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테니스의 기원과 역사
2. 코트와 네트의 규격 및 명칭
3. 규칙
2. 코트와 네트의 규격 및 명칭
3. 규칙
본문내용
게임의 수에 따라 세트의 승부를 결정한다. 1세트를 6게임 선취로 승리, 또 이긴 세트수로 최종적인 승패가 결정된다. 3세트 매치라면 2세트, 5세트 매치라면 3세트 선취한 선수가 시합의 승자가 되는 것이다.
3) 듀스와 어드밴티지
포인트가 40:40이 되었을 때는 ‘듀스’라고 콜한다. 듀스 후는 2포인트를 연속으로 득점한 쪽이 이긴다. ‘어드밴티지’라는 것은 그 직적, 즉 듀스 후의 1포인트 때에 그 포인트를 득점한 선수의 이름을 붙여 콜된다. 상대가 점수를 만회하여 따라붙으면 다시 ‘듀스’가 된다.
세트의 승부를 결정하는 게임 카운트에서도 5대 5가 되었을 때는 그 후 2게임 연속 득점한 쪽이 이긴다. 6대 6이 되면 타이브레이크라는 방식이 이용된다. 단, 데이비스컵과 윔블던의 파이널 세트에서는 타이브레이크를 쓰지 않으며, 2게임 연속득점하지 않으면 승부가 결정되지 않는다.
(9) 타이브레이크
6게임 올이 되었을 때에 그 세트의 승자를 정하는 방식이다. 콜방법도 ‘0, 1, 2, ’와 같이 보통 숫자가 사용되며 상대에게 2포인트 이상의 차를 두고 7포인트 이상을 선취한 선수의 승리가 된다. 타이브레이크로 승부가 정해진 세트의 게임카운트는 7-6이다.
3) 듀스와 어드밴티지
포인트가 40:40이 되었을 때는 ‘듀스’라고 콜한다. 듀스 후는 2포인트를 연속으로 득점한 쪽이 이긴다. ‘어드밴티지’라는 것은 그 직적, 즉 듀스 후의 1포인트 때에 그 포인트를 득점한 선수의 이름을 붙여 콜된다. 상대가 점수를 만회하여 따라붙으면 다시 ‘듀스’가 된다.
세트의 승부를 결정하는 게임 카운트에서도 5대 5가 되었을 때는 그 후 2게임 연속 득점한 쪽이 이긴다. 6대 6이 되면 타이브레이크라는 방식이 이용된다. 단, 데이비스컵과 윔블던의 파이널 세트에서는 타이브레이크를 쓰지 않으며, 2게임 연속득점하지 않으면 승부가 결정되지 않는다.
(9) 타이브레이크
6게임 올이 되었을 때에 그 세트의 승자를 정하는 방식이다. 콜방법도 ‘0, 1, 2, ’와 같이 보통 숫자가 사용되며 상대에게 2포인트 이상의 차를 두고 7포인트 이상을 선취한 선수의 승리가 된다. 타이브레이크로 승부가 정해진 세트의 게임카운트는 7-6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