또는 가족들이 병원 직원이나 기관에 대해 하는 말에 간호사는 방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말에 간호사가 방어하면 대상자는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없게 된다. 간호사가 대상자를 진심으로 받아들이고 이해한다면 방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며 인간으로서 편안하게 대상자를 대할 수 있게 된다.
저는 6년 동안 이 병원에서 근무해 왔지만 우리 병원 의료진만큼 수준 높은 병원도 없을 거예요.
여기서는 아무도 당신에게 거짓말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9) 문자적 반응(giving literal response)
문자적 반응은 대상자가 이야기하는 뜻을 생각하지 않고 한 말 그대로를 받아들여 대답해주는 것을 말한다. 때로 대상자는 자기의 느낌을 직접 표현하기보다 어떤 상징을 사용하거나 숨겨진 의미가 있는 말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말 그대로의 반응을 하면 대상자는 간호사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대상자의 말보다는 느낌에 반응해야 한다.
어떻게 제가 조울증 대상자입니까?
○○○님은 조울증 대상자가 맞습니다.
10) 부정(denial)
대상자에게 문제가 있는 것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 것이다. 간호사는 음성의 고저 또는 얼굴 표정으로 대상자에게 문제가 없다고 부인함으로써 대상자와의 대화가 끊기게 되고 대상자의 어려움을 도와줄 수 없게 된다.
나는 보잘 것 없는 존재예요.
그럴 리 없어요. 인간은 누구나 쓸모 있는 존재예요.
11) 주제 바꾸기(changing topics)
주제 바꾸기는 간호사가 대상자와 말하는 도중 대상자가 이야기하고 있던 내용과는 전혀 다른 주제의 이야기를 꺼내는 것이다. 이것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고통스러운 감정을 듣고 싶지 않아 중요한 때에 대화의 초점을 돌리는 것이다. 또한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기도 하다. 간호사가 이야기의 주제를 바꾼다든지 다른 제목의 주제를 준다는 것은 대상자의 발언권을 빼앗는 것과 다름이 없으므로 대상자의 요구대로 대화를 진행시키는 것이 좋다. 만약 간호사 자신이 불안해지거나 어려울 때는 대화를 중단하는 것이 좋다.
나는 죽고 싶어요.
오늘 누가 면회를 오셨나요?
12) 시험(trial)
시험이란 대상자의 지각 정도를 알기 위해 간호사가 마치 시험하듯이 대상자를 대하는 것이며, 이러한 것은 대상자의 자존감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게 뭔지 알아요?
내가 누구죠?
13) 상투적 반응(stereotyped response)
상투적 반응은 대상자의 질문에 대하여 의미 없고 판에 박힌 듯한 진부한 대답으로 성의 없게 반응하는 것이다. 이러한 반응은 대상자의 개별성을 무시하고 모두 같은 사람으로 취급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당신은 오늘 활기 있어 보입니다.
참고문헌
한금선 외(2010). 의사소통과 인간관계론. 고문사.
병이 없다면서 왜 퇴원을 못합니까?
8) 방어(defending)
방어는 적대적이고 공격적이며, 남의 이야기를 듣지 않고, 마치 자신이 공격받고 있을 때처럼 반응하는 것을 말한다. 대상자 또는 가족들이 병원 직원이나 기관에 대해 하는 말에 간호사는 방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말에 간호사가 방어하면 대상자는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없게 된다. 간호사가 대상자를 진심으로 받아들이고 이해한다면 방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며 인간으로서 편안하게 대상자를 대할 수 있게 된다.
저는 6년 동안 이 병원에서 근무해 왔지만 우리 병원 의료진만큼 수준 높은 병원도 없을 거예요.
여기서는 아무도 당신에게 거짓말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9) 문자적 반응(giving literal response)
문자적 반응은 대상자가 이야기하는 뜻을 생각하지 않고 한 말 그대로를 받아들여 대답해주는 것을 말한다. 때로 대상자는 자기의 느낌을 직접 표현하기보다 어떤 상징을 사용하거나 숨겨진 의미가 있는 말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말 그대로의 반응을 하면 대상자는 간호사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대상자의 말보다는 느낌에 반응해야 한다.
어떻게 제가 조울증 대상자입니까?
○○○님은 조울증 대상자가 맞습니다.
10) 부정(denial)
대상자에게 문제가 있는 것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 것이다. 간호사는 음성의 고저 또는 얼굴 표정으로 대상자에게 문제가 없다고 부인함으로써 대상자와의 대화가 끊기게 되고 대상자의 어려움을 도와줄 수 없게 된다.
나는 보잘 것 없는 존재예요.
그럴 리 없어요. 인간은 누구나 쓸모 있는 존재예요.
11) 주제 바꾸기(changing topics)
주제 바꾸기는 간호사가 대상자와 말하는 도중 대상자가 이야기하고 있던 내용과는 전혀 다른 주제의 이야기를 꺼내는 것이다. 이것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고통스러운 감정을 듣고 싶지 않아 중요한 때에 대화의 초점을 돌리는 것이다. 또한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기도 하다. 간호사가 이야기의 주제를 바꾼다든지 다른 제목의 주제를 준다는 것은 대상자의 발언권을 빼앗는 것과 다름이 없으므로 대상자의 요구대로 대화를 진행시키는 것이 좋다. 만약 간호사 자신이 불안해지거나 어려울 때는 대화를 중단하는 것이 좋다.
나는 죽고 싶어요.
오늘 누가 면회를 오셨나요?
12) 시험(trial)
시험이란 대상자의 지각 정도를 알기 위해 간호사가 마치 시험하듯이 대상자를 대하는 것이며, 이러한 것은 대상자의 자존감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게 뭔지 알아요?
내가 누구죠?
13) 상투적 반응(stereotyped response)
상투적 반응은 대상자의 질문에 대하여 의미 없고 판에 박힌 듯한 진부한 대답으로 성의 없게 반응하는 것이다. 이러한 반응은 대상자의 개별성을 무시하고 모두 같은 사람으로 취급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당신은 오늘 활기 있어 보입니다.
참고문헌
한금선 외(2010). 의사소통과 인간관계론. 고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정신분열증 -case study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적 접근
초기상담과 상담관계 조성방법
정신간호 실습 대화기록지입니다.
여가(레크레이션)의 치료적 기능과 여가(레크레이션)요법
정신케이스. 양극성 정감장애(조울증 = bipolar disorder).
정신분열증 케이스 스터디
집단역동성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치료적 효과
[정신간호학]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케이스 스터디
양극성장애 2형 (양극성 장애 & 알코올 중독) 케이스 스터디
우리나라의 사회문제 중 하나인 이혼률 증가에 대한 대안에 대하여 가족상담 및 치료적인 관...
[놀이치료] 놀이치료이론, 놀이의 심리치료적 요소, 아동의 놀이치료 기본기법(놀이치료방법)
Schizophrenia 정신 분열증 정신간호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과정 포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