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본문내용
속악가사의 특성
▶ 악 : 음악 자체만이 아니고 춤, 놀이, 말로 된 노래 등을 두루 포괄하는 종합 공연물
아악 - 국가의 공식 행사 특히 천지신명이나 왕의 선조에 대한 제사를 지내면서 공연. 상층문화의 위엄을 구현
당악 - 잔치를 하면서 공연.
중국에서 들어옴.
▷ 속악 - 잔치를 하면서 공연. 민간전승. 향악.
- 당악정재에서 볼 수 있는 우아한 기풍과는 대조를 이루어 상스럽거나 음란하고, 하층의 생활감정을 그대로 나타냄.
- 상당수는 조선시대에 남녀상열지사로 지칭되어 배격의 대상이 됨
▷ 속악가사 - 속악의 노랫말
- 조선 초기 16세기 무렵에 편찬한 것으로 보이는 <악장가사>에 아악가사와 함께 수록 됨
- 국문 음이 달린 한문이거나 국문이며 고려시대부터 부르던 것들
- 장 또는 연이 나누어져 있고 여음이 개재된 형식이 대부분, 한 줄을 이루는 세 토막 ⇒ 민요의 특징
▶ 악 : 음악 자체만이 아니고 춤, 놀이, 말로 된 노래 등을 두루 포괄하는 종합 공연물
아악 - 국가의 공식 행사 특히 천지신명이나 왕의 선조에 대한 제사를 지내면서 공연. 상층문화의 위엄을 구현
당악 - 잔치를 하면서 공연.
중국에서 들어옴.
▷ 속악 - 잔치를 하면서 공연. 민간전승. 향악.
- 당악정재에서 볼 수 있는 우아한 기풍과는 대조를 이루어 상스럽거나 음란하고, 하층의 생활감정을 그대로 나타냄.
- 상당수는 조선시대에 남녀상열지사로 지칭되어 배격의 대상이 됨
▷ 속악가사 - 속악의 노랫말
- 조선 초기 16세기 무렵에 편찬한 것으로 보이는 <악장가사>에 아악가사와 함께 수록 됨
- 국문 음이 달린 한문이거나 국문이며 고려시대부터 부르던 것들
- 장 또는 연이 나누어져 있고 여음이 개재된 형식이 대부분, 한 줄을 이루는 세 토막 ⇒ 민요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