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수업][좋은수업의 지도방법][좋은수업의 사례]좋은수업의 정의, 좋은수업의 일반 특성, 좋은수업의 교사 특성, 좋은수업의 조건, 좋은수업의 지도방법, 좋은수업의 사례, 좋은수업을 위한 제언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좋은수업][좋은수업의 지도방법][좋은수업의 사례]좋은수업의 정의, 좋은수업의 일반 특성, 좋은수업의 교사 특성, 좋은수업의 조건, 좋은수업의 지도방법, 좋은수업의 사례, 좋은수업을 위한 제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좋은수업의 정의

Ⅲ. 좋은수업의 일반 특성

Ⅳ. 좋은수업의 교사 특성
1. 교수․학습과정에서 줄어드는 것들
2. 교수․학습과정에서 늘어나는 것들

Ⅴ. 좋은수업의 조건

Ⅵ. 좋은수업의 지도방법
1. 학생의 눈높이에 맞추어라
2. 우연한 기회를 포착하여 지도하라
3.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살려 쓰도록 하라
4. 도전적인 학습 의욕을 높여라
5. 항시 의문을 갖고 해결하도록 하라
6. 사고하도록 기다려주어라
7.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살려 쓰도록 하라
8. 스스로 알아내도록 이끌어라

Ⅶ. 좋은수업의 사례
1. 좋은 수업 사례 분석
2. 국어과의 좋은 수업 사례

Ⅷ. 좋은수업을 위한 제언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둔함을 동일시하지 말라.
10. 어렵게 준비하지 말라. 학생 수준이 낮으면 따라갈 수 없다.
11. 적당히 넘기지 말라, 하나의 잘못은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실수가 전혀 없는 것은 지루하다.
12. 새로운 용어나 개념은 반복하라. 사고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암시보다 실체가 중요하다.
13. 교수와 연기는 다르다. 교수는 주제 후에 대사가 따르고, 연기는 대사 후에 주재가 따른다.
14. 학생의 질문에 최선을 다해서 답하라. 학습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통로이다.
15. 배우기 원한다는 전제하에 가르칠 일이지 시험 통과를 전제해서는 안 된다.
16. 학습의 책임을 묻지 말라. 모든 것은 내 탓이다..
17. 수월성을 대중성에 우선하라.
18. 잘한 일을 칭찬할 것이지 잘못한 일을 들추어 벌하지 말라.
19. 학생을 비웃지 말라. 학생과 더불어 웃어라.
20. 학생이 당신을 대하듯이 당신도 당신을 대하라.
21. 교수를 너무 진지하게 하지 말라. 학생이 스스로 생각한다는 것이 얼마나 즐거운 것인가를 생각하라.
22. 학생들 앞에서 성내지 말라. 학생은 당신의 개인감정에 관심이 없다.
23. 학생을 존경하라. 그러면 학생도 당신을 존경할 것이다.
24. 친숙함과 예의 없음 : 학문적 견해 불일치와 개인의 감정을 혼동하지 말라.
25. 학생이 당신의 교수 내용만 택한다고 생가하지 말라.
26. 학생이 졸고 있다고 해서 당신의 학습 지도가 싫거나 관심이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라. 다른 숙제 때문에 밤을 세웠을지도 모른다.
27. 학생이 조용히 있다고 해서 이해되었다고 생각하지 말라. 혼란에 빠져있을 수도 있다.
28. 천천히 시작해서 빨리 끝내려고 하지 말라, 학생을 녹초로 만든다.
29. 모든 학문은 각기 고유의 언어를 가진다. 훌륭한 학습은 그 언어를 가르치는 것이지 단어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다.
30. 새로운 용어나 개념을 판서하고 학생이 받아쓰도록 해서 반복학습이 되도록 하라.
개괄적인 설명은 학습의 효과를 반감시킨다.
31. 교수한 내용을 받아쓰게 하지말라. 학습은 창의적, 능동적으로 수용되고 효율적으로 작용되지만 받아쓰기는 기계적인 연습에 불과하다.
32. 너무 단순화시켜 사소한 것으로 만들거나 너무 복잡화해서 애매하게 만들지 말라.
33. 학습 후에 기쁜 감정과 정력을 쏟았다는 느낌이 들게 하라. 이런 느낌이 없으면 훌륭한 학습이 아니다.
34. 학습의 결과는 양보다 질로 측정하는 것이 좋다.
35. 학생에게 무리한 학습 능력을 기대하지 말라. 정신적 포화의 한계는 지능보다 심리적인 것에 더 크게 좌우한다.
36. 천부적으로 태어난 우둔함을 조롱하지 말라.
37. 가르칠 때 유념할 일은 학습 의욕을 잃지 않게 하는 일이다. 잘 가르친다는 것은 학 습 의욕을 촉진시키며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일이다.
Ⅸ. 결론
교사가 되기는 쉬우나 교사다운 교사가 되기는 어렵다. ‘우리는 교사이다. 교사는 아동을 위하여 존재한다. 따라서 교사는 아동의 가치로운 삶에 대한 책임이 있다.’ 는 교사로서의 확고한 책임의식은 교사들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자질이다. 교사의 행동은 가장 영향력 있는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교사가 되기 전에 먼저 인간이 되어야 한다.’ ‘교사가 되기는 쉬우나 교사다운 교사가 되기는 어렵다.’ 는 말로 함축된다.
교사는 수업으로 승부하여야 한다. 좋은 수업으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학부모와 학생의 신뢰를 받아야만 교사가 제자리를 찾을 수 있다는 전제 아래 우리 서부교육청은 특색사업으로 TT(Top Teacher) 운동을 전개하여 교사 스스로 ‘최고의 교사’가 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교사가 좋은 수업에 대한 자기의 생각 없이 언제까지 흔들리기만 할 수는 없다. 명확한 자기생각을 정립하고, 어제보다 오늘, 내일은 오늘 보다 나은 수업을 하겠다는 의지로 작은 일부터 한 가지씩 실천하자. 이를 위하여 수업일기 쓰기(교사, 아동) 자기수업 평가, 수업 분석표를 작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김상수, 교과 수업, 이제 창의성 수업이다, 하나문화사, 2003
류영옥, 수준별 자율장학 지원을 통한 좋은 수업 만들기, 연구논문, 2002
박성익, 수업방법탐구 : 수업모형. 수업전략. 수업평가, 교육과학사, 1999
이금옥, 좋은 수업 설계 과제, 경상북도학습지도연구회 하계 연수자료, 2001
한국열린교육학회 소식, 좋은교사 좋은수업
J .M. Keller &송상호, 매력적인 수업 설계, 서울 : 과학교육사, 1999

키워드

좋은수업,   수업,   교육,   학습,   지도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9.0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9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