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 온라인교육)의 가치와 동향, 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 온라인교육) 패러다임과 구성주의, 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 온라인교육) 전망, 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 온라인교육) 사례와 관리방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 온라인교육)의 가치와 동향, 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 온라인교육) 패러다임과 구성주의, 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 온라인교육) 전망, 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 온라인교육) 사례와 관리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 온라인교육)의 가치

Ⅲ. 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 온라인교육)의 동향

Ⅳ. 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 온라인교육)의 패러다임

Ⅴ. 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 온라인교육)과 구성주의

Ⅵ. 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 온라인교육)의 전망

Ⅶ. 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 온라인교육)의 사례

Ⅷ. 사이버교육(인터넷교육, 온라인교육)의 관리 방향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 가상 교육을 통하여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실기 부분을 간과할 수는 없을 것이다. 외국에서는 이미 실기부분에 대한 컨텐츠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염두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교육 컨텐츠의 학습평가 측면을 살펴볼 때, 사이버 교육기관들은 과제 진행률, 전자우편을 통한 질문횟수, 자료실토론방 이용 횟수 등의 학습 참여율을 학습 평가지표로 개발하여 활용하는 추세이다. 이는 바람직한 발전 방향이라고 생각된다. 다만 학습자의 이들 평가 항목 및 지표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적절한 오리엔테이션이 주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평가에 학습자들 간의 동료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학습자들 간의 상호평가의 적극적 활용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학습결과물에 대한 평가가 교수자 1인에 의하여 좌우되는 것이 아닌, 학습자들 자신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다는 인식을 확산시킴으로써, 학습자들이 학습에 좀 더 능동적이며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Ⅸ. 결론
사이버공간은 현실공간과는 차별되는 ‘개방성’, ‘시공독립성’, ‘다중성’, ‘멀티미디어’, ‘문자기반’(적어도 현재까지는) 등의 독특하면서도 강력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속성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버교육은 개인 학습자가 자신에게 적절한 속도와 방법으로, 원하는 교육자료 및 정보를 언제 어디에서나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으며 공동체로서의 학습자들이 이러한 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교육 즉, 학습자 중심의 열린교육을 더욱 가능하게 해줄 잠재성을 보여주고 있다.
사이버교육은 다른 장소, 특히 원거리에 있는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문서정보, 음성정보, 혹은 시각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의사 및 정보교환은 거리와 시간의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각종 자료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사이버교육을 통해서는 동시적 혹은 비동시적인 의사소통이 모두 가능하며 특히 비동시적인 의사소통의 지원은 사용자들에게 보다 많은 융통성과 접근성이 가능하다. 사이버교육은 또한 거리상 떨어져 있는 사람들 사이에 신속하고 손쉬운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므로 이를 통한 상호작용적 학습은 비용효과적일 수 있다. 그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 다양한 상황을 제공하고 상이한 장소에 있는 사람들 간에 사회적 상호작용을 지원함으로써 대화를 고무시킨다. 사용자들이 상이한 여러 장소에서 온라인으로 광범위한 정보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사이버교육은 사용자가 물리적 교실에서라면 입수 불가능한 정보를 탐색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한다. 그러나 가장 큰 교육적 잠재력이라면 사용자들이 이동하는 대신에 정보와 아이디어가 사용자에게로 이동한다는 점을 들 수가 있다. 사이버교육 환경에서의 이런 정보의 이동은 상대적으로 경제적이고 손쉽기 때문에 오랫동안 뿌리박힌 문제로 남아 있던 교수자와 학습자의 사회와 업무현장으로부터의 고립 문제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박영식(2001) - 우리들이 만드는 건강한 인터넷, 정보통신윤리위원회 홍보팀
서대원 외(2003) - 교실수업-사이버학습 연계의 커뮤니티 기반 체험학습 사례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채연(1997) - 새로운 교육지평 사이버유니버시티, 버젼업, 1997 가을호, 토마토출판사
이정오(1998) - 교원 원격연수 현황과 운영 방안, 교원연수 창간호,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원연수원
임철일(2000) - 국내기업의 사이버 연수체제 구축방향, 인사관리
황상민·한규석(1999) - 사이버 공간의 심리, 인간적 정보화 사회를 위해서, 서울 : 박영사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9.0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9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